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Traffic Islands on Pedestrian Safety

교통섬 설치가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명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반시설연구본부 첨단교통연구실) ;
  • 장일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 김장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raffic islands were introduced for drivers and pedestrians to use the road in a safe and orderly way and were also a specified zone between traffic lanes to divide conflicting traffic flows and to provide pedestrian refuge. However, existing research and relevant standards described its purpose and effects only but not a safety standard to decide whether the traffic island warranted.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parameter which had a high relationship with accidents by analyzing road and traffic conditions and traffic accident data at urban intersec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 and the traffic accidents at the intersection, a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was made by using a logit model.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a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raffic volume and size of the intersection during design of the intersection and then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ffic island in terms of traffic safety. In conclusion, when a large-scale intersection has significant traffic volumes, a high probability of traffic island-induced pedestrian accidents appears, while in the case of small volumes, the probability is low. Targeted design and operations of a traffic islands is necessary, because its introduction itself does not enhance pedestrian safety in all cases at all intersections.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further development to set up a scheme of the traffic islands in terms of traffic safety.

교통섬은 차량과 보행자를 안전하고 질서있게 이동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며, 상충하는 교통류를 분리하거나 보행자 대피를 위하여 설치한 차로간의 특정구역이다. 기존의 연구문헌이나 설치기준을 살펴보면 설치목적과 설치효과만 언급하고 있을 뿐 교통섬의 설치여부에 따른 안전성 판단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교차로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사고 자료 등을 분석하여 사고발생여부와 관련성이 높은 변수를 선정하고, 그 변수들과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이용하여 로짓모형을 통해 보행자 교통사고 확률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교차로 설계시 교통량과 교차로 크기에 따른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확률을 분석하여 교통섬 설치효과를 보행자 안전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큰 교차로에서 교통량이 많은 경우 교통섬으로 인해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큰 교차로에서 교통량이 적은 경우 교통섬으로 인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확률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통섬 설치로 인해 모든 교차로에서 보행자가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교통섬 설치시 보행자 안전 측면을 고려한 설계 및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2. 경찰청(2007), '교통사고통계'
  3.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1998), '보행자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6.12), '우회전 보조 신호기 설치 타당성 및 우회전 교통처리 방안 연구'
  5. 이두희(2005), '횡단보도 보행자의 동태적 행위 관련 안전예측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
  6. 전라남도 지방경찰청(1999),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전남지부,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계획
  7. 최희수(1987), '교차로 교통사고 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사고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논문
  8. 하태준. 문권수. 김용길(2002), '신호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9. Karen K. Dixon, John L. Hibbard, Heather Nyman, 'Right-Turn treatment for signalized intersection', TRB Circular E-C019 : Urban Street Symposium
  10. Lee, C., M. Abdel-Aty(2005), 'Comprehensive analysis of vehicle-pedestrian crashes at intersections in Florid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https://doi.org/10.1016/j.aap.2005.03.019
  11. Mohammed S. Tarawneh & Patrick T. McCoy(1996), 'Effect of intersection channelization and skew on driver performance', TRR 1523 https://doi.org/10.3141/1523-09
  12. Preusser, D.F., et.al.(2002), 'Pedestrian crashes in Washington D.C and Baltimor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70-7
  13. Zajac, S. S., J. N. Ivan(2003),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of motor vehicle-cr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