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including step aerobic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x hormone in the elderly women

스텝에어로빅을 포함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골밀도와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Byeon, Jae-Kyung;An, Gi-Joong;Goong, Sung-Soo;Park, Sun-Hee;Seo, Jung-Gi
변재경;안기중;궁성수;박순희;서정기

  • Published : 200903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including step aerobics has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sex hormones of the elderly women (age≥65, n=20).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measuring BMD and sex hormones, we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n=10) and the control group (n=10). All the variable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And, the significant level was set to $\alpha$=.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MD in lumbar(L1-L4),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was enhanced a little high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BMD in femoral neck was indic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p<.001), but it wasn't indicated to be significantly in the control group. Second, estradiol in a sex hormone showed tendency of reducing sligh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was indicated to b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ntrol group(p<.05). Testosterone showed a significant rise in the experimental group(p<.001), and indic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p<.05) as well, an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p<.01). In conclusion, the regular combined exercise program including step aerobics for 12 weeks is effective for maintaining BMD and inhibiting bone loss in elderly women, and has positive influence upon increasing and maintaining the sex hormone, thereby being thought to be able to lower risk in osteoporosis.

본 연구는 스텝에어로빅을 포함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골밀도와 성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65세-75세 이하의 여성노인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으로 나누어 골밀도와 성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와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alpha$=.05로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밀도는 대퇴경부에서 실험집단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요추(L1-L4), 워드삼각부, 대전자부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성호르몬에서 에스트라디올은 통제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테스토스테론은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01), 통제집단에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집단 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적으로 스텝에어로빅을 포함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여성노인들의 골밀도를 유지하고 골소실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성호르몬의 증가 및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골다공증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만(1999). 연령에 따른 여자 역도선수의 골밀도, 관련혈액변인, 신체구성 및 체력요인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 김동진(2003). 장기간 운동이 노인들의 심혈관기능, 근기능, 신체조성 및 골밀도 수준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3. 김상우, 배윤정(2002).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력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1): 477-491
  4. 김석희, 오상덕, 박양선(2003). 폐경여성들의 규칙적인 운동습관과 신체구성 및 골밀도의 상관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7(2): 65-74
  5. 김성수, 박순영, 이계영, 윤진환, 신말순, 백용주(1995). 운동종목별 트레이닝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3(2): 199-207
  6. 김유섭, 강효영, 장재봉(1999). 체중부하운동이 폐경기 후 여성들의 대퇴 및 요추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8(1): 83-95
  7. 김은경, 이계영, 이삼준, 심영제(2004). 폐경기 여성의 운동형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929-937
  8. 김주훈, 안용덕, 정광익(2000). 실내 구기운동별 대학 선수들의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 비교. 조선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1: 131-143
  9. 김창규, 위승두, 안의수, 남상남, 여남회, 김형돈, 김명화, 이대택, 배윤정(2002). 운동생리학. 서울: 대한미디어
  10. 김창범, 박종진(1999). 운동특성에 따른 대학 운동선수들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1(1): 205-214
  11. 대한운동사회 역(2003).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 서울: 대한미디어
  12. 박계순(1995). 운동과 호르몬 보충요법이 폐경초기 여성의 체력, 체구성, 혈액성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3. 박래준, 강기창(1998). 유산소 운동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0(2): 74-86.
