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oss-cultural Validation Test and Application of LSS-short Form

여가만족척도(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 Received : 2010.10.20
  • Accepted : 2010.11.11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and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the L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LS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9] has been used for about 20 years without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since it was utilized in Lee[2]'s study in Korea. First, all items of the original LSS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factors were translated and then inversely translat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leisure studies. A total of 515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item-total correlation,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4.0 and AMOS 5.0 program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names(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physical, esthetic, and relaxation) and items were modified. Second, modified operational definition of factors were presen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SS consisted of 24 items and five factors were very high. Psychological and relaxation factors of LSS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The new LSS would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ies associated with leisure satisfaction.

이 연구는 Beard와 Ragheb[9]에 의해 개발되고 국내에서는 이종길[7]이 사용한 여가만족척도의 번안적절성에 그에 따른 타당도를 검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여가만족척도의 문항과 각 요인의 조작적 정의를 번안 및 역번안을 수행하고 여가학 전문가들이 내용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하여 총 515명(대학생 290명, 일반인 2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던 여가만족척도의 요인의 명칭(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긴장이완)과 문항을 수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 결과 6개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요인과 긴장이완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재 번역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여가만족 척도는 향후 국내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주)데이터솔루션, 2002.
  2. 김병준, “체육학 연구에서 질문지 번역과 타당도제고를 위한 절차”,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3-26, 2003.
  3. 김영재,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291-299, 2004.
  4. 김영재, “한국형 여가만족척도의 다집단(Multi-Group)분석과 잠재평균”,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5호, pp.55-264, 2009.
  5. 엄한주, 스포츠 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1995.
  6. 오수학, 김병준, “심리측정도구의 타당도에 관한 새로운 개념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1-126, 2002.
  7.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8. 정덕조, 권용일, 이연주,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가가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45-154, 2008.
  9. J. G. Beard and M. G. Ragheb,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pp.20-33, 1980. https://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10. K. A. Bollen, "Sample Size and Bentler and Bonett's Nonnormed Fit Index," Psychometrika, Vol.51, pp.375-387, 1986. https://doi.org/10.1007/BF02294061
  11.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Wiley, 1989.
  12. C. Brightbill, Man and leisure: a philosophy of recreation, Prentice-Hall, 1961.
  13. C. A. Bucher, Foundations of physical education, Mosby Co., 1972.
  14. J. Dumazedier, Sociology of leisure, Elsevier, 1974.
  15.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16. R. Kraus, Recreation and leisure in modern society, Appleton-Century-Crofts, 1971.
  17. A. Maslow,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D. Van Nostrand, 1962.
  18. J. Neulinger, The psychology of leisure:research approaches to the study of leisure, Charles C. Thomas, 1975.
  19. I. H. Park, Issues and concurrent solutions in SEM(CFA),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North Americ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Regin: Canada, 2005.
  20. G. Patrick, The Psychology of relaxation, Houghton-Mifflin, 1916.
  21. A. Rutledge, Anatomy of a park: the essentials of recreation are planning and design, McGraw-Hill Book Company, 1971.
  22. R. E. Schumacker and R. G. Lomax,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modeling, LEA, 1996.
  23. B. G. Tabachnick and L. S. Fidell,Using Multivariate Analysis, Harper & Row, 2001.
  24. W. Walshe, Leisure with personality, Epperson et al., Using Multivariate Analysis, Harper & Row, 1977.
  25. R. H. Myers,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PWS-Kent Publishing Company, 1990.
  26. E. Diener, R. A. Emmos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6,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7.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토착 심리학적 접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8. M. K. Ragheb and C. A. Griffith,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4, pp.295-306, 1982.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27
  29. 임번장, 정영린,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3호, pp.56-69, 1995.
  30. 박래영, 김백윤, “노인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동기, 여가만족 및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33-14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