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ural Landscape Planning Based on Rural Village Landscape - A Case Study on Yacksan at Wando -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 방안 연구 - 완도군 약산권역을 사례로 -

  • Kim, Seong-Hak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Byoung-E (Graduates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foundation units required to execute a rural village landscape pla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previous studies on spatial foundation units for rural space and landscape elements, they are limited in clarifying the landscape identity of a rural village unit in creating a feasible a rural village landscape pl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atural spatial features of a rural village and then establish a landscape identity for each space by exploring the landscape elements for each rural village unit set as the basic unit. Accordingly, the basic spatial unit was analyzed through a 1:5000 scale mapping by applying geomancy theory to the spatial landscape unit in a naturally generated rural village. The spatial limitations for a rural village landscape were set based on the analysis. Afterwards, a field study on the feasibility of whether or not setting a space as the basic unit for landscape could have a sense of identity as a single landscape unit for verification was processed, and the spatial limitations for the landscape were adjusted. Moreover, landscape elements were investigated by classifying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rural amenity resources which have been diversely researched in terms of the set spatial boundaries, and the sense of identity for each landscape foundation unit was looked into. While the numerous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exploring the rural landscape value and findingout the sense of identity on landscape elements, it is high time for feasible and applicable studies in conducting region-specific landscape plans. In particular, similar outcomes from all landscape plans, even those with the same purpose established in various regions, is not a desirable outcome. Therefore, a basic framework is needed to discover the landscape identity generated by each plan in a rural area space. In this sen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can be utilized to establish spatial identity of each region and landscape features of each rural village, and come up with realistic alternatives in landscape plans for each region by exploring the landscape identity in each specific space divided per watershed in a single zone.

이 연구는 농촌마을의 경관계획을 실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경관기초단위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농촌공간의 경관단위 및 경관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실질적인 계획적 측면에서 농촌지역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농촌마을단위의 경관적 정체성을 반영하는데는 그 한계가 있었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경관에 관한 계획적 접근은 농업과 주거단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농촌경관계획과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마을경관계획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한 부분으로 실행되고 있는 경관계획에 마을경관이 가지고 있는 경관 정체성을 반영하고 이를 통하여 마을경관이 가지고 있는 경관적 정체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농촌 경관계획이 보다 현실적 측면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역인 완도군 약산면을 자연적 특성에 기초하여 1:5000 지형도를 이용한 수계단위별 시각적 한계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기초로 마을 경관의 가시영역 경계를 설정하였으며, 가시영역안의 경관이 하나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농촌 어메니티자원 분류에 의한 경관자원요소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장조사결과와 가시영역과의 경관적 정체성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마을경관단위를 확정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현재 여러 지역에서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농촌경관의 기초가 되는 마을경관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계획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지역경관계획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선정(1991) 취락입지에 대한 풍수적 해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섭(2001) 농촌개발과 어메니티: 국제적 논의동향과 함의. 농어촌과 환경 11(4): 21-32
  3.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국토계획학회지 37(1): 21-35
  4. 안명준, 배정한,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2008) 농촌 어메니티 경관의 체계개발과 적용. 농촌계획학회지 14(2): 77-84
  5. 엄대호, 윤진옥, 양선주, 임승빈, 이동근, 주신하(2006)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방안 연구. 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pp. 4-15
  6. 오현석, 김정섭 역(2002)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서울: 새물결출판사
  7. 윤진옥, 홍찬선, 엄대호, 박윤호, 최분규, 정기호, 김묘정, 한상엽(2005)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방안 연구. 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pp. 6-12
  8. 이상문, 조순재, 허준, 전영옥, 김성학, 윤진석, 박경문, 최석환, 김혜민, 강방훈, 김상범, 윤희정, 조연희(2007) 농촌 어메니티 채록 및 활용모형구축 연구. 농림부. pp. 144-145
  9. 이동근, 윤소원, 김현, 김은영(2004) 자연환경분석을 통한 생태학적 지역 구분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0(1): 27-33
  10. 이동근, 옥주희, 홍찬선, 윤소원, 박창석, 유헌석(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1(2): 21-34
  11. 임승빈, 서정희, 박향춘, 정윤희(2007) 경관유형 분류지표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3(1): 41-50
  12. 조순재, 김진선(2003) 농촌어메니티 자원 관리를 위한 자원속성별 유형분류 체계,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 논문집. pp. 63-66
  13. 조순재, 이상문, 김혜민, 강방훈, 김상범, 최재웅, 김훈희, 박창석, 윤희정, 허준, 윤원근, 이병기, 조영국, 이재준, 전영옥, 박휘(2004) 주민참여 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 적용 연구. 농림부. pp. 59-64
  14. 주신하, 임승빈(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4(4): 69-76
  15. 최창조(1984) 한국의 풍수사상. 서울: 민음사
  16. 한승호, 조동범(2004) 농촌마을 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자료의 수집과 가시화기법. 농촌계획학회지 10(2): 35-42.
  17. 허준(2007) 농촌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의 특성분석: 서천군을 사례로. 농촌계획학회지 13(2): 7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