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leisure flow experience of masters swimmers on leisure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마스터즈 수영선수의 여가몰입경험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Yun, Dae-Hyun;Kim, Jin-Sung
윤대현;김진성

  • Published : 2009090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ffects of leisure flow experience of masters swimmers on leisure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chosen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masters swimming programs that run in the six sports centers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1st to April 5th 2009, using random stratified clustered sampling. According to the survey of 270 respondents, which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the meaningful result was followed. First, it showed that leisure flow experienced on taking part in the masters swimm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isure identity. In other words, immersed in swimming, swimmers tend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activity of swimming to a high degree and respected themselves more. In addition to these, they showed a deep emotional affection for the activity. Second, the leisure flow experienced in the masters swimming had a meaningful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immersion in swimming makes swimmers accept their identity positively, enhance their autonomy. And this not only helps to develop the attitude to grow themselves but also contributes to self-control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ituations around them. Finally, it showed that leisure identity of masters swimmers had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마스터즈 수영선수의 몰입경험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9년 3월 1일부터 4월 5일까지 D광역시 스포츠센터 여섯 곳에서 운영되는 마스터즈 수영프로그램 참가자이며, 이들은 유층집락무선표집을 사용하여 선택되었다. 총 270부의 설문을 받았고, 이를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 번째로, 마스터즈 수영에 참가하면서 경험하는 여가몰입은 여가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영에 몰입하면서 수영 활동과 자신의 ‘자아’를 동일시 여기는 정도가 높았고, 자신을 존중하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더불어 활동에 대한 정서적인 애착도도 높게 나타났던 것이다. 두 번째로 마스터즈 수영에 참가하면서 겪는 몰입경험은 그들의 심리적 웰빙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즉, 수영 활동의 몰입은 자신의 자아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하고, 자율성을 높이며, 개인적인 성장을 도모하려는 태도를 길러줄 뿐 아니라 타인과의 긍정적인 대인관계 및 주변의 여건을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스터즈 수영참가자가 형성한 여가정체성은 심리적 웰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2002).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1(5), 59-70
  2.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3. 김범, 백현(2008). 수영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와 참여몰입 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189-197
  4. 김석일(2004).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심리적 웰빙 프로파일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6), 193-203
  5. 김진성, 이창섭, 남상우(2009). 심리적 포부와 사회적 엮임: 마스터즈 수영 참가자의 지속요인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8(1), 93-101
  6. 박유진(2002).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유진, 김재휘(2002). 여가정체성 및 현출성에 따라 여가 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1(2), 141-161
  8. 송은주, 김정자(2007). 여가정체성 현출성(現出性)정도에 따른 댄스스포츠 경험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4), 185-197
  9. 송은주, 임수원, 김정자(2006). 댄스스포츠 몰입경험이 여가 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8, 581-590
  10. 양명환(2000). 교사들의 스포츠 활동 애호도가 심리적 행복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4(2), 182-200
  11. 양명환, 김덕진(2006). 마라톤대회 참가자의 기본적 욕구, 동기, 심리적 웰빙 및 행동의도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5(4), 251-262
  12. 양명환, 김덕진, 김정수(2008). 대학생의 스포츠 동아리와 교양체육 활동이 심리적 욕구 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4), 87-104
  13. 유진, 김석일(2004). 운동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4), 85-106
  14. 이미연(2004). 대학생의 여가자원과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정체성 및 주관적 행복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5. 이상구(1998). 생활체육 참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연주(2007). 배드민턴 참가자들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여가정체성 및 행복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4), 19-30
  17.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임인수(2001). 노인의 스포츠참여가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4(2), 385-398
  19. 원두리, 김교헌(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125-145
  20. 장진우(2007). 지역사회 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여가정체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5), 435-444
  21. 전영자(1991). 전문직 취업주부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심리적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323-343
  22. 정승희(2000). 마스터즈 수영참가자의 지각된 유능감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4. 중앙일보(2009.03.18). 한국인이 가장 해보고 싶은 운동은? 수영. 중앙일보, 42면
  25. 최성범(2007). 여가 스포츠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6(3), 339-350
  26. 체육과학연구원(2007). 한국의 체육지표.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7. 한광걸(2007). 등산 참여경험과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웰빙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허정식(2003). 노인의 운동참여와 주관적 건강인지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111-127
  29. Argyle,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London: Penguin
  30. Beard. J. G., & Ragheb, M. G.(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1), 20-33
  31. Callero, P. L. (1985). Role-identity salience. Social Psychology Quarterly, 48, 203-215 https://doi.org/10.2307/3033681
  32. Hastings, D. W.(1983). The ethos of master swimming.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Sociology, 18(3), 31-50 https://doi.org/10.1177/101269028301800303
  33. Hastings D. W. Kurth, S. B., Schloder, M., & Cyr, D.(1995).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serious leisure. Canadian and U.S. masters swimmers.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Sociology, 30(1), 101-117 https://doi.org/10.1177/101269029503000106
  34. Laverie, D, A. (1995). The influences of identity related consumption, appraisals, and emotions on identity salience: A multi-method approach. Doctori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35. Riddick, C. C. (1986).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Life Satisfaction precursor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9, 259-265
  36.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7. Schwartz, B., & Ward, A.(2004). Doing better but feeling worse: The paradox of choice. In P. A. Linley & S. Joseph(Eds.),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pp. 86-104). NJ: Wiley
  38. Shamir, B. (1992). Some correlates of leisure identity salience: Three exploratory stud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 301-323
  39. Stebbins, R. A.(1992). Costs and reward in barbershop singing. Leisure Studies, 11, 123-133 https://doi.org/10.1080/0261436920039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