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chemistry and noble gas origin of hot spring waters of Icheon and Pocheon area in Korea

이천 및 포천지역 온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및 영족기체 기원

  • Jeong, Chan-Ho (Department of Geotechnical Design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 Koh, Yung-Kw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Shin, Seon-Ho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Nagao, Keisuke (Laboratory for Earthquake of Chemistry, Graduate School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
  • Kim, Kyu-Ha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hwa Woman University) ;
  • Kim, Gun-Young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Hydrochemical, stable isotopic ($\delta^{18}O$ and dD) and noble gas isotopic analyses of seven hot spring water samples, eleven groundwater samples and six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Icheon and Pocheon area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 interpret the source of noble gases and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hot spring waters. The hot spring waters show low temperature type ranging from 21.5 to $31.4^{\circ}C$ and the pH value between 6.69 and 9.21. Electrical conductivity of hot spring waters has the range from 310 to $735\;{\mu}S/cm$. Whereas the hot spring water in the Icheon area show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pH, the $Ca-HCO_3$(or $Ca(Na)-HCO_3$) chemical type and a high uranium conten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Pocheon area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ne pH, the $Na-HCO_3$ chemical type and a high fluorine content.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Icheon area is under the early stage in the geochemical evolution, and tha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Pocheon area has been geochemically evolved. The $\delta^{18}O$ and ${\delta}D$ values of hot spring waters show the range of $-10.1{\sim}-8.69%o$ and from $-72.2{\sim}-60.8%o$,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supply the information of the recharge area of hot spring waters. The $^3He/^4He$ ratios of the hot spring waters range from $0.09\;{\times}\;10^{-6}$ to $0.65\;{\times}\;10^{-6}$ which are plotted above the mixing line between air and crustal components. Whereas the helium gas in the Icheon hot spring water was mainly provided from the atmospheric source mixing with the mantle(or magma) origin, the origin of helium gas in the Pocheon hot spring water shows a dominant crustal source. $^{40}Ar/^{36}Ar$ ratios of hot spring water are in the range of an atmosphere source.

