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Improved Runoff Module in SWAT on Water Quality Simulation

SWAT 모형의 유출해석모듈 개선이 수질모의에 미치는 영향

  • Kim, Nam-Won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ICT) ;
  • Shin, Ah-Hyun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ICT) ;
  • Lee, Jeong-Woo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ICT)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신아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For reliable water quality simulation by semi distributed model, accurate daily runoff simulation should have preceded.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channel routing method which is nonlinear storage method is combination of Muskingum routing method and variable storage routing method and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were applied for effect analysis of water quality simulation. Developed modules, which are added in SWAT models and simulation, were conducted for the Chungju dam watershed. The simulation result by each module applied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contribute water quality modeling, nonlinear storage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Nutrient loading discharge was affected by development of runoff delaying from improvement of channel routing,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신뢰도 높은 수질 모의를 위해서는 유역 내 정확한 유출 모의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방정식과 운동파 근사에 의한 Manning의 식이 결합된 비선형 저류방정식에 근거한 하도추적법과 금일 강수량을 고려하여 시간적으로 가중 평균된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도록 개선된 지표유출계산 모듈이 수질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대표적 준분포형 모형인 SWAT에 탑재하여 충주댐 유역에 적용하여 각 개선모듈별 독립적인 분석과 전체 개선의 효과를 개선 전 후로 분석하였다. 각 개선 모듈별 수질 모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지표유출계산 모듈의 개선보다는 하도추적의 개선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점오염원의 특성 상 하도추적의 개선으로 인한 유출 지체 현상의 개선이 부하량의 배출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발전연구원 (2007). 고랭지 농업의 작물별 객토량 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저감분석
  2. 과학기술부 (2007).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
  3. 권명준 (2000).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예측을 위한 SWAT모형과 WASP모형의 연계운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40-58
  4. 금강유역환경청 (2005). 비점오염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유역 오염물질 배출해석
  5. 금강수계관리위원회 (2007). 금강수계 물수지 및 비점오염물수지 해석
  6.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 (2007).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33-542
  7. 김상단, 강두기, 신현석 (2006). '수리매개변수가 수질예측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641-1645
  8. 김종성 (2006). AVSWAT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원단위 및 유달율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pp. 44-53
  9. 김철겸, 김남원 (2008). '충주댐 유역의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4호, pp. 465-472
  10. 박종윤, 이미선, 이용준, 김성준 (2008).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토지이용변화가 수문-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B호, pp.187-197
  11. 신아현 (2008). BASINS/WinHSPF를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댐 모의 및 비점오염 저감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pp. 9-15
  12. 유혜은 (2007). SWAT모형을 이용한 대청호 유역의 오염물질 유달율 산정.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pp.70-79
  13. 윤춘경, 신아현, 정광욱, 장재호 (2007). 'BASINS/WinHSPF를 이용한 남한강 상류유역의 비점오염원저감효율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6호, pp. 951-960
  14.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7). 유역내 하천 유지 가능 유하량 해석
  15. 한국수자원공사 (2003). 충주댐 관리연보
  16. Arnold, J. G., Allen, P. 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https://doi.org/10.1016/0022-1694(93)90004-S
  17. Chaplot, V. (2005). 'Impact of DEM mesh size and soil map scale on SWAT runoff, sediment, and NO3-N loads predic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12, pp. 207-222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2.017
  18. Cunge, J. A. (1969). 'On the subject of a flood propagation method(Muskingum method).' Journal of Hydraulics Research, Vol. 7, No. 2, pp. 205-230 https://doi.org/10.1080/00221686909500264
  19. Gikas, G. D., Yiannakopoulou, T., Tsihrintzis, V. A. (2006). 'Modeling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a Mediterranean drainage basin.' Environmental modeling & assessment, Vol. 11, No. 3, pp. 219-233 https://doi.org/10.1007/s10666-005-9017-3
  20. Kim, N. W., and Lee, J. W. (2008).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for daily runoff simul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4936-4948 https://doi.org/10.1002/hyp.7116
  21. Migliaccio, K.W., and Chaubey, I. (2008). 'Spatial Distributions and Stochastic Parameter Influences on SWAT Flow and Sediment Predict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3, No. 4, pp. 258-269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8)13:4(258)
  22.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23. Neitsch, S. L., Arnold, J. G., Kiniry, J. R., and Williams, J. 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 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4. Shen, Z., Hong, Q., Yu, H. (2008). 'Parameter uncertainty analysi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Daning River watershed of the Three Gorges Reservoir Region, China.'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405, No. 1/3, pp. 195-205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8.06.009
  25. Van Griensven, A., Meixner, T., Grunwald, S., Bishop, T., Diluzio, M., Srinivasan, R. (2006). 'A global sensitivity analysis tool for the parameters of multi-variable catchment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324, pp. 10-23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9.008
  26. Williams, J. R., and Berndt, H. D. (1972). 'Sediment yield computed with universal equation.'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98, pp. 2087-2098
  27. Williams, J. R. (1995). Chapter 25: The EPIC model, in V. P. Singh(ed.)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pp. 909-1000

Cited by

  1. Estimations of flow rate and pollutant loading changes of the Yo-Cheon basin under AR5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SWAT vol.32, pp.3, 2018, https://doi.org/10.11001/jksww.2018.32.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