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Turbid Water in Hypolimnetic Discharging Reservoir

심층 방류하는 안동호 내 탁수의 거동

  • Park, Jae-Chung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Planning,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Jung, Seok-Won (Andong Dam Offic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Park, Jung-Wo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 Kim, Ho-Jo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박재충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기획처) ;
  • 정석원 (한국수자원공사 안동댐관리단) ;
  • 박정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 김호준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the high turbid water by a single event of heavy rain (total 299.1 mm and daily maximum 99.4 mm) were studied in Andong Reservoir, which has hypolimnetic discharges. Turbid water entered into the reservoir, was isolated from the bottom at the midreservoir and then passed through the metalimnion as an interflow current in the lacustrine zone. Maximum turbidity was 290 NTU at 16 m depth of the midreservoir, but the initial turbidity showed about 10 NTU in the reservoir before the rainfall. Turbid water in the reservoir affected to increase the withdrawal turbidity from the 3rd day after the rainfall, the maximum turbidity was 129 NTU at 5th day after the rainfall. Turbid water that flew towards the downreservoir distributed within 5 m above the outlet gate of the intake tower, showing the maximum turbidity, and that was decreased in its thickness and concentration by discharging through the intake tower. It has taken 38 days until the turbidity in the withdrawal reduced to 30 NTU, and 87 days to reduce the turbidity to the way when it was before the rainfall,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 and 0.97, respectively. Turbid water was withdrawn from the reservoir by entraining into the intake tower as a form of the interflow, and not be settled down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herefore, we assessed that the depth of the withdrawal was appropriately positioned in Andong Reservoir, so as to withdraw the turbid water effectively from the reservoir.

본 연구는 심수층의 고정 취수구를 통해 방류하는 안동댐을 대상으로 1일 최대 99.4 mm, 총 299.1 mm인 단일사상의 강우로 유입된 고탁수의 호소 내 시 공간적인 거동과 방류수의 탁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조사하였다. 유입된 고탁수는 중류지점부터 호소 바닥에서 이탈되어 중층 밀도류로 최하류까지 이동하였다. 강우 이전의 호소 내 탁도는 10 NTU 이하의 균일한 분포를 보였으나 강우에 의해 수심 16 m에 최고 290 NTU의 고탁수대가 형성되었다. 고탁수는 강우 후 3일부터 방류수의 탁도를 상승시켰으며 5일째에 129 NTU로 최고 탁도를 보였다. 댐까지 이동한 탁수층은 취수구 상부 5 m 이내의 수심에 최고 농도로 분포하였으며 하류 방류에 의해 탁수층의 두께와 농도가 감소하였다. 방류수의 탁도가 30 NTU까지 감소하는데 38일, 강우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는데 87일이 소요되었으며, 감소경향의 상관계수는 각각 0.96, 0.97이었다. 중층에서 밀도류를 형성한 고탁수는 취수구 직상부에 분포하면서 취수구 방향으로 점차 유인되어 하류로 배출되었으며 호소 바닥으로의 침강은 일어나지 않았다. 안동호로 유입된 고탁수는 심층에 위치한 취수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되므로 취수구 위치는 고탁수 배제에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2005. 임하호의 탁수가 수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68p
  2. 김범철, 정성민. 2007. 소양호의 탁수발생 실태와 환경학적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9(11): 1185-1190
  3.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이희무. 2005.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3): 105-117
  4.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2006. 안동호에서 중층 저산소층 형성의 요인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1): 1-12
  5. 신재기, 허진, 이흥수, 박재충, 황순진. 2006. 표층수를 방류하는 저수지 (용담호)에서 몬순 탁수환경의 공간적 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933-942
  6. 이상욱, 김정곤, 노준우, 고익환. 2007. CE-QUAL-W2 모델을 이용한 임하호 선택배제시설의 효과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3(2): 228-235
  7. 정세웅, 이흥수, 윤성환, 예령, 이준호, 추창호. 2007. 홍수시 대청호 유역에 발생하는 탁수의 물리적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3(6): 934-944
  8. 한국수자원공사. 2006. 안동다목적댐 관리연보. 324p
  9. 한국수자원공사. 2004. 임하호 탁수저감 방안 수립 보고서. 131p
  10. 황상구, 정기영. 2006. 안동 임하댐 유역의 지질과 임하호 고탁수의 원인.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9(6): 771-786
  11. Bash, J., C. Berman and S. Bolton. 2001. Effects of turbidity and suspended solids on salmonids. Center for Streamside Studies, Univ.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USA. 92p
  12. Shin, J.K., S.A. Jeong, I. Choi and S.J. Hwang. 2004. Dynamics of turbid water in a Korean reservoir with selective withdrawal discharg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4): 423-430
  13.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 John Wiley & Sons, Inc. 24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