  14. 박익렬(2004).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고령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459-469
  15. 박인숙(1998). 운동형태의 차이가 골밀도와 골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3(1): 69-76
  16. 백은주, 김상윤, 조홍구, 최은, 이양균, 한인권(1996). 운동요법 양상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0(1): 194-199
  17. 변재경(1999). 여자운동선수의 월경주기상태가 골밀도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8(3): 405-421
  18. 변재경(2001). 발레리나의 월경주기상태가 골밀도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2(1):239-251
  19. 송종국, 채주희, 김현배(2007). 대학 여자운동선수들의 고강도 훈련이 유산소능력, 골밀도와 혈중철분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547-558
  20. 신종식(2005). 운동형태에 따른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골대사 및 골밀도의 변화.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1. 안용덕(2002). 하타요가 수련과 게이트볼 및 중량부하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3): 459-466
  22. 여남희, 박일봉(2002). 중년여성들의 비만과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를 위한 리모델링 운동처방 프로그램 개발. 운동과학, 13(3): 351-364
  23. 우창하(2001). 청소년기 운동형태가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4. 원영두, 안용덕, 정광익(2000). 투기운동별 대학 선수들의 요추, 대퇴골밀도 비교. 조선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1: 103-115
  25. 유신환(2004). 노인의 건강관련 습관, 체력 및 성호르몬 수준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6. 이계영(1994).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한 운동선수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7. 이규문, 최종환, 김창범, 김태헌(1997). 10주간의 체계적 운동이 노인들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평생체육연구소, 9: 47-56
  28. 이상연, 한정규(2005). 근력운동프로그램이 성장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4): 67-75
  29. 이정숙, 장경태(1994). 여성체육. 대한미디어, 161-182
  30. 이청무(1996). 고연령 여성의 규칙적인 운동이 골밀도, 근력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체질인류학회지, 9(2): 149-162
  31. 장경태, 최현선, 김영선, 전해섭, 김장석(2005). 수영, 자전거타기,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6): 547-554
  32. 장창현(1998). 폐경 후 여성의 에어로빅스, 수영, 작업활동이 골밀도와 골대사 전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7(4): 433-442
  33. 전유정(2002). 댄스스포츠운동이 폐기능, 혈중 지단백 및 성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34. 조성봉(2003). 폐경 이후 여성의 수영 및 저항운동을 통한 건강관련 체력 및 골밀도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1435-1444
  35. 조수현, 정성태, 박계순, 진영수, 홍기영(1996). 운동과 호르몬 보충요법이 폐경초기 여성의 체력, 체구성, 혈액성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5(2): 2217-2227
  36. 최은택, 이수재(2003). 폐경 후 골다공증 예방 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골밀도 및 건강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5): 727-734
  37. 홍희옥, 이옥희(2002). 여자 수영선수들의 요추 골밀도 및 골형성 지표. 운동영양학회지, 6(2): 163-168
  38. Andon, M. B., Smith, K. T., Bracker, M., Statoris, D., Saltman, P., & Strause, L.(1991). Spinal bone density and calcium intake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4: 927-929
  39. ACSM(2000).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0. Aloia, J. F., Cohn, S. H., Ostuni, J. A., Cane, R., Elis, K.(1978). Prevention of involution bone loss by exercis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89: 356-358 https://doi.org/10.7326/0003-4819-89-3-356
  41. Alway, S. E., Coggan, A. R., Sproul, MS., Abdugjajil, A. M., & Robatille, P. M.(1996). Muscle torque in young and older untrained and endurance trained men. Journal of Gerontology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1A(3): 195-201 https://doi.org/10.1093/gerona/51A.3.B195
  42. Beck, B. R., & Snow, C. M.(2003). Bone health across the lifespan-Exercising our options.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31(3): 117-122 https://doi.org/10.1097/00003677-200307000-00003
  43. Bevra, H. H., William, A. P. & Riggs, J. R.(1985). Warding off osteoporosis. Patient Care, 15: 20-49
  44. Blanchet, C., Giguere, Y., Prud'homme, D., Dumont, M., Rousseau, F., & Dodin, S.(2002).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bone: influence of vitamin D recertor genotype .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1): 24-31 https://doi.org/10.1097/00005768-200201000-00005
  45. Cerella, J.(1990). Aging and information-processing rate in J. E. Brrin & K. W. schaie(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201-221
  46. Chien, M. Y., Wu, Y. T., Yang, R. S., & Lai, J. S.(2000). Efficacy of a 24-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for Osteopenic Postmenopausal Women.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67: 443-448 https://doi.org/10.1007/s002230001180
  47. Debra, J. Rose.(2003). Fall Proof, USA: Human Kinetics
  48. Edward, W. G., Mark, A. P. & Carl, J. C.(2000). Physical activity, falls, and fracture among older adults: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Sociology, 48: 883-893
