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from Aster glehni Fr. Schm.

섬쑥부쟁이(Aster glehni Fr. Schm.)로부터 살초활성물질의 분리

Kim, Kun-Woo;Shin, Joon-Gu;Lee, Dong-Gu
김건우;신준구;이동구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herbicidal compounds and identify them in the stem and leaf of Aster glehni Fr. Schm.. Methanol extract from the stem and leaf of A. glehni was purified by the ethyl acetate fractionation and a series of chromatographic techniques includ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HPLC. The final HPLC gave a active fraction and one herbicidal compound was obtained. By GC-MS and NMR analyses, the herbicidal compound was identified as coumarin(2H-1-benzopyran-2-one). Coumarin showed about 34% and 69% of growth inhibition on the shoot and root of barnyardgrass(Echinochloa crus-galli Beauv. var. praticola Ohwi) seedlings at 200㎍ mL-1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섬쑥부쟁이에 함유된 allelochemical의 살초활성을 조사하고, 살초활성물질의 분리를 위해 경엽 추출물에 대하여 ethyl acetate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HPLC와 같은 일련의 크로마토그래피법들을 실시하였다. HPLC에 의해 최종적으로 획득된 살초활성 분획의 GC-MS 및 NMR 분석 결과, 2H-1-benzopyran-2-one인 coumarin이 동정되었다. 200㎍ mL-1 농도에서의 활성분획에 함유된 coumarin의 돌피 신초 및 뿌리에 대한 생장 억제율은 각각 34%, 69%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삼식, 손건호. 2000. 천연물성분 구조결정법.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p. 493-502.
  2. 김건우, 백정규, 김진석. 2005. 산초나무 열매로부터 살초활성물질의 분리. 한잡초지 25(3):194-201.
  3. 김건우, 신준구, 김진석. 2002. 삽주 근경으로부터 식물생장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잡초지 22(4):371-377.
  4. 김건우, 이동구. 2007. 살초 및 살균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원식물의 탐색. 한잡초지 27(3):285-295.
  5.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허수정, 권순배, 임상현, 김경희, 김성문. 2005. 족도리(Asarum sieboldii Miq.)로부터 신규 살초활성 물질 Elemicin의 분리. 한잡초지 25(3):202-208.
  6. 김은미, 김건희. 2004. 숙성온도를 달리한 섬쑥부쟁이 김치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20(1):11-16.
  7. 김종원외 편. 1995. 천연물화학. 천연물화학 교재연구위원회 편역. 영림사. 서울. pp. 238-241.
  8. 김현구, 권영주, 김공환, 정윤화. 2000.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 작용 변화. 한국식품과 학회지 32(5):1022-1028.
  9. 김희연, 최해진, 김도순, 허수정, 김성문. 2003a. 애기 수영(Rumex acetosella L.)으로부터 새로운 살초활성물질 Chrysophanic Acid의 분리. 한잡초지23(4):301-309.
  10. 김희연, 최해진, 유용만, 허수정, 임상현, 김진석, 김성문. 2003b. 식물기원 제초활성물질. 한잡초지23(3):190-212.
  11. 민기군, 김상국, 이승필, 남명숙, 최부술. 1996. 섬쑥부쟁이의 차광망 처리와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한국자원식물학회지 9(3):254-260.
  12. 민용득, 권학철, 최상진, 이강노. 2004. 섬쑥부쟁이의 테르페노이드 성분. 약학회지 48(1):65-69.
  13. 이미순, 정미숙. 1998. 섬쑥부쟁이의 휘발성 향미성분분석. 한국조리과학회지 14(5):547-552.
  14. 이창복. 2006. 원색 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서울.p. 322.
  15. 임상현, 김희연, 허수정, 김경희, 임순성, 김성문. 2007.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로부터 살초활성물질 methyl-p-hydroxybenzoate의 분리. 한잡초지 27(3):235-240.
  16. 장일무외 편. 2003. 동양의약과학대전 V: 성분과학 2.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문헌정보학연구실편. 학술편수관. 서울. p. 1180.
  17. 최해진, 김희연, 허장현, 허수정, 김도순, 김성문. 2003.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으로부터 새로운 살초활성물질 anemonin의 분리. 한잡초지 23(4):310-317.
  18. 최해진, 정미정, 김성문. 2008.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으로부터 신규 살초활성물질 5,6,7-trimethoxycoumarin의 분리 및 동정. 한잡초지 28(3):229-235.
  19. Duke S. O. and J. Lydon. 1987. Herbicides from natural compounds. Weed Tech. 1:122-128.
  20. Lee H. B., S. M. Lee, H. J. Kwon, K. S. Hong, J. S. Kim, K. Y. Cho, and C. H. Kim. 2003. Evaluation of plant-derived compounds as natural herbicidal agent. Kor. J. Weed Sci. 23(2):135-142.
  21. Macias F. A. 1995. Allelopathy in the search for natural herbicide models. pp. 310-330 in K.Inderjit, M. M. Dakshini, and F. A. Einhelig, ed. Allelopathy: organisms, processes, and applications.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582.
  22. Rice E. L. 1984. Allelopathy. 2nd ed. Academic Press, Orlando, Florida. pp. 266-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