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at Stream in Middle Part of Korea

중부지방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 Published : 2007.06.01

Abstract

On the riparian zone of streams in the middle part of Korea,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was investigated. The species number and propor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each stream was increas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of the stream and the highest proportion was observed at urban area of Jungryangcheon. A larg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has annual habit and European or North American origin. Highest similarity index of naturalized plants was observed between Hongcheongang and Naechoncheon. The percentage of herb plan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a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steams, particularly high at the urban steam Jungryangcheon.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중부지역 하천에서의 귀화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자연하천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 및 비율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심하천의 귀화식물 비율은 자연하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귀화식물의 생활형은 1년생 초본이,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원산이 많았다. 귀화식물의 유사도를 조사해 본 결과, 하류인 홍천강과 중류인 내촌천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의 모든 초본의 비율과 귀화식물 비율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시하천인 중랑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신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현황. 한국잡초학회지. 22:207-226
  2. 국립수목원. 2004. 한국식물도해도감 1. 벼과
  3. 국립환경과학원. 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 V
  4.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5.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6.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 우너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7. 신동호, 조강현. 2001. 인천 승기천의 하안지대에서 지형과 교란에 따른 외래식물의 분포와 식생 구조. 한국생태학회지. 24:273-280
  8. 안영희, 송종석. 2003.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조건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12:573-582
  9. 여천생태연구회. 2005. 여천생태연구회의 현대생태학실험서. 교문사. 서울. pp. 193-201
  10. 오용자. 1983. 한국산 사초과 식물 I. 성신여자대학교 출판사. 서울
  11. 오용자. 1984. 한국산 사초과 식물 II. 성신여자대학교 출판사. 서울
  12. 오용자. 1986. 한국산 사초과 식물 III. 성신여자대학교 출판사. 서울
  13. 오용자. 2000. 한국산 사초과 식물. 성신여자대학교 출판사. 서울
  14. 오현경, 변무섭. 2006.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환경생물. 24:248-257
  15. 이웅빈. 2006. 용인시 석성산의 자연환경 보전. 환경생물. 24:294-299
  16. 이율경, 김종원. 2005.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대구. pp. 27-61
  17. 이영노.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8.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0. 이창석, 오종민, 이남주. 2003. 하천환경과 수변식물: 식생의 보전과 관리. 동화기술교역
  21.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69-83
  22. 長田式正. 1989. 日本イネ科稙物圖譜. 平凡社. 東京
  2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24. Hood WG and RJ Naiman. 2000. Vulnerability of riparian zones to invasion by exotic vascular plants. Plant Ecol. 148:105-114 https://doi.org/10.1023/A:1009800327334
  25. Mckone PD. 2000. Streams and their riparian corridorsfunctions and values. J. Manage. Eng. 16:28-29
  26. Naiman RJ and H Decamps. 1997. The ecology of interfaces: Riparian zones. Annu. Ren. Ecol. Syst. 28:621-658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28.1.621
  27. Stohlgren TJ, Y Otsuki, CA Villa, M Lee and J Belnap. 2001. Patterns of plant invasions: a case example in native species hotspots and rare habitats. Biol. Invasions. 3:37-50 https://doi.org/10.1023/A:1011451417418
  28. Tabacchi E and A-M P-Tabacchi. 2003. Recent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possible consequences on dead wood processing along rivers. River Res. Appl. 19:251-263 https://doi.org/10.1002/rra.755
  29. Vannote RL.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 J. Fish. Aquat. Sci. 37: 130-137 https://doi.org/10.1139/f8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