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ived Performance of HACCP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rs in Daejeon

대전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의 HACCP 직무관련 수행도 평가

  • Kim, Young-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n-Ja (Department of Nutri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Paichai University) ;
  • Ly, Sun-Y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영옥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권순자 (배재대학교 외식급식경영학과) ;
  • 이선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53 dietitian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Daejeon area. The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fields: 'General characteristics', 'Facility and equipment set up at the schools studied', 'Performance of CCP(criticai control point)s' and 'Reasons of barriers to HACCP(hazard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implemen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ubjects were the dietitians of elementary school(56.9%), were university graduates(51.0%) and were in their thirties(58.2%). The average length of their career had been 5.8 years. The average ratio of students per dietitian was 1,163. The average ratio of students per full-time employee was 124. The ratio of self-operated management was 90.2 %. The CCP7(assembling and serving) received the highest performance score, while the performance score of CCP2(management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as the lowest. Eighty-four percent of the surveyed school foodservices did not have pre-preparation rooms. The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ere not well equipped with hot/cold holding equipments. Self-operated management scored higher on almost all sections(CCP1-CCP7). Contracted management scored highest on CCP8. The higher the age and career of the subject were, the higher were all the CCP performance scores. The reasons of barriers to HACCP implementation were lack of understanding of standards CCP1 and CCP2, workers' lack of cooking knowledge,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school foodservice.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재(1996) 식품위생관리와 HACCP제도. 식품과학과 산업, 5, 11-14.
  2. 강영재(1999) HACCP제도를 활용한 단체급식 위생관리 실무. 서울, 수학사.
  3. 강영재(2000) 학교급식 HACCP 적용을 위한 시설개선. 서울, 학교급식연수회.
  4. 고무석, 정난희, 이전옥(2004) 전남지역 학교급식의 위생관리 실태. 한국가정과학회지, 7(1), 51-67.
  5. 곽동경(1999) 급식산업의 HACCP 도입 필요성 및 발전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4(3), 1-13.
  6. 곽동경, 남순란, 김정리, 박신정, 서소영, 김성희, 최은희(1995) 공동조리 학교급식의 미생물적 품질보증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한국조리과학회지, 11(3), 249-260.
  7. 곽동경, 이경미, 장혜자, 강영재, 홍완수, 문혜경(2005) 현장실사를 통한 급식유형별 위생관리실태 분석. 한국조리과학회지, 21(3), 290-300.
  8. 곽동경, 홍완수, 문혜경, 류정, 장혜자(2001)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실태평가. 한국식품위생학회지, 16(3), 168-177.
  9. 교육인적자원부(2002)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0. 교육인적자원부(2003)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 자료출처 http://www.moe.go.kr.
  11. 김경미, 이심열(2008) 수도권 지역 학교급식소의 위생관리 현황 및 HACCP 시스템 적용 장애 요인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3(3), 405-417.
  12. 김미경(2005)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시스템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수준 연구-경북지역 직영 급식 학교 중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문주, 노병의(2000) 초등학교급식에서의 주요식단에 대한 HACCP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학회협회지, 26(2), 177-188.
  14. 김선희(2007)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영양사들의 HACCP 시스템 적용 현황에 따른 위생실천도와 장애요인 비교분석. 한국조리과학회지, 23(2), 195-204.
  15. 김영숙(2003) 학교급식의 위생현황 및 HACCP system 도입에 관한 중요성. 식품과학과 산업, 6, 92-98.
  16. 김종규(1997) 식중독 발생의 사례를 통해 본 집단급식의 문제점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2(3), 240-253.
  17. 김종규(2000) 국내 급식위생관리의 현황고찰 및 발전방안.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3), 186-198.
  18. 김혜영, 김희정(2000) 위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급식음식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5(4), 304-314.
  19. 남은정, 김미라, 이연경(2003) 대구지역 사업체급식소에 대한 HACCP 적용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6(2), 223-230.
  20. 류은순, 장혜자(1995) 단체급식소 종사자의 위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1(3), 274-281.
  21. 류은순, 정동관(1999) 부산지역 학교급식의 위생관리 수행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6), 1398-1404.
  22. 박용만(1999) 단체급식에서의 HACCP 적용. 식품산업과 영양, 4(3), 30-33.
  23. 박상현, 임영희(2005) 대전.충남지역 학교급식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2), 234-242.
  24. 보건복지부(2000) 학교급식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HACCP 시스템구축.
  25. 배현주, 강영재, 전희정(2002) 단체급식소 조리음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HACCP제도 도입 효과. 대한보건협회.
  26. 송임숙, 채인숙(2008)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41(8), 870-886.
  27. 식품의약품안전청(2003)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 자료출처 http://www.kfda.go.kr.
  28. 식품의약품안전청(2005) 식품의약품통계연보, 자료출처 http://www.kfda.go.kr.
  29. 신광순(1999) HACCP이론과 실천모델. 식품의약품안전청 인터넷 게시자료, 자료출처 http://www.kfda.go.kr.
  30. 양재승(1997) 식품의 안전성과 HACCP. 식품과학과 산업, 30(4), 172-182.
  31. 오정희(2005) 인천지역 HACCP 적용 급식학교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실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유화춘(2002) HACCP개념을 도입한 집단급식의 위생관리. 한국식품위생연구원 식품위생연구부.
  33. 이경은, 이혜상(2005)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와 HACCP 시스템 적용 장애 요인 인식정도가 위생.안전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회학술지, 11(2), 179-189
  34. 이승용, 장영수, 최희진(1999) 우리나라의 HACCP제도 실시현황 및 추진전망 -단체급식을 중심으로-. 식품산업과 영양, 4(3), 14-26.
  35. 전인경, 이연경. HACCP 적용 초등학교 급식의 미생물적 품질 평가. 대한보건협회, p. 453, 2002
  36. 정유경, 곽동경(2000) 서울지역 초동학교 급식관리 영양사의 위생관리와 관련된 직무 수행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5(1), 100-108.
  37. 정현주, 문수재, 이일하, 유춘희, 백희영, 양일선, 문현경 (1997) 전국 초등학교 급식실태 관리 조사. 한국영양학지, 30(6). 704-714.
  38. 천석조(1993) HACCP 방식의 도입과 위생관리지침과의 작성예. 식품과학과 산업, 26(3), 17-31.
  39. 최숙희, 김성희, 곽동경(2003) 학교급식에 HACCP시스템 적용시 장애요인에 대한 영양사 인지도.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9(3), 209-218.
  40. 홍종해(1994) 식품의 안전성 확보와 HACCP제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9(4), S1-S7.
  41. 홍종해(1999) 국내에서의 HACCP 개념의 실용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4(1), 104-114.
  42. Harrigan WF and McCance ME(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INC.
  43. Roh PU(1997) Present states of school foodservices in foreign countries.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Autumn Seminar, 3-10.

Cited by

  1. Dieticians' Perception of Nutrient Preservation Management Practices during Meal Production by School Food Service in Daegu Area vol.18, pp.2, 2012, https://doi.org/10.14373/JKDA.2012.18.2.170
  2. Dieticians' Perceived Performance Level and Obstructive Factors of HACCP System among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Gyeongbuk Province vol.43, pp.11,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11.1774
  3. Analysis of Usage Frequency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in School Foodservice Menus vol.31, pp.3, 2015, https://doi.org/10.9724/kfcs.2015.31.3.360
  4.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Perceptions of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s in the Gyeongnam Area vol.41, pp.10,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1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