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obesity indices, plasma growth hormone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1 according to exercise type in obese high school girls

비만 여고생에서 운동 형태에 따른 비만지표와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 비교

Jang, Jae-Hoon;Hur, Sun
장재훈;허선

  • Published : 2008000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lex training (50-60% 1RM+40-60% O2max), weight load walking training (40-60% O2max+2-5% weight load) and walking training (40-60% O2max) on obesity indices, plasma growth hormone (GH)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 obese high school girls. Forty-eight obese high school girls (%body fat≥30 percenti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complex training group (n=16), weight load walking training group (n=16) and walking training group (n=16). The training was conducted 5 times a week through 8 weeks. The results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as follows. Complex training group and weight load walking training group significantly reduced plasma triglycerid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H and IGF-1. In conclusion, walking training, weight load walking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in obese high school girls appears to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obesity. It is suggested that when we consider exercise programs for obese high school girls, there should be enough time for aerobic exercise before applying other types of exercise.

본 연구는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복합운동(50-60% 1RM+40-60% O2max), 중량부하걷기운동(40-60% O2max+체중 2-5% 중량물 부하), 걷기운동(40-60% O2max)의 세 가지 운동 형태를 실시하여 비만지표와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비만인의 효율적인 운동방법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48명의 비만여고생을 복합운동집단(n=16), 중량부하걷기운동집단(n=16), 걷기운동집단(n=16)으로 구분하였으며, 주 5회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만지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며, 혈중지질변인 중 중성지방 및 성장호르몬과 인슐린양성인자는 걷기운동집단에 비해 복합운동집단과 중량부하걷기운동집단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걷기운동, 중량부하걷기운동, 복합운동 모두 비만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여고생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 유산소운동의 효과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한 후 다른 운동형태의 복합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덕호(2001). 보행시 덤벨의 중량차이가 심박수와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향학회지, 5(2), 71-80
  2. 강설중, 김병로(2004). 유산소운동과 근력저항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3. 권용일, 박태곤, 박건향, 박찬호, 전재영, 최문기, 이경희, 김태운, 양영옥(2006).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체력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5(6), 611-621
  4. 고영호, 임관철, 김세민(2005). 중년비만 여성의 근저항운동 참여가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 변인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1, 115-125
  5. 김선호, 김동희, 고영호, 김성칠, 최석준(2001).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혈중지질,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1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0(1), 57-68
  6. 김성수, 위승두, 이재현, 박효윤, 조성연, 한상완, 박현정, 김동환(2001). 성장호르몬, IGF-1과 비만지료의 상관성 및 운동에 의한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6, 271-280
  7. 김유섭, 박찬칠(2005).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과 근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폐경기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2(4), 345-351
  8. 김향선(2004). 무용 프로그램이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장호르몬 및 IGF-1 수준에 미치는 영향. 발육발달학회지, 12(2), 169-177
  9. 김현준, 고기준(2007). 장.단기 복합운동이 과제중 및 비만아동의 신체조성가 혈중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1), 669-679
  10. 김효정, 김창근(2005). 1년간의 운동 트레이닝이 중년남성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 지표와 유산소성 운동 능력 및 공복 혈당 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4(2), 203-214
  11. 김효찬(2004). 하지 중량부하 걷기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신체조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대학원
  12.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2005).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청소년의 복부지방과 Adipocytokines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3(3), 270-277
  13. 박익렬(2004).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과 성장호르몬 및 IGF-1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6), 419-427
  14. 소위영, 최대혁(2007). 걷기운동과 저항성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순환기능, 체력 및 혈중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6(2), 85-94
  15. 소재무, 서진희(2004). 저항성 트레이닝 및 디티레이닝 동안의 성장호르몬과 IGF-1의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43(2), 473-481
  16. 신윤아, 임강일, 석민화(2005).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비만인의 렙틴, 아디포넥틴 농도와 대사 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4(4), 569-582
