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 송태화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한옥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윤성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태일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서재환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김경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기훈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harvest time of several winter cereal forage crops. Barley, rye, oat, triticale and wheat were evaluated for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ay and silage at four different harvesting stages, including heading, 10 days after heading (DAH), 20 DAH and 30 DAH. Barley and wheat harvested at 20 DAH, and oat and triticale at 30 DAH showed maximum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content of barley, wheat, triticale and oa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dvancing crop maturity. Mean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rye and the lowest in oat. The NDF and ADF content of barley, wheat, triticale and oat decreased with late harvest, while rye increased. Maximum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was recorded in barley and wheat harvested at 20 DAH, in triticale and oat at 30 DAH, and in rye at heading. The maximum TDN content of silage, 66.98%, was recorded in barley, followed by wheat, triticale, oat and rye. However, The crude protein, NDF and ADF of silage was 1 to 4 times higher than those of hay. In this study, barley harvested at 20-25 DAH, wheat and triticale at 30 DAH, and rye at heading provided a good compromise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this stage, a sufficient quantity of fodder with moderate forage quality was obtained.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보리, 총체밀, 트리티케일 및 귀리는 조단백질과 NDF 및 ADF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호밀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ADF와 NDF 함량은 증가하였다. TDN 함량과 RFV는 청보리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는 출수 후 30일, 호밀은 출수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 제조한 사일리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맥종별 사료가치로서 평균 TDN 함량은 보리가 6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업. 2003. 사료용 맥류의 생장해석, 사료가치 분석 및 최적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2(3):173-177
  3. 김동암, 김종관, 권찬호, 김원호, 한건준, 김종림. 1993. 청예사료용 연맥품종의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3(1):66-77
  4. 김정갑, 양종성, 이상범, 한민수.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I 생육 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함량 변화. 한국축산학회지 30:193-198
  5.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2004a.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 중심으로. 한국초지학회지 24(3):207-216 https://doi.org/10.5333/KGFS.2004.24.3.207
  6. 서 성, 김원호, 이준희 박태일, 최기준. 2004b.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2. 호남지방(익산) 중심으로. 한국초지학회지 24(3):217-224 https://doi.org/10.5333/KGFS.2004.24.3.217
  7. 신정남, 김병호. 1995. 봄 재배 연맥의 생육시기별 건물수량 및 화학조성분. 한국초지학회지 15:61-66
  8. 신정남, 윤익석. 1985. 예건이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3(2):92-99
  9. 양종성, 이상만, 김정갑, 한홍천. 1990. 청예 대맥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1. 대맥과 호맥의 생장 및 건물 축적형태에 대한 비교분석. 농시논문집 32:42-48
  10. 이광녕, 김동암. 1997. 예건 및 첨가제가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 및 호기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7(2):187-198
  11. 이형석, 이인덕. 2006. 대전지역 추파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6(4):249-256 https://doi.org/10.5333/KGFS.2006.26.4.249
  12. 최기준, 김호원. 2008. 한국에서 동계사료작물 생산과 이용.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년도 학술심포지엄 및 제46회 학술발표회. pp. 19-48
  13. 황종진, 성병렬, 연규복, 안완식, 이종호, 정규용, 김영상. 1985. 사료용 맥류 품종의 예취 시기별 청예 및 건물수량과 영양가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30:301-309
  14.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5. Delogu, G., N. Faccini, P. Faccioli, F. Reggiani, M. Lendini, N. Berardo and M. Odoardi. 2002;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evaluation at two phenological stage of Sardinia Italy. Field Crops Research 74:207-215 https://doi.org/10.1016/S0378-4290(02)00002-3
  16.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pp. 1-55
  17.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ook. No. 397. USDA. Washington DC

Cited by

  1.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Haylage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vol.32, pp.4,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4.419
  2.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Triple Cropping Systems with Winter Forage Crops-Silage Corn-Summer Oat Cultivation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vol.34, pp.2,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2.87
  3. Effect of Add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n Fermentation Quality of Rye Silage vol.35, pp.4,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4.277
  4. Potential effects of Novel Lactic Acid Bacteria on Fermentation Quality of Rye Haylage vol.36, pp.1,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1.23
  5. Effects of Selected Inoculants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Fermentation Indices of Rye Silage Harvested at Dough Stage vol.38, pp.2,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2.99
  6. Effect of Sowing and Harvest Time o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Spring and Fall Oats at Youngnam Mountain Area vol.38, pp.2,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