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NP Model for the Enhancing Creativity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CNP 모형의 개발과 적용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09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Enhancing creativity is possible to offer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and several conditions as variable thinking, experiment lesson, opened-situation. We developed CNP model as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ity. The CNP model emphasizes that parts of problem finding, embodying and solving ability and includes scientific problem finding tool,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Science Writing Heuristic. The CNP Model is comprised of six step. We developed teachers' guide and student's worksheets for application. Result of applied CNP model to students of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center in K University, students were able to enhanced originality and fluency and had solved problems by creative way. And creative problem finding, embodying and solving ability were increased. Therefore, the CNP model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ally gifted.

창의성은 다양한 사고, 실험 수업, 열린 상황 등의 여러 조건과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으로 CNP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문제발견,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 영역을 강조하며, 과학적 문제발견, 통합적 탐구 기능과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포함한다. 개발된 6단계의 CNP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수업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별도로 개발하였다. K 대학교 과학영재 교육원 학생들에게 이 모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독창성과 유창성이 향상되었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창의적 문제발견 및 문제구체화, 문제해결 능력이 신장되었다. 이에 개발된 CNP 모형은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8).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482-494.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별책 9]
  3. 김영채 (2004).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용진, 김재영, 권치순 (2005). 창의적 과학문제 해결에서 초등학교 과학영재아와 보통아의 뇌파 활성 차이.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23-32
  5.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 영재학생의 사고 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 개념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6. 박은미, 강순희 (2006). 유사 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56-366.
  7. 박은미, 강순희 (2007).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25-234.
  8. 박종원 (2001).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 대학생의 반응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09-621.
  9. 서혜애, 김순남, 조석희, 정현철 (2004).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한국교육개발원.
  10. 신수금 (2006). WHY NOTE에 기록된 중학생들의 일상생활 속 과학 궁금증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1.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2.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 (2006a).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 상호작용, 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13.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영신, 김진수, 조현준, 오창호 (2006b). 초등학교 실험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25(3), 281-295.
  14. 임재령, 유구식, 나동진 (2003).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대한 삼원지능과 사고양식의 영향 연구. 영재교육연구, 13(4). 95-117.
  15. 조석희 (2004). 영재교육 백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박윤복 (2000). 초․중․고등학교의 교과 내용, 평가와 과학적 사고력의 분석에 대한 연구. '99년도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논문발표회. 인천교육대학교.
  17.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최경희, 조연순, 조덕주 (1998).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연구 - 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49-160.
  19.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20. Adolf, J. (1982). Creative thinking through science. ED 232-785.
  21. Bandiera, M., & Bruno, C. (2006). Active/cooperative learning in school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0(3), 130-134. https://doi.org/10.1080/00219266.2006.9656030
  22. Betts, G. T. (2004). Fostering autonomous learners through levels of differentiation. Roeper Review, 26(4), 190-191. https://doi.org/10.1080/02783190409554269
  23. Burke, K. A., Greenbowe, T. J., & Hand, B. M. (2006). Implement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the chemistry laborat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3(7), 1032-1038. https://doi.org/10.1021/ed083p1032
  24. Chun, M., Shin, Y., Lee, S., & Choe, S. (2008). Percep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Long-term Effect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3), 241-252.
  25. Deming, W. E. (1982). Quality,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position. Cambridge. MA: MIT.
  26. Dewey, J. (1901). Psychology and social practice. University of Chicago contributions to education, no. 11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Erez, R. (2004). Freedom and Creativity: An Approach to Science Education for Excellent Students and Its Realization in the Israel Arts and Science Academy's Curriculum.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5(4), 133-140.
  28.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Y: John Wiley.
  29. Hohenshell, L. M., & Hand, B. (2006).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secondary school cell biology: A mixed metho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61-289.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965
  30. Linn, M. C., Clark, D., & Slotta, J. D. (2003). WISE design for knowledge integration. Science Education, 87(4), 517-538. https://doi.org/10.1002/sce.10086
  31. Linn, M. C., Slotta, J. D., & Baumgartner, E. (2000). Teaching high school science in the information age: A review of courses and technology for inquiry-based learning. Retrieved October 20, 2008, from http://www.mff.org/pubs/HSscience.pdf
  32. Moore, B. (2001). Developing research skills in gifted students. In Karnes F. A. & Bean, S. M (Eds.).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TX : Prufrock Press.
  33. Rensulli, J. (2003).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In N. Colangelo and G. Davis (3rd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NY: Allyn & Bacon.
  34. Treffinger, D. J. (1975).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12(1), 46-59.
  35.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s.), TX: Prufrock Press.
  36. Wallace, C. S., & Kang, N. H. (2004). An investigation of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inquiry: An examination of competing belief se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936–960. https://doi.org/10.1002/tea.20032
  37. Watters, J. J. & Diezmann, C. M. (2003). The gifted student in science: Fulfilling potential.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9(3), 46-53.
  38. Windschitl, M. & Buttemer, H. (2000). What should the inquiry experience be for the learner?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2(5), 346-350. https://doi.org/10.1662/0002-7685(2000)062[0346:WSTIEB]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