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pyroligneous liquor on ammonia, glycogen and exercise performance in endurance training rat

지구성 운동시 목초액 투여가 흰쥐의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글리코겐 함량 및 운동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

Jung, Sun-Young;Jeon, Hye-Rin;Lee, Soo-Chun;Ryu, Sung-Pil;Kim, Hyun-Kook;Kim, Yeong-Beom
정선영;전혜린;이수천;류승필;김현국;김영범

  • Published : 200905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on blood ammonia, one of the fatigue sources during exercise, glucose, free fatty acid(FFA) concentrations, glycogen contents of liver and quadriceps, and exercise time to exhaustion in trained rats. The concentration of blood ammonia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pyroligneous liquor ingested group(PL) than control group(C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ucose, FFA, glycogen contents of tissues, and exercise time to exhaustion between CON and PL. Our finding suggests that pyroligneous liquor had a potential benefits on fatigue delay in partly,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level of energy substrates and exercise performance.

목초액은 다양한 식물성화합물을 포함하는 천연재료로 생물학적으로 긍정적인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본 연구는 4주간의 운동훈련시 목초액 투여유무가 흰쥐의 운동 중 피로유발 요인으로 알려진 혈중 암모니아, 에너지기질인 혈중 글루코스와 유리지방산, 글리코겐 함량 그리고, 운동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28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트레드밀 달리기 운동과 고탄수화물식이를 섭취시켰으며, 운동전 대조군(n=14)은 증류수, 목초액투여군(n=14)은 목초액 1ml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최종실험일 각 집단 절반의 쥐는 27m/min의 속도로 30분 운동 후 희생시켜 샘플을 재취하였으며, 나머지는 탈진시까지의 운동지속시간을 조사하였다. 목초액 투여는 운동중 혈중 암모니아 농도의 증가를 억제하고, 간과 글리코겐의 함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에너지기질 및 운동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운동훈련시 피로회복과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목초액의 잠재적인 효과를 부분적으로 확인하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기(2008). 목초액 단기 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 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대구
  2. 김동제, 권창기, 이봉근, 이지영, 이근일, 김완수, 이한, 김대영 및 안의수(2006). L-(+)-ornithine oxoglutarate 투여가 지구성 운동 전․후의 흰주의 혈중과 조직 암모니아 농도 및 뇌 세로토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559-567
  3. 김동희, 최주선, 추지희, 송호철, 이은옥, 강인철, 최종원 및 김성훈(2001). 참나무 목초액의 면역조절작용과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5(6), 136-142
  4. 김종수(2007). 참나무 목초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대구
  5. 류창열(2002). 목초액이 병을 고친다. 리스컴
  6. 조원기 및 최진호(2007a). 혈청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목초액 (Pyroligneous Liquor)의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40(1), 24-30
  7. 조원기 및 최진호(2007b). 흰쥐 감조직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40(2), 111-117
  8. 谷田具(2002). 일본목초액협회의 목초액 규격과 인정제도. 숯과 목초액, 6, 22-23
  9. Aoi, W., Naito, Y., & Yoshikawa, T.(2006). Exercise and functional food. Nutrition Journal, 5,15 https://doi.org/10.1186/1475-2891-5-15
  10. Banister, E. W., & Cameron, B. J.(1990). Exercise-induced hyperammonemia: peripheral and central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1, Suppl. 2, S129-S142
  11. Chyla, M., & Vrzgula, L.(1978). Intensity of acid-base reactions of the blood and cerebrospinal fluid in sheep after intraluminal stress induced by urea and acetic acid, Veterinery Medicine(Praha), 23(1): 9-18
  12. Davis, J. M., & Bailey, S. P.(1997). Possible mechanisms of central nervous system fatigue during exercise. Med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9(1), 45-57 https://doi.org/10.1097/00005768-199701000-00008
  13. Dembinska-Kiec, A., Mykkanen, O., Kiec-Wilk, B., & Mykkanen, H.(2008). Antioxidant phytochemicals against type 2 diabete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99, E-Suppl. 1, ES109-ES117 https://doi.org/10.1017/S000711450896579X
  14. Ikegami, F., Sekine, T., & Fujii, Y.(1998). Anti-dermaptophyt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n 'mokusaku-eki'. Yakugaku Zasshi, 118(1), 27-30
  15. Lo, s., Russell, J. C. & Taylor, A. W.(1970). Determination of glycogen in small tissue samples, Journal of Physiology, 28(2), 234-236
  16. Nishibe, S., Kinoshita, H., Takeda, H. & Okano, G.(1990). Phenolic compounds from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ico년 and their pharmacolgical effect in chronic swimming stressed rats. Chemical Pharmaceutical Bulletin (Tokyo), 38(6), 1763-1765 https://doi.org/10.1248/cpb.38.1763
  17. Shepherd, R. E., & Gollnick, P. D.(1976). Oxygen uptake of rats at different work intensities. Pflugers Archiv European Journal of Physiology, 362(3), 219-222 https://doi.org/10.1007/BF00581173
  18. Wisloff, U., Loennechen, J. P., Falck, G., Beisvag, V., Currie, S., Smith, G., & Ellingsen, O.(2001) Increased contractility and calcium sensitivity in cardiac myocytes isolated from endurance trained rats. Cardiovascular Research, 50(3):495-508 https://doi.org/10.1016/S0008-6363(01)00210-3
  19. Yatagai, M., Unrinin, G., & Ohira, T.(1988). By-products of wood carbonization. IV. Components of wood vinegars. Mokuzai Gakkaishi, 34(2), 184-188
  20. Yatagai, M., Nishimoto, M., Hori, K., Ohira, T., & Shibata, A.(2002). Termiticidal activity of wood vinegar, its components and their homologues. Journal of Wood Science, 48(4), 338-342 https://doi.org/10.1007/BF00831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