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ags in Digitized Cultural Heritage

디지털화 문화유산 태그의 패턴 및 특성 분석

  • 김성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형미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9.29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ags in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Works of art were assembled to be tagged, 100 taggers were deployed, and tagging encourged. The gathered tag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patterns, tagging's functions, and usefulness for information access. Th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ess of works of art.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화유산에 이용자들이 부여한 태그들의 특성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뮤지엄에서 제공하고 있는 '유물정보검색서비스'에서 문화유산 20개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100명으로 구성된 이용자 집단에게 추출한 유물 이미지로 작성한 조사지에 자유로이 태그를 달도록 하였다. 수집된 태그 데이터의 분석은 주로 형태적인 특성을 위주로 박물관 디지털 문화유산 태그가 갖는 일반적인 패턴, 박물관 디지털 문화유산 태그의 기능별 구분, 박물관 디지털 문화유산 검색에서의 태그의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박물관의 디지털 문화유산 검색에 태깅 시스템을 이용한 폭소노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녹환, 김태수. 2002. XML을 활용한 전자박물관시스템구현에 관한 연구. 지식처리연구, 3(1): 41-62.
  2. 김운용, 박석규. 2007. 웹2.0의 참여형 아키텍쳐 환경에서 그래픽 기반 포크소노미 태그 연관 검색의 설계 및 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8(51): 1-10.
  3. 문화재청. [cited in 2009.07.21]. .
  4. 박정희. 2008. 문화재보호의 법리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31: 77-96.
  5. 박찬표, 반영환, 정지홍, 2007. 웹 이미지의 협력적 폭소노미에 관한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 58-59.
  6. 배정현. 2007.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공동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배주희, 이경원, 2009, 소셜태깅에서 관심사로 바라본 태그특징, HCI 학술대회.
  8. 유동환. 2008.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12: 6:5-49.
  9. 유시내. 2007. 기록검색서비스 개선을 위한 폭소노미 도입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기록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https://doi.org/10.4275/KSLIS.2008.42.4.463
  11. 이성숙. 2009. 국내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 패턴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37-150.
  12. 이재윤, 황혜경, 2006.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7(3): 1-24
  13. 이정미. 2007.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 정보 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141-159.
  14. 장호수. 2006. 문화재 활용론.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7: 155-173.
  15.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16. 한문희. 2004. 국가문화유산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문화유산 콘텐츠, ‘축적’과 ‘활용’의 전략적 코어에 대한 인식.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3: 367-377.
  17. Angus, E., M. Thelwall, and D. Stuart. 2008. General patterns of tag usage among university groups in Flickr. Online Information Review, 32(1): 89-101. https://doi.org/10.1108/14684520810866001
  18. Golder, S. A., & B. A. Huberman.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https://doi.org/10.1177/0165551506062337
  19. Guy, M. and E. Tonkin. 2006. Folksonomies: tidying up tags? D-Lib Magazine, 12(1).
  20. Holt, B. L Hartwick, 1994. Visual image retrieval for applications in art and art history. Proc. SPIE, Vol.2185(70).
  21. Shatford-Layne, S. 1994. Some issues in the indexing of imag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5(8): 583-8. https://doi.org/10.1002/(SICI)1097-4571(199409)45:8<583::AID-ASI13>3.0.CO;2-N
  22. Trant, Jennifer. 2006. Exploring the potential for social tagging and folksonomy in art museums: proof of concept. A paper for the new review of hypermedia and multi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