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Dongjin River Watershed

동진강 유역의 수질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Hye-W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Park, Seok-S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박석순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water quality was performed for eleven monitoring stations in Dongjin River watershed in order to determine the trends of monthly water quality. The monthly water quality data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during $1995{\sim}2004$, were analyzed utilizing Seasonal Mann-Kendall test, LOWESS and three-dimensional graphic approach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D and TN concentrations had the downward trend, but TP showed the upward trend, especially in Gobucheon. This numerical and graphic analysis is the useful tool to analyze the long-term trend of water quality in a large river system.

본 연구에서는 계절적 변화가 뚜렷한 장기간 수질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향 분석을 위하여 계절 맨-켄달 검정법, LOWESS와 시 공간 그래프를 활용하였다. 이 방법들을 통하여 기존의 수질 경향 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정량적이고 정성적으로 수질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및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인 새만금 유역의 동진강에서 측정된 1995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의 계절 맨-켄달 검정법의 결과를 살펴보면, BOD와 TN 농도는 감소하거나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역 내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효율 증가와 수질 대책 등의 효과로 판단된다. 반면 TP 농도는 11개 지점 중에서 6개 지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류인 정읍천의 수질 농도는 모든 항목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하천의 유하에 따른 자정작용의 효과와 하천주변정화 사업 등의 효과를 잘 보여주었다. 그러나 원평천과 고부천의 경우에는 연구 대상 기간 동안의 수질이 변화가 없거나 악화되는 현상을 보이기 때문에 향후 조성될 새만금 담수호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시 공간 그래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동진강 유역의 수질은 공간적으로 정읍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시간적으로는 연구 대상 기간 동안 BOD와 TN 농도는 연도별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에 TP 농도는 1997년 이후 수질이 악화되어 현재까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정량적, 정성적 기법은 전문가들의 정책 효과 여부 및 향후 정책 결정 등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인들도 쉽게 수질 변화 정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유역 이해관계자들의 유역 관리 활동을 유도하는 데 과학적인 근거자료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구, 김양수. 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 모델의 적용-1.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35(4): 348-355
  2. 김종구, 김양수, 조은일. 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 모델의 적용-2. 오염부하의 적량적 관리. 한국수산학회지 35(4): 356-365
  3. 김주화, 박석순. 2004.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수질 장기 경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0(1): 63-71
  4. 김현경, 이혜원, 최정현, 박석순. 2007.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조간대 및 희석률 변화에 관한 모델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9(10): 1106-1113
  5. 이종식, 정구복, 김진호, 윤순강, 김원일, 신중도. 2004. 만경강 및 동진강 수계의 BOD에 의한 수질 평가. 한국환경농학회지 23(2): 81-84 https://doi.org/10.5338/KJEA.2004.23.2.081
  6. 이혜원, 박석순. 2008. 비모수 통계기법을 이용한 만경강 유역의 장기간 수질 경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24(4): 480-487
  7. Bekele, A. and A. McFarland. 2004. Regression-based flow adjustment procedures for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Transactions of the ASABE 47(4): 1093-1104
  8. Cleveland, W.S. 1979. Robust lo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smoothing scatterplo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3): 829-836 https://doi.org/10.2307/2286407
  9. Cleveland, W.S. and S.J. Devlin. 1988. Locally weighted regression: an approach to regression analysis by local fitting.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596-610 https://doi.org/10.2307/2289282
  10. Clow, D.W. and M.A. Mast. 1999. Long-term trends in stream water precipitation chemistry at five headwater basins in the northeastern Unites St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35(2): 541-554 https://doi.org/10.1029/1998WR900050
  11. Hirsch, R.M., J.R. Slack and R.A. Smith. 1982. Techniques of trend analysis for monthly water quality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18: 107-121 https://doi.org/10.1029/WR018i001p00107
  12. Hirsch, R.M. and J.R. Slack.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20(6): 727-732 https://doi.org/10.1029/WR020i006p00727
  13. Lettenmaier, D.P. 1988. Multivariate nonparametric tests for trend in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Bulletin 24(3): 505-51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8.tb00900.x
  14. Montomery, R.H. and K.H. Reckhow. 1984. Techniques for detecting trends in lake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Bulletin 20(1): 45-52
  15. Paul, M.B. and C.B. Linfield. 1997. Statistics for environmental engineers. Lewis Publishers
  16. Richards, R.P. and D.B. Baker. 2002. Trends in water quality in LEASEQ rivers and streams (Northwestern Ohio), 1975-1995.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1: 90-96 https://doi.org/10.2134/jeq2002.0090
  17. Yun, S.G., W.I. Kim, J.H. Kim, S.J. Kim, M.H. Koh and K.C. Eom. 2002.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Dongjin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4): 234-247
  18. Zipper, C., G. Holtzman, P. Darken, J. Gildea, P. Thomas and R. Stewart. 2002. Surface-water quality trend analysis: A multiple-site application.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Color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