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 on Productivity of Rye and Hairy Vetch by Single or Mixed Sowing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 조익환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윤용범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박웅렬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황보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성훈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
  • 이주삼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on dry matter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s of rye and hairy vetch according to two different sowing methods such as single or mixed-sowed cultivation. Dry matter and TDN yields for rye single culture, and rye and hairy vetch mixed culture were 7.2 and 4.0 ton/ha, and 8.0 and 4.4 ton/ha, respectively. They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4.5 and 2.7 ton/ha) of hairy vetch single culture. Moreover, plots produced by mixed-sowing cultivation had a higher crude protein (CP) as 7.7% than that of only rye plot, and higher TDN and RFV as 55.8 and 79.4%, respectively. Within rye alone plots, completely cattle slurry application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annual DM and TDN yields (7.4 and 4.1 ton/ha) than those of P+K fertilization (7.2 and 3.9 ton/ha) as a chemical fertilizer and non-fertilizer (5.5 and 3.1 ton/ha). Cattle slurry application plot revealed 75.52 and 78.97% of N+P+K fertilization plot for annual DM and TDN, respectively. Within mixed-sowing cultivation with rye and hairy vetch, completely cattle slurry application produced 7.6 ton/ha DM and 4.5 ton/ha TDN, showing 79.50 and 86.77% of N+P+K fertilization plot,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P content for cattle slurry plots was 8.5%, which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other plots, and it was also highest in TDN (58.3%) and RFV (86). Overall, rye mixed-sowing with hairy vetch rather than rye alone sowing reduced DM yields, but leaded to enhancement of feed value and nutritive yields. And also, it would be expected that cattle slurry application in comparison with chemical fertilizers might result in reutilization of resources, improved forage quality and, extended harvest period by preventing feed value from rapidly deteriorating.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답리작으로 호밀 단파구와 호밀 및 헤어리 베치 혼파구의 연 평균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각각 ha 당 7.2와 4.0 ton 및 8.0과 4.4 ton으로 헤어리 베치 단파구의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4.5 및 2.7 ton/ha)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호밀과 헤어리 베치의 혼파재배구(7.7%)가 조단백질 함량이 호밀 단파구보다 높았으며 TDN 함량과 RFV(각각 55.8과 79.4)도 높았다. 호밀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4과 4.1 ton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7.2와 3.9 ton/ha)와 무비구(5.5와 3.1 ton/ha) 보다 높았으며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각각 75.52와 78.97%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TDN 함량과 RFV도 무비구와 액상우분뇨가 다른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밀과 헤어리 베치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ha 당 각각 7.6과 4.5 ton을 나타내어 질소, 인산 및 칼리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79.50과 86.77%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 용구에서 8.5%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TDN 함량과 RFV도 각각 58.3%와 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밀의 단파보다는 헤어리 베치와의 혼파가 건물수량은 감소하지만 사료가치의 개선 및 영양수량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화학비료 시비구 보다 액상우분뇨 시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조사료의 품질 개선 및 사료가치의 급감을 방지하여 수확시기 연장 등을 기대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3):173-177
  2. 김동암, 김종관, 권찬호,김원호,한건준,김종림.1993. 청예사료용 연맥품종의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초지 13(1):66-77
  3. 김동암, 성경일, 권찬호. 1986.파종시기와 파종량이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월동성,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3):164-168
  4. 김종근, 정의수, 김맹중,서 성,이종경,김종덕,서종호. 2005.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헤어리 벳치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1):17-22 https://doi.org/10.5333/KGFS.2005.25.1.017
  5. 김종덕, 김수곤, 권찬호. 2004.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비교. 동물자원지 46(3):437-442
  6.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사일리지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7(2): 87-198
  7. 이병생, 김종덕, 권찬호, 정길웅. 2004. 호밀의 품종 및 수확시기가 사초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6(2):227-234
  8. 이인덕, 이형석. 2006. 대전지역 추파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초지 26(4): 49-256 https://doi.org/10.5333/KGFS.2006.26.4.249
  9. 이효원, 김원호, 박형수, 고한종, 김수곤. 2005. 질소시용수준이 베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베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1):1-6 https://doi.org/10.5333/KGFS.2005.25.1.001
  10. 이효원, 박형수. 2002.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한국유기농업학회 10:51-63
  11. 조익환. 2003.지역별 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1(3):91-108
  12. 조익환. 2008.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2):219-230
  13. 황경준, 고서봉,박형수,박남건,고문석,김문철, 송상택. 2007. 방목초지에서 우분퇴비 시용이 목초생산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7(1): 5-52 https://doi.org/10.5333/KGFS.2007.27.1.045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5.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C
  16. Jo, I.H. 1989. Wirksamkeit der mineralischen Stickstoffdungung auf Ertrag und pflanzenbestand des Grunlandes im osterreichischen Alpenraum. Diss. Univ. Bodenkultur. Wien
  17.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18. Nahm, K.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19. SAS. 2005.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 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0. Whitehead, D.C. 1995. Grassland nitrogen. CAB INTERNATIONAL UK. 200-221

Cited by

  1. Effects of Mixed Sowing with Legumes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Wheat in Gyeongbuk Regions vol.34, pp.1,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1.52
  2. Effect of Italian Ryegrass Mixtures on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Dry Riverbed of Ansancheon vol.34, pp.1,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