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port activity,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security agents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스포츠활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Kim, Kyong-Sik;Park, Young-Man;Kim, Chan-Sun;Chun, Yong-Tae
김경식;박영만;김찬선;전용태

  • Published : 20090900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port activity,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security agents. In the companies working security agents of seoul area at 2009, 420 people to complete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d 387 people to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ultimately used. The conclusion from hypothesis verified result through above procedure is this. First,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tress was no difference.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participated group in leisure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e group not participated. Thir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articipated group in leisure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e group not participated. Fourth, the long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effected to made that be low ro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stress. Fifth, the social support of neighborhood was higher as more as increased in the frequency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Sixth,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as more as increased in the frequency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Seventh, the participated proportions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contribute directly to the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it reduced job stress, and made increase the social support. Thus, it is meaningful to the promotion of the social support to the role.

이 연구는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스포츠활동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2009년 서울 소재 시큐리티 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시큐리티 요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42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연구에 사용된 사례수는 356명이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경험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 둘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지지는 높다. 셋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주관적 안녕감은 높다. 넷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기간이 길수록 역할 및 대인관계와 직무특성 스트레스는 낮다. 다섯째, 여가스포츠활동 빈도가 증가할수록 이웃의 사회적 지지는 높다. 여섯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빈도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높다. 일곱째,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정도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기도 하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여줌으로써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의미있는 역할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식(2008). 프로축구팀 지지자 연대의 사회적 자본: 유형과 효과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2), 641-658
  2. 김경식, 김찬선, 이광렬, 김평수(2009).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9(1), 387-399
  3. 김경식, 김평수, 김찬선(2007).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생활체육 참가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7(12), 167-178 https://doi.org/10.5392/JKCA.2007.7.12.167
  4. 김태근(2002). 스포츠조직체의 주직풍토 및 조직내 역할지각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5. 모창배(1993). 여가활동참여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6. 서진교, 박장근, 서정윤(1999). 여가스포츠활동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8(2), 145-157
  7. 송낙인, 남상우(2004).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9(1), 67-79
  8. 신혜숙(2007).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자아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8(3), 67-86
  9. 양명환(1998). 신체적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성서 상채 측정치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9(2), 298-304
  10. 윤이중(1996).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삶의 질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이경선(2005).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2. 이상구(1998).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7(4), 160-174
  13. 이성철(1996).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4. 이수완, 김철원(2000). 교사의 여가활동참여유형,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5(1), 133-146
  15.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6. 정재환(2007). 생활체육 참가여부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 703-714
  17. 주성수(2006).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서울: 아르케
  18. 최성범(2007). 여가스포츠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6(3), 339-450
  19.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20. Gottlieb, B. (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Practice.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23-24
  21. Huges, J. R. (1984). Psychological effects of habitual aerobic exercise: A critical review. Preventive Medicine, 13, 66-78 https://doi.org/10.1016/0091-7435(84)90041-0
  22. Putnam, R.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 65-78 https://doi.org/10.1353/jod.1995.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