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menological Study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Old Age

노인의 자살시도 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eaning and essence of suicide after suicide attempt of old people experiencing suicide attempt in old age. It was analyzed by Giorgi's analysis approach (four stages), apply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carried out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ith the total four old people and carried out recording and memo. The study had 5-10 interviews and carried out repetitive questions in a form of open and semi-structural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drew three core components of meaning of suicide after suicide attempt of old people experiencing suicide attempt- Attempt suicide to escape from pain, wound left and new pain are created and find how to live hard by being suited to life. Through such results, the study can raise understand about senile suicide by grasping subjective experience of senile suicide attempters, grope concrete intervention strategy for suicide attempters' mind and repetitive suicide prevention and be used as ground data for development for substantial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욱.나덕렬.한승혜(1997).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 15(2), 300-308.
  2. 김신미.이유정.김순이(2003). 노인과 성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3), 95-110.
  3. 김은하(2006). 독거여성 노인이 체험한 편안함의 의미, -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 적용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인회(1974). 한국문화와 교육. 서울: 이대출판부.
  5. 김주희(2007). 저소득 재가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순(2009).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구조적 관계. - 노인과 청소년의 차이 비교 연구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형수(2002a).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2(1), 159-172.
  8. 남민(1995). 청소년 자살. 대한의사협회지, 453, 1282-1287.
  9. 박병금(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인성(2004). 자살의 논변. 철학연구, 89, 175-194.
  11. 박지영(2006). 노인자살 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지은.정영(2005).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선대학교 지역개발연구, 10(1), 39-59.
  13. 배지연(2004).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배진희.엄기욱(2009). 노인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9(4), 1427-1444.
  15. 서화정(2005).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 전략.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송동호.이종호.서호석.이홍식(1996). 정신병리학, 5(1), 77-86.
  17. 송영달.손지아.박순미(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30(2), 643-660.
  18. 신경림.조명옥.양진향(2004).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 신민섭(1993). 자살기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자기도피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오인근(2008). 노인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 저소득지역의 가구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원영희(2005).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1, 319-339.
  22. 유태균 역(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 데보라 K. 패짓 저.
  23. 육성필(2002). 자살관련변인의 탐색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4. 이근홍(2001). 노인의 사회참여와 자원봉사. 노인복지연구, 12, 7-24.
  25. 이미애(2009).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은주(2005).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진.배숙경.엄태영(2010).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2), 615-628.
  28. 이은희(2008). 경수완전손상환자의 재활병동생활 경험. - 재활병동 퇴원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정필(2005). 노인 학대경험이 심리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지영(2007).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임미영(2010). 노인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장미희(2006). 노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정인.곽동일.조숙행.이현수(1997).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표준화 연구. 노인정신의학, 1(1), 61-72.
  34. 조계화.김영경(2008). 한국노인의 자살생각 극복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38(2), 258-269.
  35. 조준필(2002). 자살 대 생명존중 : 자살예방의 과학적 접근. 활천, 585, 12-17.
  36. 최정민(2010). 노인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4, 233-252.
  37. 하상훈(2000). 청소년의 자살행동과 심리 사회학적 변인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홍강의(2009). 자살의 급등과 원인. 경향잡지, 9, 84-90
  39. 한나영.윤홍주.박일환.정유석.유선미(2002).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가정의학회지, 23(6), 769-777.
  40. 통계청(2008). 연령별 자살사망률추이.
  41. 통계청(2009).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 주요통계 결과.
  42. Beck, A. T. & R. A. Steer.(1989). Clinical Predictors of eventual suicide: 5-to 10 year prospective study of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7, 203-209. https://doi.org/10.1016/0165-0327(89)90001-3
  43. Carlson, G.A. & Cantwell, D.P.(1982). Suicide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 361-368. https://doi.org/10.1016/S0002-7138(09)60939-0
  44. Durhein, E.(1897).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자살론, 김충선(역)(1995), 청아.
  45. D' Zurilla, T. J.,& & Nezu, A. M.(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ment, 2, 156-163.
  46. Feifel, H.(1990). Psychology and death. American Psychologist, 45, 537-543.
  47. Giorgi, A.(1985).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1.
  48. Giorgi, A.(2003).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 Dr. A. P. Giorgi-2003년 Wint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orkshop.
  49. Jacobson, S, Tribe, P.(1972). Deliberate self-injury(attempted suicide in patients admitted to Hospital in Mid-Sussex.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1, 379-386. https://doi.org/10.1192/bjp.121.4.379
  50. Lazare, A.(1992). The suffering of shame and humiliation in illness. In Starck, P. L., & McGovern, J. P.(Eds), The hidden dimension of illness Human Suffering. 152-152. New York : Herder and Herder.
  51. Leenaars, A. A. (1996). Suicide: A multidimensional malaise.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26, 221-236.
  52. Lincoln, Y. S., & Guba, E.(1981).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53. Miller(1979). Suicide after sixty. New York: Springer.
  54. Nock, M. K., Borges, G, Bromet E.(2008).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 suicide mortality: a global cross-sectional analysis in an epidemiological transition perspective. Public Health, 118, 346-348.
  55. Nordentoft, M.,& Rubin, P.(1993). Mental illness and social intergration among suicide attempters in Copenhage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88, 278-285. https://doi.org/10.1111/j.1600-0447.1993.tb03457.x
  56. Paykel, E, S., Prusoff, B. and Myers, J.(1975). Suicide Attempts and Recent Life Event: Controlled Comparis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2(3), 327-333. https://doi.org/10.1001/archpsyc.1975.01760210061003
  57. Ringel, E.(1976). The Pre suicidal Syndrome.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6(3), 131-149.
  58. Schuckit, M.(1983). Alcoholic patients with secondary depress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40, 711-714.
  59. Sher, L, Sperling D, Zalsman G, Vardi G, Merrick J.(2006). Alcohol and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 Minerva Pediatr, 58(4), 333-339.
  60. Stewart SE, Manion IG, Davidson S, Cloutier P.(2001) Suicidal cildren and adolescents with first emergency room presentations: predictors of six-month outcom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Child Adolescent Psychiatry, 40, 580-7. https://doi.org/10.1097/00004583-200105000-00018
  61. Van manen(1984). Do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Writing : An Introduction, Alberta, B. C, Canada : University of Alberta Publication Services.
  62. Watson, J.(1985). The philosophy and science of caring, Colorado, Little Brown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