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iology and Chemical Control of Skin Sooty Dapple Disease of Asian Pear

동양배 과피얼룩병의 발생생태와 화학적 방제

  • Park, Young-Seob (Technology Servi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Ki-Chung (Division of Plant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ang-Hoon (Division of Plant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eon (Division of Applied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Soo (Department of Floriculture, Chunnam Techno College) ;
  • Cho, Song-Mi (Department of Floriculture, Chunnam Techno College) ;
  • Kim, Young-Cheol (Division of Plant Bio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
  • 김기청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부) ;
  • 이장훈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부) ;
  • 김인선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 최용수 (전남과학대학 화훼원예과) ;
  • 조송미 (전남과학대학 화훼원예과) ;
  • 김영철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A new disease causing skin sooty dapple symptoms on fruits, leaves, and young shoot of Asian pear occurred in Korea. However, no chemical control approaches has been developed to control this disease. To investigate ecological aspects of this disease, we conducted field surveys in the high or low disease occurred orchards. The years with heavy rainfall caused severe occurrence of the skin sooty dapple disease than the years with lower rainfall during all growth stages of pear fruit. Different fruit-wrapping bags did not prevent occurrence of skin sooty dapple disease, and lesion numbers were higher in lower parts of fruit equatorial line inside of fruit-wrapping bags.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occurrence of the skin sooty dapple disease and frequency of fungicide application in the orchards. Among the tested commercial fungicides, thiophanate-methyl WP and penconazole WP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Cladosporium sp. in in vitro studies but little protection was observed in the field following fungicide applications. However, application of lime sulfur combined with the use of fruit-wrapping bags most effectively reduced incidence of the disease in the field. Our results suggest that skin sooty dapple disease could be a serious problem in sustainable organic pear farms and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this disease urgently required.

최근 전국에 걸쳐 동양배의 과실, 잎 및 신초에 과피얼룩병이 발생하여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들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이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과피얼룩병의 년도별 발생정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보면 강우량이 많았던 해에 과피얼룩증상 발생이 많았다. 과피얼룩병의 발생은 봉지씌우기에 의해 예방되지 되지 않았고, 발병량도 씌우는 봉지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씌우기의 발병과에 있어서 과실적도면의 위쪽보다 하부쪽에 병반수가 많이 나타났다. 화학농약을 적게 살포한 과수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하였다. 시판 살균제 중에 thiophan WP와 penconazole WP가 과피얼룩병균의 일종인 Cladosporium sp.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실제 포장에서 penconazole과 flusilazole의 단독 혹은 교호로 살포하였을 때 모두 방제가가 낮았다. 반면에 석회유황합제 살포와 봉지씌우기를 병행하였을 때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최근들어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줄이고 있는 배 과원이나 유기농 과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roves, A. B. (1953) Sooty blotch and flyspect. Pages 663-666 in : Plant Diseases. US Dept. Agric. Yearbook Agric
  2. Hartman, J. R. (1996) Evaluation of multi-layer fruit bags for sooty blotch and flyspeck control, 1995. Biol. Cultural Tests 11:38
  3. Rosenberger, D. A., Engle, C. A. and Meyer, F. W. (1996) Effects of management practices and fungicides on sooty blotch and flyspeck diseases and productivity of Liberty apples. Plant Dis. 80:798-803 https://doi.org/10.1094/PD-80-0798
  4. Smigell, C. G. and Hartman, J. R. (1997) Evaluation of multi-layer fruit bags for sooty blotch and flyspeck control. Caldwell County, Kentucky. Biol. Cultural Tests 12:44
  5. Williamson, S. M. and Sutton, T. B. (2000) Sooty blotch and flyspeck of apple: etiology, biology, and control. Plant Dis. 84:714-724 https://doi.org/10.1094/PDIS.2000.84.7.714
  6. 김점국, 윤익구, 이한찬 (2002) 배과피얼룩과 방지기술연구. 원예연구소 보고서 202-208
  7. 김점국, 이한찬, 홍경희, 윤천종 (1999) 배과피오염 발생원인 구명. 한국원예과학기술지 40:436-438
  8. 김정호 (1975) 동양배 금촌추품종의 저장중에 발생하는 과피흑변현상의 유기요인 및 그 방지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과학기술지 16:1-25
  9. 박영섭, 김기청, 서흥수, 김영철, 조백호, 황용수 (2008)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배 과피얼룩병.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6:90-96
  10. 서정학, 황용수, 천종필, 이재창 (2000) 몇가지 수확 전후 처리가 동양배의 과피흑변발생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과학기술지 41:602-606
  11. 윤상돈, 홍윤표, 목일진, 이종석 (2000) '신고' 배 저장중 과피 얼룩 반점의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 한국원예과학기술지 41:523-525
  12. 최성진, 홍윤표, 김영배 (1995) 신고배의 저온저장 중 과피흑변의 발생방지를 위한 저장 전처리. 한국원예과학기술지 36:218-223
  13. 황용수, 박일용, 이재창 (2003) 동양배 '신고'의 과피얼룩 및 과심 갈변 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요인. 한국원예과학기술지 44(1):5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