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Kang, Kyung-Hee (Jeju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 강경희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9.08.13
  • Accepted : 2009.12.28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the area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through the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from 1999 to 2009. The articles were analyzed by subjects, topics and study metho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year, we discover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has increased since 2005. Most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Other research subjects included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rst topic that was researched in general w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The second topic was the curriculum and program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thod most employed was surveys, followed by experimental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발간된 논문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교육 분야 의 연구 동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각 논문들은 연구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등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도에 따른 분석 결과 2002년부터 과학영재교육과 관련한 논문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초등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연구된 주제는 과학영재의 특성이었다. 두 번째 주제는 과학영재교육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조사였고, 다음은 실험연구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언근, 김윤경 (2009).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관련 논문의 주제 분석-1980년부터 2008년까지. 과학영재교육. 1(2), 63-76.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 김미경 (2001). 한국 영재교육 제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미숙, 송인섭, 이정규, 이승희, 이홍란 (2007a). 영재교육 연계성 강화 방안 연구: 영재교육기관, 학교, 대학. 연구보고 RR 2007-24. 한국교육개발원.
  4.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 (2007b).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CR 2007. 한국교육개발원.
  5. 김인혜, 박정옥, 최문경 (2006). 영재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6(1), 21-42. 한국영재학회.
  6. 김재우 (2009). 중학교 과학영재와 대학생들의 힘 개념 비교. 새물리. 58(4). 403-408.
  7.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 과정- 1970-2006.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9.
  9. 박성효 (2003). 중.고등학교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과 학습전략 특성 비교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혜애 (2004).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영재교육연구. 14(1), 65-89. 한국영재학회.
  11.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편역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Gray, A. D., & Sylvia, B. R. 의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3rd. 서울: 학문사.
  12. 전경원 (2003).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13. 채동현, 박현주, 이수영 (2003). 과학교육의 질적접근. 서울: 북스힐.
  14. 최취임, 정민수, 홍훈기, 채희권, 정대홍 (2008). 과학영재선발을 위한 선발문항 분석: 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중학교 심화과정의 화학영역 중심. 대한화학회지. 52(3). 295-302.
  15.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한국영재학회.
  16. 홍숙희, 김성원 (2000). ERIC 검색을 통한 미국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2-136.
  17. Barone, D. (2003). Turning the looking glass inside out: A gifted student in an at-risk setting. Gifted Child Quarterly. 47(4), 259-271.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403
  18. Cross, T., Stewart, R., & Coleman, L. (2003). Phenome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gifted studies researc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01-220. https://doi.org/10.1177/016235320302600304
  19. 국립도서관: www.nl.go.kr
  20. 국회도서관: www.nanet.go.kr
  21. 대한화학회: www.kcsnet.or.kr
  22. 한국과학교육학회: www.koreascience.org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www.riss4u.net
  24. 한국물리학회: www.kps.or.kr
  25. 한국생물교육학회: www.bioedu.kr
  26. 한국영재교육학회: www.kgt.or.kr
  27. 한국영재학회: www.ksg.or.kr
  28. 한국지구과학회: www.kess64.net
  2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www.keses.or,kr
  30. 한국학술정보: www.kstudy.com

Cited by

  1.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vol.30,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412
  2.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Use of ICT in Biology Education vol.38,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0.38.4.631
  3.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vol.31, pp.2,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2.295
  4.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vol.21, pp.2,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1.21.2.531
  5.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vol.31, pp.5,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5.709
  6.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vol.31, pp.8,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45
  7.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vol.31, pp.8,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214
  8.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vol.22, pp.3,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75
  9.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vol.32, pp.7,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22
  10. An Analysis on the Trend of the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in Science vol.18, pp.2,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4.18.2.295
  11.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vol.24, pp.4,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4.24.4.483
  12.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vol.25, pp.2,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5.25.2.195
  13.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기술 및 공학에 대한 인식 조사 vol.25, pp.3,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5.25.3.363
  14.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vol.25, pp.5,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5.25.5.673
  15. 영재 교육 현장경험을 통해 얻은 과학 교사들의 효과적 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탐색 vol.26, pp.2,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6.26.2.299
  16. 2010~2015년 사회네트워크분석(SNA) 방법 활용 국내외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vol.26, pp.2, 2010, https://doi.org/10.9722/jgte.2016.26.2.347
  17. KERIS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에서의 STEAM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vol.9, pp.2, 2010,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52
  18.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vol.40, pp.3, 2010, https://doi.org/10.15267/keses.2021.40.3.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