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i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서 경관형성계획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Yu, Joo-Eun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유주은 (한국농어촌공사)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andscape plans(LPs) established in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RVDPs) and to propose the ways to improve the LP. Toward this end, the legal system related to rural landscape and the RVDP were examined. Also,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LPs was diagnosed through making researches on the RVDP and LP of the 10 region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legal system showed that the suitable types of the LPs is 'the Specific Landscape Plan' in Rural Area. Of the development projects that have been in operation, RVDP was found to have been equipped with the system. Because the LPs can be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of formation and readjustment of rural landscape elements were broadly dealt with in RVDP. And the RVDPs consisted mostly of scenery facilities, rural village sightseeing, and income-grow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lan establishment procedures showed that the LPs were set up as subordinate plans of the RVDP, so structural problems such as the positions of the plans, inadequacy in the procedures of approval and collecting opinions were identified. Such problems were pointed out as the cause of the LP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basic designs of the RVDP. The schemes to resolve the problems are to give equal positions to the LPs and to the basic plans of the RVDP.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flected on the policies, the LP will effectively carry out the functions of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ontinued scenery preservation of rural villages.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7, 경관계획 수립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2. 김경량, 최윤상, 홍성규, 2006,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중간평가체계 개발, 농촌계획, 12(2), 65-73
  3. 김상범, 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환한 연구, 농촌계획, 12(3), 13-18
  4. 농림부, 1996, 농촌생활환경정비사업 계획지침
  5. 농렴부, 1999, 농촌개발계획지침
  6. 농림부, 2002, 지역자원활용을 고려한 농촌경관평가 모델 작성 및 계획기법 개발
  7. 농림수산식품부, 2008, 2008년도사업 시행지침
  8. 농어촌연구원, 2004,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계획 수립 지침 개발 연구
  9. 농어촌연구원, 2005,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계획 수립 지침 개발 연구
  10. 농어촌연구원, 2006,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 종합대책 수립 방안 연구
  11. 농어촌연구원, 2006,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계획 수립지침 보급
  12. 농어촌연구원, 2007, 농촌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 기법 및 지원방안 연구
  13. 농어촌연구원, 2008. 거점면 소재지 마을종합개발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14. 농어촌연구원, 2008, 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의한 농촌지역개발 활성화 방안
  15. 농업기반공사, 2002,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사업 설게지침 - 농촌지역 경관정비편
  16. 농촌진흥청, 2008, 농촌경관 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관리 기준 운용에 대한 연구
  17. 농림부, 2007, 농촌경관평가지표, 농촌경관랩 및 경관보전협약의 현장 적용성 연구
  18. 대한주택공사, 2006, 경관법 제정을 위한 연구
  19. 박한식, 황길식, 김영택, 2008,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 내용분석과 시사점, 농촌계획, 14(4), 121-128
  20. 박헌춘, 김승근, 2008, 마을계획에 따른 농촌경관과 지역성 고찰, 한국농촌건축학회, 10(4), 31, 65-72
  21. 반영운, 백종인, 김민아, 윤진옥, 2008, 전문가 텔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 표개발, 14(3), 53-61
  22. 성주인, 2005, 농촌 경관관리 실태와 정책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3. 송미령, 박경철, 2005, 농촌경관 보전을 위한 정책 동향과 시사점, 농촌경제, 28(3), 121-137
  24. 염대호, 섬완보, 윤진옥, 이충선 , 경관보전직 불제 시범사업 시행방안 연구, 농림부, 농업기반 공사
  25. 이동곤, 옥주희, 홍찬선, 윤소원, 박창석 ,유헌석,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1(2), 21-34
  26. 이정환, 남진, 2007, 농촌마을 유형별 농촌마을종합 개발사업의 계획내용 분석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추계정 기학술발표집, 957-9 65
  27. 주신하, 임승빈, 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연구, 농촌계획, 14(4), 69-76
  28. 주신하, 2008, 농촌경관의 보전 형성 관리를 위한 정책제안 연구, 농촌계획, 14(4), 77-86
  29.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2007, 농촌 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농촌계획, 13(2), 121-132
  30. 한국농촌공사, 2007, 영월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보고서
  31. 황한철, 2007, 농촌개발사업의 추진실적 평가항목 선정 빛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2),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