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Potential Discharge by Dam in Han River Basin at Dry Season

한강 팔당하류의 갈수 시 댐 용수공급 가능유하량 분석

  • 김영규 ((주)도화종합기술공사 기술개발연구원) ;
  • 최계운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함명수 (인천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Korea is located in a monson area, so that 2/3 of precipitation is fallen down in rainy season and dry season has few rainfall. Also, water quality gets worse during dry season by shortage of water.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is a physical way to improve water quality by dilution through over supplied water from big reservoir or dam, is analyzed at Han-river basin. For the sake of the analysis, the basin is divided in 33 catchments and each catchments' natural flow is simulated by SWAT-K and the future water demand is estimated by using statistics data. It is considered that Han-river basin has two big reservoirs(Chung-ju dam, So-yang gang dam) and potential discharge by dam is calculated through case of supply water from each dam and supply water from both dams.

우리나라는 강우량의 편기 현상으로 6월부터 9월중에 전체 강우량의 2/3가 내리고 있으며 갈수기에는 극히 적은 강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갈수기에는 물 부족으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에 발생하는 수질 악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지로부터 하천 유하량을 증가시켜 희석을 통한 수 질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한강유역을 총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소유역에서 발생되는 자연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또한 용수수요량은 과거 용수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 유량을 공급하는 대규모 저류지는 남한강과 북한강에서 각각 한 개씩의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댐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와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댐 용수공급 가능유하량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산업기지개발공사 (1978). 한강유역조사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7). 기존댐 용수공급능력조사(한강수계) 보고서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 (1999). 수자원계획의 최적화 연구(III)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5. 과학기술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보고서
  6.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 (2007).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33-542
  7. 한국농촌공사 (1974-2003).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내역
  8. 한국수자원공사 (1990). 한강유역조사
  9. 환경부 (1995-2004). 상수도 통계연보
  10. Arnold, J. G., J. R. Williams and D. R. Maidment (1995). “Continuous-time Water and Sedimentrouting Model for Large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1, No. 2, pp. 171-183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5)121:2(171)
  11. Arnold, J. G., J. R. Williams, A. D. Nicks, and N. B. Sammons (1990). SWRRB: A Basin Scale Simulation Model for Soi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exas A&M Univ. Press, College S tation, TX
  12. Knisel, W. G. (1980). CREAMS, A Field Scale Model for Chemicals, Runoff and Erosion from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USDA Conservation Research Rept, No. 26
  13. Leonard, R. A., W. G. Knisel, and D. A. Still (1987). GLEAMS: Groundwater Loading Effects of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Trans. ASAE, Vol. 30, pp. 1403-1418 https://doi.org/10.13031/2013.30578
  14. Williams, J. R., A. D. Nicks, and J. G. Arnold (1985). “Simulator for Water Resources in Rural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1, No. 6, pp. 970-986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5)111:6(970)
  15. Williams, J. R., C. A. Jones and P. T. Dyke (1984). A Modeling Approach to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rosion and Soil Productivity, Trans. ASAE, Vol. 27, No. 1, pp. 129-144 https://doi.org/10.13031/2013.32748

Cited by

  1. Comparison of Natural Flow Estimates for the Han River Basin Using TANK and SWAT Models vol.45, pp.3,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2.45.3.301
  2.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vol.46, pp.12,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12.1169
  3. Analysis of Water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Its Contributions During Dry Season: Focusing on Major Streams Inflow into South-Han River of Chungju-dam Downstream vol.40, pp.6, 2018, https://doi.org/10.4491/KSEE.2018.40.6.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