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e-wilting Time on Change of the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Barley

청보리의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수분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Song, Tae-Hwa;Han, Ouk-Kyu;Yun, Seong-Kun;Park, Tea-Il;Kim, Kyeong-Hoon;Kim, Kee-Jong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김경훈;김기종

  • Published : 2009120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pre-wilting time at different stage of harvest on change in the moisture content of whole crop barley(WCB) and its silage quality. Results showed that moisture content of whole crop barley could reach to 65%, which is an optimal content for making silage, by pre-wilting whole crop barley for 4 hours after harvest at either 20 days or 30 days after heading. As the feed value of silage, its protein content, TDN and RFV was high but ADF was low at an optimal level of moisture content, 60$\sim$65%. The pH and organic acid content, criteria for evaluating silage fermentation, were quite varied by the changes in moisture content. The highest content of lactic acid and low content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measured at the level of an optimal moisture content, indicating an efficient silage fermentation. In conclusion, 4 hours of pre-wilting after harvesting WCB could be an efficient way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silage under aerobic condition result in improving the quality and feed value of silage.

이 연구는 청보리 품종의 수확시기별 예건을 통한 수분 변화와 그에 따른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고자 출수 후 2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 수확하고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 예건하여 관련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보리는 출수 후 20일과 30일 정도에 수확을 할 경우 포장조건에서 4시간 정도 예건을 하면 사일리지 제조상의 적정 수분함량인 65%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의 사료가치로서 단백질 함량은 60$\sim$65%에서 높게 나타났고, NDF와 ADF는 낮았으며, TDN과 RFV는 높게 나타났다. 사일리지 발효상태를 보여주는 pH와 유기산은 수분함량의 변화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60$\sim$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가가 양질의 청보리 사일리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출수 후 30일경에 도달한 청보리를 수확한 후 4시간 정도의 포장 예건을 거쳐 결속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권찬호, 한준건.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2(3): 173-177
  2. 김원호, 서성, 정의수, 신동은,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2.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1. 생육특성 및 생초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2(3): 201-208
  3. 김원호, 서성, 윤세형, 김기용, 조영무,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3.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3(4): 283-288
  4. 김원호, 서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렬,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2007.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학회지 27(3): 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5.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효과. 한국초지학회지 16(2): 155-160
  6. 김종근. 정의수, 서성, 함준상, 김맹중, 이종경. 2006.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6(1): 39-44 https://doi.org/10.5333/KGFS.2006.26.1.039
  7. 서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고종민, 임시규. 2007.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한국초지학회지 27(2): 85-92
  8. 서성, 육완방. 2002. 한국에 있어서 답리작을 이용한 양질 조사료 생산기술. 한국초지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자료. pp. 3-56
  9. 신정남, 윤익석. 1983. 예건이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3(2): 92-99
  10. 양종성, 이상만, 김정갑, 한흥전. 1990. 청예 대맥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1. 대맥과 호맥의 생장 및 건물 축적형태에 대한 비교분석. 농시논문집 32: 42-48
  11. 윤성근, 박태일, 서재환, 김경훈, 송태화, 박기훈, 한옥규. 2009.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초지조사료지 29(2): 121-128 https://doi.org/10.5333/KGFS.2009.29.2.121
  12.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 및 호기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7(2): 187-198
  13. 최기준, 김원호. 2008. 한국에서 동계사료작물 생산과 이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제 46회 학술발표회. pp. 19-48
  14. 한정대, 윤익석. 1978. Silage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요인의 평가. 한국초지연구회보 1: 18-28
  15.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6. Delogu, G., N. Faccini, P. Faccioli, F. Reggiani, M. Lendini, N. Berardo and M. Odoardi. 2002.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at two phenological stage of Sardinia Italy. Field Crops Research 74: 207-215 https://doi.org/10.1016/S0378-4290(02)00002-3
  17.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8.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19. Gordon, C.H., 1967. Storage losses in silage as affected by moisture content and structure. J. Dairy Sci. 50: 398-402
  20. Kim, J. G., E.S. Chung, S. SEO, J.S. Ham, W.S. Kang and D.A. Kim. 2001. Effects of maturity at harvest and wilting days on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Asian-Aus. J. Anim. Sci. 14(9): 1233-1237
  21. Weise, F., 1967. Charaketeristische Unterschiede in der Entwicklung der garfutterfolra in Feucht-und Vorwelksilagen. Symposium Rostock. Tagungsberichte Nr. 92 der DAL, Berline, pp. 92-102
  22. Zimmer, E. 1973. New methods in fodder conservation. European grassland federation 5th general meeting Uppsala. 12-15 June, Main paper. pp.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