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el Emphasizing Discu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during its Implementation in a Science High School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PHER (problem finding, prediction & discussion, hands-on & experiment, explanation & arrangement, enrichment) instructional model emphasizing the social interactions, and as applied,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were examined overall and with each step. For this study,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students in 10th grade chemistry classes in a science high school, and their group verbal interaction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verbal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as on-task interactions in the FPHER instructional model, where suggestions were predominant to the acceptance of opinions. There were a few interactions in the F step, and there were many suggestions relating to the solutions and lacking in confidence in the P step. There were many suggestions relating to the process and orders in the H step. Also, there were many questions, some explanation and dissatisfaction, as well as a lack of confidence in the E step. There were many high-level interactions in the R step, and mainly interactions with worksheets showing high-level problem-solving abilities. More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the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activate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with regard to instructions, enhancing thought as counter-argument, justification or sophistication, based on the instructional model in this study.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를 위한 토론수업을 위해 새로운 FPHER (problem finding, prediction & discussion, hands-on & experiment, explanation & arrangement, enrichment)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하여,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특징 및 수업단계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과학고등학교 1학년 화학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수업 처치를 하였으며, 각 모둠별로 학생들의 토론 내용을 녹음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FPHER 수업 모형은 대부분 과제와 관련된 인지적 영역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였으나, 의견받기 보다는 의견제시가 우세하였다. F 단계에서 전반적으로 상호작용이 적었고, P 단계에서는 과제해결 관련 제안과 자신감 부족이 많았다. H 단계에서는 과제진행 관련제안이 많고 지시가 많았다. E 단계에서는 질문과 설명, 불만과 자신감 부족이 많았다. R 단계는 상위수준 상호작용을 유도하였으며, 주로 활동지와 상호작용을 하며 상당히 수준 높은 문제 해결력을 보였다. 앞으로 FPHER 수업 모형에 따른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과 교사가 학생의 설명에 반론을 제기하거나 정교화나 정당화를 요구함으로써 사고를 유도하는 형태의 수업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할 수 있는 수업전략의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노태희 (2000). 토론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50-261
  2.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 과정 요소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강순민, 임재항, 공영태, 남정희, 최병순 (2004).과학 맥락에서 학생간 논의과정의 발달. 대한화학회지, 48(1). 85-93 https://doi.org/10.5012/jkcs.2004.48.1.085
  4. 고한중, 탁경오, 문소현, 한재영, 노태희 (2003).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 적용한 POE 학습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대한화학회지, 47(1). 72-78 https://doi.org/10.5012/jkcs.2003.47.1.072
  5. 구양삼, 박금홍, 신애경, 최병순, 이국행 (2006).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수업에서 리더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지, 50(6), 494-505 https://doi.org/10.5012/jkcs.2006.50.6.494
  6. 김라경 (1997). Parnes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적용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45(5), 470-480
  8. 김태연 (2007). 창의적 과학활동에서 나타나는 모둠별 언어적 상호작용과 학생들의 인지적 및 정의적특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현경, 최병순 (2005). Small Scale Chemistry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49(2).208-214 https://doi.org/10.5012/jkcs.2005.49.2.208
  10. 김현경 (2008). 과학고 화학 토론수업에서 모둠별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12. 노태희, 차정호, 임희준, 노석구, 권은주 (1997). 협동학습 전략의 교수 효과: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 STAD 모델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51-260
  13. 동효관 (2002). 과학영재의 특성에 기초한 수업프로그램이 유전개념 변화와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숙진 (2006).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학습자의 인성과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39-245
  16. 성숙경 (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신애경 (2006). MBL 실험 수업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이상권, 강성주, 최병순(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 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19. 임희준, 최경숙, 노태희 (1999).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37-145
  20.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21.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22. 한재영, 노태희 (2002). 과학수업에서의 소집단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49-507
  23.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in Science Teaching, 33(10),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24. Chang, H. P., & Lederman, N. G. (1994).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in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25. Dillon, J. T. (1994). Using discussion inclassroom.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Press
  26. Driver, W., & Heather, W. (1996). Vygotsky: Tutoring and learning. Oxford Review ofEducation, 22(1), 5-16 https://doi.org/10.1080/0305498960220101
  27. Driver, R., Newton, P., & Osborne, J.(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28. Duit, R. (1991). On the role of analogies andmetaphors in learning science, ScienceEducation, 75(6), 649-672 https://doi.org/10.1002/sce.3730750606
  29. Hogan, K. (1999). Sociocognitive roles inscience group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8), 855-882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336
  30. Hogan, K. (1999). Relating students' personal frameworks for science learning to their cognition in collaborative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1-3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1)83:1<1::AID-SCE1>3.0.CO;2-D
  31. Johnson, D. W., & Johnson, R. T. (1989).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research. Edina, MN: Interaction Book Company
  32.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vard Educational Review, 62(2), 155-178
  33.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4. Mortimer, E., & Scott, P. (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R. J. Miller, J. Leach, & J. Osborne (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of research (pp. 126-142).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3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2004). Enhancing the quality of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36.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model :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Wether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37. Renzulli, J. S., and Reis, S. M. (1985).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8. Slavin, R. E. (1989). School and classroom organization.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 Solomon, J. (1992). The classroom discussion of science-based social issuespresented on television: Knowledge, attitudesand val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4), 431-444 https://doi.org/10.1080/0950069920140406
  40. Tobin, K., McRobbie, C., & Anderson, D.(1997). Dialectical constraints to the discursivepractices of a high school physics community.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5),491-507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5)34:5<491::AID-TEA5>3.0.CO;2-L
  41. White, R, & Gunstone, R. (1992). Probing understanding. London, UK: Falmer Press
  42. Wilen, W. W. (1990). Forms and phases of discussion. In W. W. Wilen (Ed.),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discussion: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discussion method(pp. 3-24). Springfield, IL: Charles Thomas Publi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