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isual identity of Rural Landscap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

농촌경관의 시각 정체성에 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거주자 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5.03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Recently, there are many people who live in rural keep getting away from their town. The reason why become aging and reducing society in Rural is weakness of agricultural competition,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Thereupon, we need counter plans to make boom in exhaustion rural landscape counter plan, losing consciousness of citizenship, over developing from city planners who are giving serious damage to rural landscape. However, there are many promotions going on to cover weakness of rural. In this research, to set up the right view of rural which considered the different cognitions, it is important to derive each preference or non-preference scenery, and countrified or non countrified scenery. From different cognition, finding preserved and improved factors is necessary to preserve, reform, and improve the countryside scenery. Based on this, to investigate natural characters of viewpoint is providing right direction for future rural landscape.

Keywords

References

  1. 이순혁, 1977, 농촌경관의 시각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재인용.
  2. 윤진옥 외 2명, 1995, 도시 및 농촌주거자의 농촌경관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Vol.23.
  3. 임승빈, 1993, 도시경관관리의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37(7), 74-76.
  4. 임승빈, 김성근, 조우현, 1999,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통한 농촌소하천 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5(1), 35-44.
  5. 김농오, 1992, 한국농촌경관의 재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연안환경연구, 9, 65-79, 재인용.
  6. 서주환, 2002, 농촌경관 중요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평가, 경희대학교부설디자인 연구원 논문집.
  7. 서주환, 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 최수명, 2001, 어메니티 지향 시대의 농촌정비방향, 농어촌과 환경, 73(12), 51-55, 재인용.
  9. 송미령, 2001, 농촌마을 관광모델과 주민참여방안, 여가와 농촌 활성화 심포지엄, 23-40, 전국농업기술자협회/삼성경제연구, 29, 재인용.
  10. 김상범 외,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 12(3), 14.
  11. 유장호, 2000, 도시근교 경관의 유형과 그 평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2. 김영미, 2004, 농촌담장의 평가에 관한 연구(도시민과 농촌주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9-12.
  13. 최수명, 2001, 어메니티 지향 시대의 농촌정비방향, 농어촌과 환경, 농어촌과 환경, 73(12), 51-65, 재인용.
  14. 김승환 외, 1991, 쾌적한 도시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4), 101-115, 재인용.
  15. 강경하 외, 2002, 농촌 어메니티 자원 현황과 활용, 농촌어메니티보전 및 관광자원화 방안 심포지엄자료.
  16. 조순재, 2004,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마을개발 관련사업 분석, 한국조경학회 춘계 학술논문 논문집, 48.
  17. 손주동, 2006, 농촌경관 선호도와 농촌다움에 기초한 농촌 경관 관리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5, 재인용.
  18. 박창석, 2002, 외2명,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 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6), 21-35, 재인용
  19. 홍승길, 2006, GIS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토지 이용에 따른 경관유형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9(1), 5.
  20. 임승빈, 2007, 농촌경관 선호도와 농촌다움에 기초한 농촌경관 관리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