이 연구는 이천과 포천지역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온천에 대하여 화학성분,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그리고 헬륨과 아르곤 같은 영족기체의 동위원소 특성을 분석하여 온천별 지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영족기체의 기원과 지하수의 지화학적 상관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지역에서 7점의 온천수와 가스성분을 채취하였고, 온천공 주변 지하수와 지표수 17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온천수는 환원성환경의 중성내지는 약알카리성의 pH 특성을 보이고, 전기전도도는 $310{\sim}735\;{\mu}S/cm$ 범위를 보여준다. 온천수의 수온은 $21.5{\sim}31.4^{\circ}C$ 범위로 저온형이며, 성분상 단순온천에 해당된다. 이천지역 온천수는 중성의 pH 조건과 주변지역 지하수와 유사한 $Ca-HCO_3$ 내지는 $Ca(Na)-HCO_3$ 수리화학적 유형을 보이는 반면, 포천지역 온천수는 알카리성의 pH 조건과 $Na-HCO_3$ 유형으로 지화학적으로 상당히 진화된 특성을 보인다. 이천온천수는 우라늄의 함량이 높고, 포천지역 온천수에는 불소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온천수의 $\delta^{18}O$${\delta}D$값은 각각 $-8.85{\sim}-10.1%o$$-60.8{\sim}-72.2%o$의 범위로 순환수기원을 보인다. 동위원소 조성을 보면 포천지역 온천수는 지하수에 비해 고지대 함양과 긴 유동경로를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 온천수내 영족기체 동위원소비 분석 결과 $^3He/^4He$ 동위원소비는 $0.094\;{\times}\;10^{-6}{\sim}0.653\;{\times}\;10^{-6}$ 범위를 보인다. 이천지역 온천수는 대기기원의 헬륨이 우세하지만 맨틀(마그마)와 같은 심부기원의 혼합율이 포천지역 온천수보다 높은 특성을 보인다. 포천지역 온천수는 지각기원의 헬륨 혼합율이 높다. 또한 온천수별 동일한 기원의 혼합선상에서도 천부지하수와 심부지하수의 혼합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4He/^{20}Ne$ 비를 보인다. 온천수의 $^{40}Ar/^{36}Ar$ 비는 대기기원의 값과 유사한 범위를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2008,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정밀조사(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93p
  2. 고용권, 윤성택, 김천수, 배대석, 박성숙, 2001, 부곡지열수의 심부환경과 지화학적 진화: 유황형 지열수의 생성과정 재해석, 자원환경지질, 34, 329-343
  3. 김건영, 고용권, 김천수, 배대석, 박맹언, 2000, 유성지역 지열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연구, 지하수토양환경, 7, 32-46
  4. 김규한, 정윤정, 정찬호, K. Nagao, 2008, 강화 석모도 지역 온천수와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연구, 자원환경지질, 41, 15-32
  5. 김규한, 최현정, 1998, 남한의 온천지역의 열수와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9, 22-34
  6. 이종태, 2008, 국내 온천수의 현황과 수질특성, 대한온천협회, 290p
  7. 여상철, 임주환, 1974, 한국지질도 이천도폭(1:50,000) 및 도폭설명서, 국립지질광 물연구소, 45p
  8.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종, 최현일, 진명식, 1999, 서울-남천점 지질 도폭설명서(1:250,000), 한국자원연구소, 51p
  9. 정찬호, 김통권, 김천수, 김수진, 1997, 편마암-물 상호반응에 의한 지하수의 지화학적 진화 및 이차광물 생성에 대한 반응경로 모델링, 한국광물학회지, 10, 33-43
  10. 정찬호, K. Nagao, 김규한, 최훈공, H. Sumino, 박지선, 박충화, 이종익, 허순도, 2008, 동해안 온천유형별 수리 화학적 특성 및 영족기체 기원, 지하토양환경, 13, 1-12
  11. 정찬호, 허현성, K. Nagao, 김규한, 2007, 호남지역 저온형 온천수의 수리지화학적 및 안정동위원소 특성과 영족 기체의 기원에 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40, 635-649
  12. Aka, F.T., Kusakabe, M., Nagio, K. and Tanyileke, G., 2001, Noble gas isotopic compositions and water/gas chemistry of soda springs from the islands of bioko, SoTom and Annobon, along with Cameroon Volcanic Line, West Africa. App. Geochem., 16, 323-338
  13. Apambire, W, B., Boyle, D. R and Michel, F. A., 1997, Geochemistry, genesis, and health implications of fluoriferous groundwaters in the upper regions of Ghana. Environmental Geology 33, 13-24 https://doi.org/10.1007/s002540050221
  14. Coleman, M, L., Shepherd T. J., Durhham, J. J., Rouse, J. E. and Moore, G. R., 1982, Reduction of water with zinc for hydrogen isotope analysis. Anal. Chem., 54, 993-995 https://doi.org/10.1021/ac00243a035
  15. Craig, H., 1961, Isotopic variation in meteorc water, Science, 133, 1702-1703 https://doi.org/10.1126/science.133.3465.1702
  16. Kendall, C. and Colpen, T. B., 1985, Multisample conversion of water to hydrogen by zinc for stable isotope determination. Anal. Chem., 57, 1438-1440 https://doi.org/10.1021/ac00290a806
  17. Koh, Y.K., Yun, S.T. and Ahn, J.S., 1994, Environmental isotope and hydrochemical studies of geothermal waters in Korea: Yusung geothermal area, Jour: Korean Inst. Mineral & Energy Resour. Eng., 31, 388-399
  18. Nakamura, T., Nagao, K. and Takaoka, N., 1999, Microdistribution of primordial noble gases in CM chondrites determined by in situ laser microprobe analysis: Decipherment of nebular processes, Geochim. Cosmochim. acta, 63, 241-255 https://doi.org/10.1016/S0016-7037(98)00275-0
  19. Okazaki, R., Takaoka, N., Nagao, K., Sekiya, M. and Nakamura, T., 2001, Noble-gas-rich chondrules in an enstatite meteotite. Nature, 412, 795-798 https://doi.org/10.1038/35090520
  20. Osawa, T. and Nagao, K., 2002, Noble gas compositions of Antarctic micrometeorites collected at the Dme Fuji Station in 1996 and 1997. Meteoritics and Planetary Science, 37, pp. 911-936 https://doi.org/10.1111/j.1945-5100.2002.tb00867.x
  21. Piper, A. M., 199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analyses., Transactions of American Gophysical Union, 25, 914-923
  22. Yun, S. T., Koh, Y. K., Kim, C. S. and So, C. S., 1998, Geochemistry of geothermal waters in Korea: Environ mental isotope and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I. Bugok area. Econ. Environ. Geol., 31, 185-199 https://doi.org/10.1007/s00254005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