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 Fauna and Community of Gwangneung Arboretum

광릉수목원의 어류상 및 어류 군집

  • Choi, Jun-Ki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 Byeon, Hwa-K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fish community was investigated from March to October 2007 in Gwangneung Arboretum. During the survey period, 22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one species (Coitus koreanus) was classified a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and exotic fish was Micropterus salmoides. Nine species (40.9%) were endemic species of Korea. Dominant species was R. oxycephalus (St. 1) and Z. platypus (St. 2-7). According to analysis of community based on the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ices, fish community seems to be more stable in the St. 3. The distributions of Silurus microdorsalis, Cottus koreanu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were confined to the Bongseonsa Stream in the Wangsuk Stream watershed. When our data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1932), 17 species were not sampled, but 7 species could new taxa fiend its existence at the Bongseonsa Stream. We believe that Hemibarbus mylodon, Acheilognathus signifer and Zacco koreanus disappeared in the Wangsuk Stream watershed and A. signifer and Z. koreanus need to be restored at the Bongseonsa Stream.

2007년 4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광릉수목원에서 어류군집을 조사하였다. 출현한 어종은 총 9과 22종 1,272개체였고 출현한 어종 중 멸종위기야생동 식물에 속하는 종은 Cottus koreanus 1종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종은 Micropterus salmoides 1종이었고 출현한 어종 중 한반도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9종 (종구성비 : 40.9%)이었다. 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St. 1)와 Zacco platypus (St. 2${\sim}$7) 이었다.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지수 및 종풍부도 지수로 보면 St. 3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어류 군집을 형성하고 었었다. Silurus microdorsalis, Cottus koreanus, Odontobutis platycephala 등은 왕숙천수계에서 광릉수목원 내 봉선사천에 극한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932년 조사와 비교 시 17종이 출현하지 않았고 7종이 새로 추가되었다. Hemibarbus mylodon, Acheilognathus signifer, Zacco koreanus 등은 왕숙천 수계 내에서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며 Acheilognathus signifer와 Zacco koreanus는 복원 대상종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불편(담수어류). 교육부 pp.21-520
  2.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3.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도감. (주)교학사
  4. 변화근. 2008 국망산 일대의 어류상. 한국자연보존연구지 6: 57-64
  5. 변화근, 신얼권, 이황구, 양희정, 오유성, 이션화.1998.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p. 355-390
  6. 변화근, 심재한, 이광열, 이상철. 2002. 한강생태계조사연구. 서울특별시 . pp. 223-246
  7. 변화근, 이완옥. 2006. 임진강 하류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9(1): 32-40
  8. 변화근, 임환철, 배옥이, 함영철. 2007. 한강생태계조사연구. 서울특별시. pp. 276-304
  9. 손영목. 1999.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남양주.가평). 환경부
  10. 조규송, 변화근, 최재석, 1994.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p. 339-357
  11.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박사학위논문,서울
  12. 전상린, 1990.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p. 342-357
  13. 정문기.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서울
  14. 차진열, 윤희남. 1997.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포천.서울). 환경부
  15. 최기철.1985. 경기의 자연 담수어 편. 경기도교육위원회. pp. 181-243
  16. 최기철. 1987. 한강생태계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p. 299-321
  17. 최기철, 전상린, 최신석. 1968. 광나루 지역산 육수어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1): 33-38
  18. 최기철, 전상련,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19. 최준길, 변화근.1999. 한강 하류역의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2(1): 49-57
  20. 환경부. 2005.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pp. 215-228
  21. 朝蘇總督府林業試驗場, 1932. 光陸試驗林의の 一斑. 三秀含. pp. 101-103
  22. 內田惠太郞. 1939. 조선어류지. 조선총독부수산시험장보고 6:1-460
  23. Cummins, K.W. 1962.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4. Nelson, J.S. 1994. Fishes ofthe world. John Wiely & Sons, Newyork
  2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γ in ecology. Gen. Syst. 3: 36-71
  26.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44
  27.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