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ing in Chestnut Trees by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SCB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

  • Kwon, Yong-Hee (Division of Special Purpose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Uk (Division of Special Purpose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wang, Suk-In (Division of Special Purpose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Baik, Eul-S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권용희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황석인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자원연구과) ;
  • 백을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Received : 2009.09.04
  • Accepted : 2009.10.16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ing in chestnut trees by SCB (Slurry Compostion and Biofilteration) liquid fertilizer instead of Chemical fertilizer. The experiment was done between April, 2008 and September, 2009, using seven years old grafting trees 'Tsukuba'. Fertilizer treatment was designed as follows; SCB liquid 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s and no fertiliz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2nd year, height and basal diameter gain of 8.04% and 25.90% over than the 1st year by SCB liquid fertilizer. The number of burrs per bearing mother branch showed no significant increment by SCB liquid fertilizer but fruiting rate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B liquid fertilizer has a value of new eco-friendly fertilizer.

저농도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액비 시비가 생장 및 결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접목 7년생 '축파(Tsukuba)' 품종을 대상으로 SCB액비,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무처리구 등 4처리를 관행 시비량에 준한 시비 처리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생장 및 결실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수고 및 근부직경의 생장은 전년도에 비해 화학비료와 SCB액비 처리구에서 각각 8.18%와 26.93%, 8.04%와 25.90%의 증가량을 보였으며, 착구부 직경에 대한 기부직경의 비는 화학비료 처리구를 제외하고 전년도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되었다. SCB액비 처리구에서 착과율이 86.25%로 높게 나타남에 따라 SCB액비가 생장과 수세에 기여하는 양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새로운 비종으로서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

References

  1. 고광출, 오성도, 임열재, 유영산, 강성모, 김선규, 신용억, 정경호. 1999. 과수전정 생리. 서원출판사. 서울 pp. 22
  2. 국립산림과학원. 2007. 밤나무 재배 신기술. pp. 31-37, 204-208
  3. 김만조, 이 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2003. 밤나무 주요품종의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 321-332
  4. 농림부. 2007. 농림업주요통계. pp. 231-238
  5. 농촌진흥청. 2007. 가축분뇨 자원화기술 연구성과. pp. 10-21
  6. 박치호. 2007. SCB에 의한 양돈처리 방법. 가축분뇨 자연순환 촉진을 위한 SCB액비 이용 세미나 및 연시회 자료집.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pp. 43-65
  7. 박진면, 강윤임, 임태준, 이인복. 2009. SCB 액비 시용이 토마토 생육 및 수량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7(1): 90-91
  8. 산림청. 2009. 임업통계연보. pp. 306-343
  9. 유덕기. 2005. 가축분뇨공동이용을 위한 액비의 경제적 가치분석. 한국유기농학회지 13(2): 129-143
  10. 육완방, 최기춘, 안승현, 이종감. 1999. 액상발효우분의 시용시기와 시용시준이 호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7(1): 75-81
  11. 이상복, 김종구, 이경보, 이덕배, 김재덕. 2004. 논토양에서 가축분뇨 액비시용이 볏짚 분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2): 104-108
  12. 이종태, 하인복, 김희대, 문진성, 김일구, 송원구. 2006. 돈분뇨 액비시용이 양파의 생육, 양파흡수량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4(2): 148-156
  13. 임태준, 홍순달, 김승희, 박진면. 2008. 고추에서 SCB액비 시용량 설정을 위한 수량 및 품질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7: 171-177 https://doi.org/10.5338/KJEA.2008.27.2.171
  14. 전원태, 박향미, 박창영, 박기도, 조영손, 윤을수, 강위금. 2003. 돈분뇨 액비 시용이 벼의 생육 및 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6(5): 333-343
  15. 정광화, 김재환, 정만순, 박치호, 곽정훈, 최동윤, 유용희. 2006. 액비저장조내 돼지분뇨슬러리의 깊이별 유기물 및 질소, 인의 농도 및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413-1416
  16. 정병헌, 주린원, 김재성, 최수임, 김선창. 2006. 밤나무 저수고 전정에 대한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5(4): 468-475
  17. 조도현, 한심희, 김판기. 2008. 석탄폐관지에서 백합나무의 생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시비효과. 경북대학교 생명자연과학연구 6: 146-157
  18. 최기준, 육완방. 2000. 발효돈분 및 화학비료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행. 한국초지학회지 20(1): 41-48
  19. 함선규, 김영선, 김택수, 김기선, 박치호. 저농도 SCB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3(1): 91-100
  20. Bernal, M.P. and Kirchman, H. 1992.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and ammonia volatilization from fresh, aerobically and anaerobically treated pig manure during incubation with soil. Biol. Fert. Soils 13: 135-141 https://doi.org/10.1007/BF00336268
  21. Douglas, B.F. and Magdoff, F.R. 1991. An evaluation of nitrogen mineralization induce for organic residues. J. Environ. Qual. 20: 368-372 https://doi.org/10.2134/jeq1991.00472425002000020006x
  22. Westwood, M.N. 1993. Temperate 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Timber Press, Inc. pp.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