  49. Hagberg, J. M., Zmuda, J. M., McCole, S. D., Rodgers, K. S., Ferrell, R. E., Wilund, K. R., & Moore, G. E.(2001). Moderate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higher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49(11): 1411-1417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1.4911231.x
  50. Hickson, R. C., Hidaka, K., Foster, C., Falduto, M. T., & Chatterton, R. T.(1994). Successive time course of strength development and steroid hormone responses to heavy-resistance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6(2): 663-670
  51. Humphries, B., Newton, R. U., Bronks, R., Marshall, S., McBride, J., Triplett-Mcbride, T., Hakkinen, K., Kraemer, W. J., Humphrise, N.(2000).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bone density, strength, and calcium turnover in older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2(6):1043-1050 https://doi.org/10.1097/00005768-200006000-00002
  52. Jackson, J. A, & Kleerekoper, M.(1990). Osteoporosis in men: diagnosis, pathophysiology, and prevention. Medicine (Baltimore), 69: 137-52
  53. Karlsson, M. K., Johnell, O., & Obrant, K. J.(1993). Bone mineral density in weight lifters.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52(3): 212-215 https://doi.org/10.1007/BF00298721
  54. Keith, E. Friend, Mark L. Hartman, Susan S. Pezzoli, Jody L. Clasey, & Michael & O. Thomer.(1996). Both Oral and Transdermal Estrogen Increase Growth Hormone Release in Postmenopausal Women-A Clinical Research Center Study. Journal of Clinical Endcrinology and Metabolism, 81(6): 476-486 https://doi.org/10.1210/jc.81.6.2250
  55. Kjaer, M.(1989). Epinephrine and some other hormonal responses to exercise in man : with special reference to physical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110: 2-15 https://doi.org/10.1055/s-2007-1024866
  56. Kligman, E. W., & Pepin, E.(1992). Prescribing physical activity for older patients. Geriatrics, 47(8): 33-47
  57. Kohrt, W. M.(2001). Osteoprotective benefits of exercise: more pain, less gai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 1565-1567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1.4911255.x
  58. Kraemer, W. L., Marchitelli, S., Gordon, E. Harman, J. Dziados, R. Mello. P. Frykman, D. McCurry & Fleck.(1990). hormonal and growth factor responses to heavy resistance exercise protocol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9: 1442-1450
  59. Lindsay, R.(1987). Estrogen and osteoporosis. physician and sports medicine, 15(11): 105-108
  60. Marcus, R., Drinkwater, B., Dalsky, G., Dufek, J., Raab, D., Slemenda, C., & Snow-Harter, C.(1992). Osteoporosis and exercise in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4(6): 301-307 https://doi.org/10.1249/00005768-199206001-00013
  61. Mezes, M., & Bartosiewicz, B.(1982). Investigations concerning vitamin A transport in rheumatic diseases. Clinical Rheumatology, 1: 190-193 https://doi.org/10.1007/BF02042773
  62. Porch, J. V., Jain, K., Reilly, A., Valdez, C., Mazariegos, M., Ziegler, T. R., Solomons, N., & Smith, R. J.(1997). Aging, physical activity, insulin-like growth factor I, and body composition in Guatemalan wo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6: 874-879
  63. Richard, B., Baumgartner, Debra, L. Waters, J. E. Morley, P. Patrick, George D. Montoya, & Philip, J. Garry.(1999). Age-related changes in sex Hormones Affect the sex difference in serum leptin independently of changes in body fat. Metabolism, 48(3): 378-384 https://doi.org/10.1016/S0026-0495(99)90089-6
  64. Rikli, R. E. & Jones, C. J.(2001). Senior fitness test manual.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65. Sipila, J., Taaffe, D. R., Cheng, S., Puolakka, J., & Toivaneb, J.(2001). According to increased muscle strength on forced vital capacity Osteoporosis. International Supplement, 2: 17-23
  66. Spirduso, W. W., Francis, K. L., & MacRae, P. G.(2005).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2nd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67. Smith, E. L, Reddan, W. & Smithm, P. E.(1981). Physical activity and calcium modalities for bone mineral increase in aged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3: 60-64
  68. Vincent, K. R., Braith, R. W.(2002). Resistance exercise and bone turnover in elderly men and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1): 17-23 https://doi.org/10.1097/00005768-200201000-00004
  69. Welton, D.C., Kemper HCG, Post GB.(1994). Weight-bearing activity during youth is a more important factor peak bone mass than cal-cuim intake.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9: 1089-1096 https://doi.org/10.1002/jbmr.5650090717
  70. Wolman, R. L., Faulmann, L., Clark, P., Hesp, R., & Harries, M. G.(1991). Different training pattern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femoral shaft in elite, female athletes. Annual Rheumatic Disease, 50(7): 487-489 https://doi.org/10.1136/ard.50.7.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