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Gap Stream by Habitat Type

서식처 유형에 따른 갑천의 어류군집 특성

  • Lee, Dong-J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 Byeon, Hwa-K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 Choi, Jun-Kil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Sangji University)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natural type section of Gap Stream was divided into 7 sites, such as, closed pool, runs, riffle, opened pool, pool, reek-scattered riffle, and Dam-type pool.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at each site was examined from April, 2007 to October, 2008. During the survey period, 29 species belonging to 8 families were collected, and Carassius auratus (St. 1), Coreoleuciscus splendidus (St. 3), Acheilognathus lanceolatus (St. 4) and Zacco platypus (St. 2, 5, 6, 7) were characteristic species that represent each habitat. The species of C. auratus preferred physical habitat with sand-bottom pool, moderate depth of 65$\sim$90 cm, and stagnant water. The species of C. splendidus mainly preferred physical habitat with cobbles and pebbles are scattered riffles (St. 3), moderate depth of 65$\sim$90 cm, and flow velocity is 0.14$\sim$0.85 m $sec^{-1}$. It also preferred where concentration of BOD, COD, TN, TP and SS is low and DO's value is high, because the flow velocity is fast. A. lanceolatus preferred where the depth of water is low (3$\sim$44 cm) like an opened pool (St. 4) and the flow velocity is slow (0.01$\sim$0.02 m $sec^{-1}$). Z. platypus dominated in a variety of habitats such as runs (St. 2), pool (St. 5), rock-scattered riffles (St. 6) and D-type pool (St. 7), and it preferred places where flow is abundant and riverbed structure is diverse. On the other hand, 4 individuals of Iksookimia choii appeared at reek-scattered riffles (St. 6). I. choii appeared in this research lived in where the width of river is 24 m, the depth of water is 3$\sim$35 cm and the flow velocity is 0.01$\sim$0.49 m $sec^{-1}$, and riverbed structure was diversely formed with boulder to sand. Also, water temperature, EC, BOD, COD, TN and TP was low, but concentrations of DO and SS were high comparatively. Therefore, it seems that I. choii can live only in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with similar conditions.

2007년 4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갑천의 자연형 구간 가운데 7개 지점을 선정하여 각 서식처별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조사지점은 폐쇄형 웅덩이(Closed pool), 평여울(Runs), 급여울(Riffles), 내만형 웅덩이(Opened pool), 소(Pool), 징검여울(Rock-scattered riffles), 댐형 웅덩이(D-type pool)등으로 구분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8과 29종이 출현하였으며, 서식처를 대표하는 표징종은 붕어 (Corassius ouratus, St. 1),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St. 3), 납자루(Acheilognathus lanceolatus, St. 4), 피라미 (Zacco platypus St. 2, 5, 6, 7) 정도로 구분하였다. 붕어(C. auratus)는 폐쇄형 웅덩이(St. 1)와 같이 하상구조가 대부분 모래로 구성되고 수심은 65$\sim$90 cm 정도로 다소 깊으며 유속이 거의 정체된 수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리 (C. splendidus)는 급여울(St. 3)과 같이 수심이 8$\sim$38cm정도, 유속 $0.14\sim0.85\;m\;sec^{-1}$ 정도, 그리고 하상구조는 작은돌과 조약돌이 산재된 곳에 주로 서식하며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BOD, COD, TN, TP, SS의 농도는 낮으며 DO는 높게 나타나는 곳을 선호하였다. 납자루(A. lanceolatus)는 개방형 웅덩이 (St. 4)와 같이 수심이 3$\sim$44cm정도,유속은 $0.01\sim0.02\;m\;sec^{-1}$로 낮은 수심과 느린 유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 (Z. platypus)는 평 여울(St. 2), 소(St. 5), 징검 여울(St. 6)댐형 웅덩이(St. 7)등 여러 서식처에서 우점하였는데 주로 유량이 풍부하고 하상구조가 다양한 지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징검여울(St. 6)에서 미호종개(Iksookimia choii)가 4개체 출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출현한 미호종개(I. choii)의 서식지는 하폭 24 m 정도, 수심 이 3$\sim$35 cm 정도, 유속은 $0.01\sim0.49\;m\;sec^{-1}$ 정도를 나타내며 하상구조는 큰돌부터 모래까지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수질측정 결과 수온, EC, BOD, COD, TN, TP의 농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DO, SS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범위를 나타내어 이와 비슷한 물리, 화학적인 서식 환경이 조성되어야만 미호종개(I. choii)가 서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p. 1-465.
  2. 김익수, 최 윤, 이충열,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p. 43-515
  3. 김용호, 이충열 .2000. 대전. 논산(대둔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 자연환경 조사보고서
  4. 김홍배, 안경수.2006.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한국습지학회논문집 8(2): 53-64
  5. 박선아, 이명우.2008. 어류서식처 평가 및 목표종 도입을 통한 하천복원방향(부안댐 상류 거석천과 청림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4): 24-36
  6. 박홍양, 윤종만, 장계남, 허형택, 권혁추, 김계웅, 김동수, 김정대, 노순창, 류동석, 민윤식, 박기영, 배승철, 이승배, 한창희. 2004. 어류생물학. 정문각. p. 43-77
  7. 변화근, 손영목.2003. 복하천의 미소환경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5( 4): 295-302
  8. 심정기 .2001. 갑천변(가수원교-만년교)의 자연생태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자연과학연구 10(2): 5-30
  9. 안여종 2007. 갑천의 역사와 문화; 하천과 문화. 한국하천협회지 3(4): 24-29
  10. 이충렬 .1993.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특산종에 대하여. 한국어류학회지 5(1): 133-134
  11. 이충렬. 2001. 갑천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환경생물 19(4):292-301
  12.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14-49
  13. 조용현 .2009. 도시의 강과 하천정비사업 우리나라 도시 하천정비사엽의 문제점. 대한지방행정공제회 p.18-23
  14. 최기철. 1987. 충남의 자연. 담수어편.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p.196-197
  15. 홍영표.2004. 심포지움: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의 현황 및 보존. 한국어류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심포지움 발표요약집. p.59-75
  16. 홍영표, 손영목.2003. 외래어종 베스. Micropterus salmoides를 포함하는 운집의 종간 Association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15(1): 61-68
  17. Cummins, K.W. 1962.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18. Ecoriver 21. 2008. 하천 생물서식처 평가를 위한 갑천 특성조사.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 기술개발 연구단. p. 35-155
  19. Nelson, J .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and Son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