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arth Science Module Based on Earth System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 Lee, Hyo-Nyong (Major of Earth Science Education, School of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Ryun (Major of Earth Science Education, School of Science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 권영륜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arth systems-based earth science modul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The module was applied to two classrooms of a total of 76 second-year high school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module. Data was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 earth science classroom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th systems-based earth science module was designed to be associated with the aims of the national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o improve students' Earth science literacy. The module was composed of two sections for a total of seven instructional hours for high schoolers. The former sections included the understanding of the Earth syste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 component of the system, its characteristics, properties and structure. The latter section of the module, consisting of 4 instructional hours, dealt with earth environmental problems, the understanding of subsystems changing through natural processes and cycles, and human interactions and their effects upon Earth systems. Second, the module was helpful in learning abou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water, rock, air, and life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the Earth system, its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The Earth systems-based earth science module is a valuable and helpful instructional material which can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Earth systems and earth science literac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교육 현장의 환경과 현실에 적합한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모듈의 개발을 위해 98명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택된 13개의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모듈의 적용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76명을 대상으로 정규 지구과학 수업 시간에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활동의 관찰, 면담,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듈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I 교과서의 '지구의 구성'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며, 그 내용을 중심으로 모듈의 주제를 선정하고 세부 활동을 개발하여 구성하였다. 총 7차시(3주)분량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활동들은 교과서에 순서에 따라 서로 연계가 될 수 있게 구성되었으며,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에서 제시되어 있는 학습 목표들과 일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모듈의 전반부는 지구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인 기권, 수권, 암권, 생물권을 이해하고 그 요소들의 특징을 학습하고, 전지구적인 관점에서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이나 인간 활동과의 연계성을 다룬다. 대부분의 활동들은 모둠별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생 주도적인 활동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모듈의 후반부는 4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순환과 물질의 순환(물, 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통하여 지구계 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을 활동 목표로 하였다. 둘째, 개발된 모듈을 정규 지구과학 수업 시간에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개발된 모듈을 통하여 지구환경의 구성요소와 각 권들과 관련된 개념의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생들이 활동들을 통하여 지구계를 구성하는 암권, 수권, 기권, 생물권의 특성과 세부 개념들에 대해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개발된 지구계 주제 중심 모듈의 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의 지구환경과 구성요소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가 향상되었다. 지속적으로 지구계나 지구환경문제를 다루는 모듈이 개발된다면 학생들의 지구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육 인적자원부, 서울, 244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고등학교 교육과정(I). 교육인적자원 부, 서울, 551 p
  3. 김수경, 차희영, 김중복, 2005, 과학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소재 모듈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754-764
  4. 김정률, 박정희, 박예리, 2005, 중학생의 탐구 능력 향상을 위한 지구과학 모듈의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 183-198
  5. 김찬종, 구자옥, 김경진, 김상달, 김종희, 김희수, 명전옥, 박영신, 박정웅, 신동희, 신명경, 오필석, 이기영, 이양락, 이은아, 이효녕, 정진우, 정철, 최승언, 2008, 지구과학 교재 연구 및 지도. 자유아카데미, 파주, 542 p
  6. 신동희, 2000, 국내 지구과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 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 479-487
  7. 신동희, 2001, 지구과학과 환경교육. 한국지구과학회지, 22, 147-158
  8.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과학교육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239-259
  9. 이창진, 2003, 지구과학의 정체성과 학문 분류.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50-656
  10. 이효녕, 2006, 지구환경시대의 지구과학교육의 중요성과 최 근 동향: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006 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1-22
  11. 이효녕, 2008,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6, 51-73
  12. 임은경, 홍상욱, 정진우, 2000, 지구계 교육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93-102
  13. 조규성, 강현아, 2002, 지구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지구 기후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 299-230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관한 공청회. 연구자료 ORM 2005-49, 194 p
  15. Mayer, V.J., 남정희, 이효녕, 2007, 통합과학의 이해: 지구 시스템적 접근. 자유아카데미, 파주, 268 p
  16. UN이 정한 지구의 해 한국위원회, 2008, UN이 정한 지 구의 해: 하나뿐인 지구 인류의 건강한 미래. UN이 정 한 지구의 해 자료집, 13 p
  17.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005, Earth System Science in the Community (EarthComm): 5 Unit Edition. It's About Time, NY, USA, 903 p
  18. Earth System Sciences Committee (ESSC), 1988, Earth system science: A closer view.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 208 p
  19. Hlawatsch, S., Bayrhuber, H., Euler, M., Hansen, K.H., Hildebrandt, K., Hoffmann, L., Lucius, E.R., Siemer, F., and Hassenpflug, W., 2003, Earth System Education in Germany.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155-156
  20. Kali, Y., Orion, N., and Eylon, B-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545-556 https://doi.org/10.1002/tea.10096
  21. Kim, C-J. and Kwak, Y. (eds.), 2004, Seoul conference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IESO) Conference Proceeding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8 p
  22. Lang, M., 2002, The Earth as system: A topic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LA, USA, 173 p
  23. Lee, J. and Fortner, R.W., 2000,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by perceived certainty and tangi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9, 11-20
  24. Lee, H. 2002, A cas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integration: Earth systems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USA, 314 p
  25. Lee, H. and Jax, D., 2004, Getting into ENSO: Researching El Nino expands a weather study from a local to a global perspective. Science and Children, 41, 28-31
  26. Mayer, V.J., 1991a, Earth-system science: A planetary perspective. The Science Teacher, 58, 31-36
  27. Mayer, V.J., 1991b, Framework for Earth systems education. Science Activities, 28, 8-9
  28. Mayer, V.J., 1993, Earth-systems science: A planetary perspective. The Science Teacher, 58, 23-28
  29. Mayer, V.J., 1997, Science literacy in a global era. Hyogo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17, 75-89
  30. Mayer, V.J. (ed.)., 2002, Global science literacy.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Netherlands, 242 p
  31. Mayer, V.J. (ed.)., 2003,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Columbus,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293 p
  32. Mayer, V.J. and Fortner, R.W. (eds.), 1995, Science is a study of Earth: A resource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restructure.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246 p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62 p.
  34. Park, D., 2001, A Study of Earth System Science in the Community (EarthComm) in Terms of Its Congruency with the Visions in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Student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Iowa, USA, 154 p

Cited by

  1. Gifted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vol.33, pp.7,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2.33.7.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