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여성의 16주간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복부 지방, 혈청지질, 혈당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6 Week Exercise Program on Abdominal Fat, Serum Lipids,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in Obese Women

  • 허영희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응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
  • 서홍석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
  • 김선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
  • 최경묵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분비내과) ;
  • 황택근 (구로보건소) ;
  • 조금주 (구로보건소) ;
  • 박용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2010.03.30

초록

우리나라는 고도비만보다 내장지방의 증가로 인한 대사성 질환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중년여성은 신체활동 부족, 칼로리 과잉섭취, 폐경과 같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복부비만과 관련된 질환의 위험이 높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에서 16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복부지방의 양과 혈청지질, 혈당,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인 2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16주간 구로구 보건소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구로고대병원에서 복부 CT를 이용한 복부지방 측정 등 신체계측과, 혈청지질, 혈당, 혈압을 측정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체중($3.0 {\pm} 0.5$ kg), 체질량지수($1.2 {\pm} 0.2$kg/$m^{2}$), 수축기 혈압($8.0 {\pm} 2.4$ mmHg), 이완기 혈압($3.9 {\pm} 2.4$ mmHg), 복부지방($23.8 {\pm} 6.6$ $cm^{3}$)이 유의하게(P < 0.01) 감소하였다. 그러나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혈청지질과 혈당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프로그램으로 인한 체질량지수의 감소는 혈압의 감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허리둘레의 감소는 복부지방, 피하지방 그리고 운동참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중년여성에서의 16주 간의 규칙적인 운동은 복부지방, 특히 내장지방의 감소와 혈압 강하에 기여하였으나 혈청지질과 혈당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Background: Abdominal obesity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reduction of basic metabolic rate, lack of exercise, excess intake, or hormonal changes in women. It is well recognized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metabolic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on abdominal fat, lipid profile,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Methods: Twenty-one women aged between 34 and 60 years old with BMI above 25 kg/$m^{2}$ were participated in sixteen-week exercise program at Guro-Gu community health center. Abdominal fat by CT, lipid profile,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t Guro-Korea University Hospital before and after sixteen-week exercise. Results: After sixteen-week exercise, body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abdominal fat, especially, subcutaneous fat were significantly (P < 0.01) decreased. Changes of BMI were positively (P < 0.05) correlated with blood pressure, and reduction of waist circumfer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bdominal fat, subcutaneous fat, and frequency of exercise. However, lipid profile and blood glucose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fore and after sixteen-week exercise. Conclusion: Sixteen-week exercise was very effective on reduction of BMI, abdominal fat, and blood pressure. However, exercise only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lipid profile and blood glucose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McArdle WD, Kaith FI, Katch VL. Energy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5thed. 2001.
  2. Nicklas BJ, Penninx BW, Ryan AS, Berman DM, Lynch NA, Dennis KE. Visceral adipose tissue cutoffs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Diabetes Care 2003;26(5):1413-20. https://doi.org/10.2337/diacare.26.5.141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2004;363(9403):157-63.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5268-3
  4.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2007.
  5. 윤형권, 이철원, 김정수, 이명수. 운동요법과 한방요법에 의한 비만치료에서 관련증상 개선이 체중감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2003;42(2):389-96.
  6. 허갑범. 비만증의 원인. 한국영양학회지 1990;23(5):333-6.
  7. 김미옥, 장은재. 연령별 비만에 대한 인식 및 체중 조절에 대한 태도. 식품영양학회지 2009;22(1):110-22.
  8. 나재철, 서해근. 러닝 및 근저항 복합운동이 20대 비만 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학회지 2001;19(1):128-38.
  9. 박봉섭. 걷기와 근력운동이 비만 여성 참가자의 신체구성, 체력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8;32:847-58.
  10. 김도균, 이근미, 정승필. 비만인에서 복부 심층부 피하지방조직의 임상적 의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7;28:100-5.
  11. 김양현, 오상우, 김영성 등. 비만 여성의 복부지방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2005;14(1):39-46.
  12. 김명숙, 안홍석.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효과-아로마 마사지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2003;12(1):54-67.
  13. 윤영숙. 중년여성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4.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제2판. 고려의학. 2008.
  15. 김상만, 양재혁, 임재연, 박정우, 권석형, 황보식. 한방복합제에 의한 산후 체중 조절 요법이 출산 후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3;16:54-9.
  16. 김인숙, 주은정, 이경자, 박은숙. 임상영양과 식사요법. 도서출판 효일. 2006.
  17. 박상갑. 근저항과 유산소성의 복합트레이닝이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01;19(2):275-91.
  18. Whaley MH, Brubaker PH, Otto RM, editors.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ublishers. 2006.
  19. 이철호, 최대혁. 자발적 운동참여가 중년여성들의 골밀도, 최대산소섭취량,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5;44(1):255-64.
  20. 김남익. 고도 비만 여성들의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4;43(3):633-44.
  21. Pollock ML, Broida J, Kendrick Z, Miller HS Jr, Janeway R, Linnerud AC. Effect of training of two days per week at different intensities on middle-aged men. Med Sci Sports 1972;4(4):192-7.
  22. 손현식. 운동생리학과 당뇨병: 득과 실. 대한내과학회지 2005;68(6):603-10.
  23.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i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18(6):499-502.
  24. 박상갑, 권유찬, 김은희. 복합운동의 빈도가 후기 비만 고령여성의 복부지방, 근량, 혈중지질과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08;17(2):691-702.
  25. 최건식, 고성경. 12주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중년여성의 비만도 및 혈중지질과 운동능력의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17(5):667-76.
  26. 윤은선, 이지영, 강현식, 안의수, 우상구, 김동제. 복부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적정운동량- 폐경 전. 후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2008;47(6):669-81.
  27. 남청웅. 행동수정요법과 유산소운동이 중년기 비만여성 의 신체조성, 혈청 지질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8. Stevens VJ, Obarzanek E, Cook NR, Lee I-M, Appel LJ, Smith West D, et al. Long-term weight loss and changes in blood pressure: results of the Trials of Hypertension Prevention, phase II. Ann Intern Med 2001;134(1):1-11. https://doi.org/10.7326/0003-4819-134-1-200101020-00007
  29. 김완수, 이미라. 혈압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운동의 혈압 감소 효과. 운동영양학회지 2007;11(2):129-35.
  30. 이종호. 고혈압환자의 일회성 트레드밀 운동에 따른 혈압과 혈관탄성 반응. 운동과학 2003;12(2):267-76.
  31. Pescatello LS, Franklin BA, Fagard R, Farquhar WB. ACSM position stand exercise and hypertension. Med Sci in Sports Exerc 2004;36(3):533-53. https://doi.org/10.1249/01.MSS.0000115224.88514.3A
  32. 소위영, 전태원, 서동일, 장혁기, 서한교, 엄우섭, 등. 12주간 탄력저항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2008;17(3):132 40.
  33. 권인창, 오재근, 신영오, 윤성민, 이정필, 김영주, 등.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 및 Circuit Weight Training 복합훈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심박 회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2;41(3):383-91.
  34. 백원담. Aerobic Dance가 중년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 1993;5:47-64.
  35. Wilding J, Williams G. Diabetes and obesity. Clin Obesity 1998;208-349.
  36. 김창균, 최승철. 장기간 지속적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 구성과 혈청지질 및 복부 내장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2;17:735-44.
  37. Hagan RD, Upton SJ, Wong L, Whittan J. The effects of aerobic conditioning and/or calorie restriction in overweigh man and women. Med Sci Sports Exerc 1986;21:350-9.
  38. 장태준. 12주간의 체중감량 프로그램이 중년 비만여성의 지방분포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