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Student-student Verbal Interactions on the Problem-solving Inquiry Which was Developed for Creativity-increment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에서의 학생 간 대화 분석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blem-solving inquiries for the science gifted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inquiries. The problem-solving inquiries were composed of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The problem-solving inquiries were applied to the science gifted attending the institute of the gifted education. The test of science-creative problem solving (TSCPS) was used to know effects of improvement of science-creativity and the result of TSCPS showed the improvement of science creativity. The analysis of student-student dialogues dur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type of dialogue was different on the type of problem-solving inquiry. The dialogue of convergent thinking was frequently showed up on the problem-solving inquiry needed logical thinking whereas that of divergent thinking on the problem-solving inquiry needed idea generation. The problem-solving inquiries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creativity.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과학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 개념, 과학 탐구 기능, 창의적 사고 영역에서 선정된 요소를 융합하여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을 개발하였고, 과학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TSCPS)를 개발하였다. 과학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개발된 문제 해결형 탐구실험을 대학교 부설 영재 센터에 재학 중인 중학생 과학 영재 21명에게 적용하였다. TSCPS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고, 실험 과정 중에 나타나는 학생 간 대화를 분석하였다.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의 적용 후 TSCPS 사후 검사결과가 향상되었다. 실험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 간 대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 해결을 위해 논리적인 설명과 사고를 많이 요구하는 실험에서는 수렴적 사고에 관한 대화 수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의 제시가 강조되는 실험에서는 발산적 사고에 관한 대화 수가 많이 나타났다. 이로써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이 과학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과학의 영역 특수성을 반영한 창의적 문제 해결형 탐구 실험은 영재 교육을 현장에서 수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8),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 교육과정연구. 16(2) 129-163
  2.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4. 신지은 (2002). 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창의성 비교 연구. 확산적 사고와 과학 창의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은경, 강성주 (2006). 문제해결형 탐구 모듈 적용에서의 SWH활용 효과에 대한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37-545
  6. 임길선, 정완호 (2004).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웹기반 STS학습 프로그램 개발. 생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51-868
  7.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5). 397-405
  8.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9. 조석희, 장영숙, 정태희 (2004). 영재관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조연순 (2001).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전략연구세미나,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7-69
  11.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pp. 11-26
  12. 한종하, 최돈형, 임선하, 이기종, 손영숙 (1985). 과학영재 판별을 위한 과학적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85-25
  13. Barows, H. (2002). Commentary: Is it truly possible to have such a thing as PBL? Distance Education, 23(1). 119.122 https://doi.org/10.1080/01587910220124026
  14. Gardner, H (1993a).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15. Gardner, H (1993b).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16. Han, K. S.., & Marvin,C. (2002). Multiple creativities? 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https://doi.org/10.1177/001698620204600203
  17. Harwood, W. S. (2001) A new model for inquiry .Is the Scientific Method Dead?-,National Scj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reprinted with permiss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3(7) Jiuly/August
  18.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389-403.z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19. Hur, M(1984). Evaluation of inquiry activity in science curricula doctor of education project repor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34.51-80
  20. Sternberg, R. J. (1988). A three-facet model pf creativity. In Stemberg, R. J.,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femporary psychogical prerspectives, (pp. 125-147).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