  17. 이윤서, 강성훈, 이성수(2006). 근저항 운동이 신체조성 및 IGF-1과 Myostatin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5), 359-368
  18. 이혜림(2007).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흡연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폐환기 기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정성림, 김병로(2003). 12주간 유산소 및 근력 복합훈련이 중년비만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649-658
  20. Brazycki, M. (1993). Strength testing Predicting A one-rep max from reps-to-fatigu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 Dance, 64(1), 88-90. https://doi.org/10.1080/07303084.1993.10606684
  21. Caufriez, A, Goistein, J., Lebrun, P., Herchuelz, A, Furlanetto, R, & Copinschi, G. (1984). Relations between immiuwreactive somatomedin C, insulin and 13 patterns during fasting in obese subjects. Clinical of Endocrinology, 20(1), 65-70.
  22. Consitt, L. A, Ccpeland, J. L, & Tranblay, M S. (2001). Fiznroue response to resistance vs enduraiice a cerise in prenm pausal females. Europum Journal of Applied Flajsidogy, 26(6), 574-587.
  23. Graves, J. E., Michael, L P., Scott, J. M, Andrew, S. J., & Okeefe, J. M (1987). The effects of hand-held weight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walldng exercise. Medicine Science Sports Exercise, 19(3), 260-265.
  24. Gutin, B., Barbeau, P., Owens, S., Lemmon, C R, Bauman, M, Allison, J., Kang, H S., & Iitaker, M S. (2002).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cardiovascular fitness, total body composition and visceral adiposity of obese adolescence.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5(5), 818-826. https://doi.org/10.1093/ajcn/75.5.818
  25. Harris, T. B., Visser, M, Everhart, J., Cauley, J., Tylaysky, F., & Fuerst, T. (2000). Waist circumference and sagittal diameter reflect total body fat better than visceral fat in older healthy young me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90(2), 355-362 https://doi.org/10.1152/ajpendo.00259.2005
  26. Horowitz, J. F. (2003).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14(8), 386-392. https://doi.org/10.1016/S1043-2760(03)00143-7
  27. Magkos, F., Piperkou, L, Manios, Y., Papoutsalds, C, Yiannakouris, N., Cmiporieio, A, Aloumanis, K, Skmderi, K, Papathonia, A, Arvaniti, F., Sialvera T. E, Cliristou, D., & Zampelas, A (2006). Diet, blood lipid profile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in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a semi-rural area of Greece.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19(2), 101-112 https://doi.org/10.1111/j.1365-277X.2006.00675.x
  28. Malina, R M, Bouchard, C, & Bar-Or, O. (2004). Growth, Maturation & Physical Activity. IL: Human Kinetics.
  29. Matthews, D. R, Hosker, J. P., Rudensld, A S., Naylor, B. A, Treacher, D. F., & Turner, R C (198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 in man. Drab etologia, 280, 412-419.
  30. Minuto, F., Barreca, A, Del Mxite, P., Fortini, P., Resentini, M, Morabito, F., & Gaordano, G. (1988). Spontaneous growth hornmne and somatomedin-C/irmilin-likee growth factor-I secretion in obese subjects during puberty. Journal of Endvcr nological Investigation, 11(7), 489-495. https://doi.org/10.1007/BF03350166
  31. Ozbey, N., Senoer, E, M lvalilar, S., & Orhan, Y. (2002). Body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re-and postmenopausal onese women with similar BML Endocrine journal, 49(4), 503-509. https://doi.org/10.1507/endocrj.49.503
  32. Pritzlaff, C. J., Widemarl, L, Weltman, J. Y., Abbott, R D., Gutgesell, M E., Harhnan, M L., Veldhuis, j. D., & Weltman, A (1999). Impact of acute exercise intensity on pulsatile growth hormone release in me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7(2), 498-504. https://doi.org/10.1152/jappl.1999.87.2.498
  33. Kok, P., Buijs, M M, Kok, S. W, Van Ierssel, 1. H, Frolic1 M, Roelfsema, F., Voshol, P. J., Meinders, A. E., & Pijl, H. (2004). Acipimox enhances spontaneous growth hormone secretion in obese women. The Ameriam Journal of Physiology Regulatory, Intergrative and Comparative Physiology, 286(4), 1152-1160.
  34. Rasmussen, M. H., Hvidberg, A, Juul, A., Main, KM, Gotfredsai, A, Skakkebaek, N.E., Hlsted, J., & Skakkebae, N.E.(1995). Massive weight loss restores 24-hour growth hormom release profiles and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 levels in obese subject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0(4), 1407-1415.
  35. Shephard, R J. (2001). Absolute versus relativ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in a dose-response context. Medicine Science Sports and Exercise, 33(6), 400-420. https://doi.org/10.1097/00005768-200106001-00008
  36. Rasmussen, M. H., Juul, A, & Hlsted, J. (2007). Effect of weight loss on free insulin like growth factor-1 in obese women with hyposomatotropism. Obesity, 15(4), 879-886. https://doi.org/10.1038/oby.2007.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