Heavy Metals and Pesticide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숙지황 제조과정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

  • Kim, Jung-Ho (Department of Safety & Environmental Prevention, Daegu Haanny University) ;
  • Yang, Joon-Young (Daekyung Herb Medicine Co. Ltd.) ;
  • Moon, Yung-Soo (Department of Safety & Environmental Prevention, Daegu Haanny University)
  • 김정호 (대구한의대학교 소방방재환경학과) ;
  • 양준영 (대경생약㈜) ;
  • 문영수 (대구한의대학교 소방방재환경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o obtai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in samples are surveyed.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of Korea are $0.147{\pm}0.007\;mg/L,\;0.025{\pm}0.001\;mg/L\;and\;0.193{\pm}0.021\;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 of China are $0.0145{\pm}0.014\;mg/L,\;0.023{\pm}0.002\;mg/L\;and\;0.299{\pm}0.013\;mg/L$,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As, Cd and Hg remain unchanged during the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re 3.53%, 6.66% and 5.16% for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ory level, respectively. The residual pesticides, such as aldrin, $BHC-{\alpha},\;BHC-{\beta},\;BHC-{\gamma},\;BHC-{\delta}$, captan, chlorfenapyr, chlorpyrifos, DDD, DDE, DDT-o,p, DDT-p.p, dieldrin, endosulfan-sulfate, $endosulfan-{\alpha}$, $endosulfan-{\beta}$, fenitrothion, penthoate, permethrin, quintozene, tolyfluanid and vinclozolin, are not detected in Rehmanniae Radix Preparat on the Korea and China. The hazardous materi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nd China are verified the safety of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compare with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tory level.

본 연구에서는 건지황을 증숙하여 제조하는 숙지황 제조과정 동안의 중금속과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숙지황을 제조할 때 건지황을 황주로 9번 증숙하는 과정동안 증숙한 한국 시료의 평균은 As는 $0.147{\pm}0.007\;mg/L$이었으며, Cd는 $0.025{\pm}0.001\;mg/L$이었고, Pb는 $0.193{\pm}0.021\;mg/L$이었다. 또한 중국 시료의 평균은 As, Cd와 Pb가 각각 $0.0145{\pm}0.014\;mg/L,\;0.023{\pm}0.002\;mg/L$$0.299{\pm}0.013\;mg/L$이었다. 건지황을 숙지황을 제조하는 동안 중금속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일반 시중 숙지황 중에서 As는 우리나라 시료는 평균 $0.106{\pm}0.052\;mg/L$이었으므로 As의 허용기준 3.0mg/kg에 3.53%이었으며, 중국 시료는 $0.135{\pm}0.011\;mg/L$이었으므로 As의 허용기준에 4.50%이었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Cd농도는 허용기준 0.3 mg/kg에 각각 6.66%와 5.33%였다. Pb의 허용기준은 5.0 mg/kg인데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Pb농도는 허용기준의 5.16%와 7.86%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중금속의 농도가 허용기준의 $3{\sim}8%$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중금속으로부터 안전하였다. 우리나라 안동과 중국 하남의 건지황 중 잔류농약으로 Aldrin, $BHC-{\alpha},\;BHC-{\beta},\;BHC-{\gamma},\;BHC-{\delta}$, Captan, Chlorfenapyr, Chlorpyrifos, DDD, DDE, DDT-o,p, DDT-p,p, Dieldrin, Endosulfan-sulfate, $Endosulfan-{\alpha},\;Endosulfan-{\beta}$, Fenitrothion, Penthoate, Permethrin, Quintozene, Tolyfluanid와 Vinclozolin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지황 제조에 사용된 황주 시료에도 이들 농약이 모두 동일하게 불검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숙지황에도 이들 농약이 불검출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된 우리나라와 중국지역의 건지황으로 제조된 숙지황은 중금속과 잔류농약이 식품의약안전청 기준에 적합한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영. 한약재 중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05
  2. 김종욱, 최호영, 조정희, 김도훈, 강인호, 심영훈, 김은경. 한약재 유해물질 모니터링 사업(I)-유통 한약재의 중금속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2; 17(2): 235-245
  3. 김진숙, 황성원, 김종문, 마진열. 한약재와 탕액(십전대보탕)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개별 중금속 함량분석(II), 약학회지 2001; 45(5): 448-454
  4. 박문기. 사군자탕 제조시 탕약과 찌거기 중의 중금속 함량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07; 16(2): 241-245 https://doi.org/10.5322/JES.2007.16.2.241
  5. 박해모, 최경호, 정진용,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2006; 32(2): 186-191
  6. 서윤주, 문화희, 김인기, 김성환. 토양 중의 중금속 자연함유량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연구원 1982
  7. 식품의약품안전청. 생약 등의 중금속 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2호 2005
  8. 양준영. 숙지황 중 유해물질의 안전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07
  9. 유홍일, 이해근, 전성환. 농약잔류분석방법, 동화기술 1991
  10. 이서래. 식품의 오염과 위해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1993; 12(3): 325-333
  11. 이태관. 대구∙울산지역의 토양 중금속 오염도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2006; 14(6): 605-611
  12. 이현정. 경북 북부지역 재배한약재와 토양의 중금속 함량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3. 정구복, 김원일, 이종식, 신중두, 김진호, 이정택. 토양내 중금속 유효도와 미나리중의 흡수이행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006; 25(4): 323-330 https://doi.org/10.5338/KJEA.2006.25.4.323
  14. 주윤정, 오정미, 하병헌, 홍성선. 생약제제의 등록규정 차별화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약학회지 2001; 11(2): 68-77
  15.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재의 품질관리와 안전성확보를 위한 연구- 잔류농약 및 중금속 허용기준과 세포독성의 연구 1998
  16. 한상백. 다용 한약재의 산지별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75
  18. Araoud, M, Douki W, Rhim A, Najjar MF and Gazzah N.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Environ Sci Health Part B. 2007; 42: 179-187 https://doi.org/10.1080/03601230601123474
  19. Martin H and Worthing CR Pesticide Manual. 7th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Worcester UK. 1993
  20. Pillay V and Jonnalagadda SB. Elemental uptake by edible herbs and lettuce (Latuca sativa). J Environ Sci Health Part B. 2007; 42: 423-428 https://doi.org/10.1080/03601230701316416
  21. Robinson Jr GR, Larkins P, Boughton CJ, Reed BW and Sibrell PL. Assesment of contamination from arsenical pesticides use on orchards in the great valley region, virginia nad west virginia, USA. J Environ Qual 2007; 36: 654-663 https://doi.org/10.2134/jeq2006.0413
  22. Tomlin C.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tection Publication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