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rehension and conduct of physicians when acquiring informed consent for chemotherapy

항암화학치료시 사전동의서 취득에 관한 의사의 인식도와 행위 조사

Kim, Se-Won;Kang, Bong-Kyun;Park, Gun-Min;Hahn, Suk-Jae;Kim, Eung-Joong;Kim, Do-Yeun
김세원;강봉균;박근민;한석재;김응중;김도연

  • Published : 20100500

Abstract

Background/Aims: Given that the use of chemotherapy has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ncidence of cancer, the importance of patient autonomy in decision-making is being emphasized. This study aim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informed consent by analyzing doctors' perceptions of, and conduct during, the acquisition of written informed consent before chemotherapy. Methods: Forty-eight doctors directing or performing chemotherapy were surveyed in August 2009. In additi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between August 1, 2008, and August 31, 200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All 48 respondents replied that acquiring informed consent was necessary before chemotherapy, but only 27 (56.3%) were aware of the format of the consent that had been obtained. Regarding the format of informed consent, 34 (70.8%) felt that it should be brief and 21 (43.8%) indicated that the time they spent in acquiring informed consent ranged from 10 to 14 minutes. Reviewing actual performance in acquiring informed consent, only 22 (15.6%) out of 141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had written informed consent documents in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Conclusions: To properly acquire informed consent for chemotherapy, its meaning and importance must be understood by both physicians and patients. Moreover, patients need a standardized format of appropriate length for informed consent, with easily understood terms.

목적: 늘어나는 암환자와 더불어 항암화학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인권의 신장으로 인하여 환자의 자기 결정권은 최근 의료 현장에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학 병원에서 항암화학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항암화학치료 시행 전 설명 및 사전동의 취득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도 설문 조사 및 최근 1년 동안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항암화학치료 사전동의서를 획득하는 의료인의 행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항암화학치료를 지시하거나 수행한 적이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8년 8월 1일부터 2009년 8월 31일까지 항암화학치료가 시행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바탕으로 항암제 동의서를 받았는지와 항암제 동의서가 있었던 환자군을 대상으로 사전동의 취득 행동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설문 인원 48명 모두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설명 및 사전동의 취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면 사전동의서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은 27명(56.3%)이었다. 동의서의 형식은 자세한 설명보다는 간결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이 70.8%로 선호되었고, 설명 및 사전동의서 취득 시 소요시간은 응답자의 43.8%가 대체적으로 10~14분이 소요된다고 하였다. 전자의무기록에서 항암화학 치료 시 사전동의서 획득 유무를 조사한 결과, 항암치료를 받은 총 141명의 환자 중 22명(15.6%)에게만 서면 사전동의서를 획득하였다. 결론: 양질의 항암화학치료 수행을 위해서는 설명 및 사전동의서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의사와 환자에게 적절한 인식이 요구되며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평이한 용어로 작성된 적절한 길이의 표준화된 동의서 양식의 사용이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국가 암등록자료. 2007
  2. 미국 국립보건통계센터. 사망률자료. 2004
  3. Maeng KH. 'Informed consent' in public health activities: based on the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UNESCO. J Prev Med Public Health 41:339-344, 2008 https://doi.org/10.3961/jpmph.2008.41.5.339
  4. 안귀옥. 설명 동의 서식의 표준화 연구. 연세대학교 9-29, 2003
  5. 의학교육연수원편. 임상 윤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6. Stowell C, Sazama K. Informed consent in blood transfusion and cellular therapies: patients, donors, and research subjects. 1st ed. p. 62-63, Bethesda,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07
  7. 이윤영. 의사의 설명 동의 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연세대학교, 2003
  8. Manthous CA, DeGirolamo A, Haddad C, Amoateng-Adjepong Y. Informed consent for medical procedures: local and national practices. Chest 124:1978-1984, 2003 https://doi.org/10.1378/chest.124.5.1978
  9. 수술, 검사 표준설명동의서식집. 대한의학회
  10. 홍소연. 의료행위에서의 온정적 간섭주의의 정당화. 동아대학교 석당논총 33:199-224, 2003
  11. 문한림, 김훈교. 임상시험을 위한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조사. 임상약리학회지 8:202-212, 2000
  12. 안명숙, 민혜숙. 사전동의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인식과 경험. 임상간호연구 14:59-70, 2008
  13. 박진노, 양수, 최소은, 최경미, 홍영선, 이경식. 암환자 병명통고.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7:169-178, 2004
  14. Yun YH, Lee CG, Kim SY, Lee SW, Heo DS, Kim JS, Lee KS, Hong YS, Lee JS, You CH. The attitude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ward the disclosure of terminal illness. J Clin Oncol 22:307-314, 2004 https://doi.org/10.1200/JCO.2004.07.053
  15. 엄태현. 수혈시 설명 및 동의 취득에 관한 임상 의사들의 인식도 조사. 대한수혈학회지 19:165-17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