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 (CoRe) -Focusing on "Molecular Motion" for 7th grade class-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7.25
  • Accepted : 2010.10.04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hen developing Content Representation (CoRe) of "molecular motion" for the 7th grade in collaboration with experienced chemistry-trained teacher and non-chemistry-trained teacher and to investigate how the participants' PCK changed in their classes after developing CoRe. The participants were one experienced chemistry-trained teacher, two physics-trained teachers, and on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For this study, the discussions on developing CoRe was recorded and two physics-trained participants' classes were video-taped, and constructed/semiconstr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ll data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reflective thinking of their knowledge and previous classes, corrected their own misconception and clarified those conception, recognized the contents and the goals of "molecular motion" class, enhanced understanding of students' preconcept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CoRe. Especially, the two physics-trained teacher-participants confessed that they recognized clearly the contents and the goals of "molecular motion" class and identified their deficiency in 'particle viewpoint' in their previous classes. Their recognition was realized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with experienced chemistry-trained teacher. Among the components of PCK,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was most influent on two physics-trained teacher-participants' classes, and they emphasized 'particle viewpoint' and 'molecular motion'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hey introduced new teaching strategies that were discuss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CoRe. The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PCK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own knowledge and previous classes and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ourse of developing CoRe can promote reflective thinking that is essential for increas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ignificantly influence on PCK. Especially, developing CoRe in collaboration with experienced chemistry-trained teacher and non-chemistry-trained teacher can identify deficiency in their classes and thereby, improve their classes. And, it takes time and effort to internalize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in their teaching practice.

이 연구의 목적은 숙련된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가 공동 작업으로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에 관한 CoRe를 개발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개발 과정 경험 후 이들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PCK 변화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도구적 사례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를 의도적 표본 추출하였다. CoRe 개발 과정 녹음과 수업 관찰 녹화,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는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CoRe 개발 논의 과정을 통해 교과 내용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해 반성하고, 교사 자신의 오개념을 수정하고 개념을 명료화했으며, 교수 내용과 목표를 분명히 인식하고, 학생들의 선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전공 교사와의 논의를 통해 이전의 수업에서 입자적 관점이 부족했었던 면을 확인하고, "분자의 운동"에서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할지를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음을 강조했다. CoRe 개발 경험 후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PCK의 구성 요소 중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아, 수업에서 입자성과 분자의 운동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CoRe에서 논의된 새로운 교수 전략을 도입했다. 비전공 연구 참여 교사들의 PCK가 변하는 정도는 자신의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 정도와 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 달랐다. 이 연구를 통해 CoRe 개발 과정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필수적인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고, PCK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공동으로 CoRe를 개발하는 논의 과정을 통해 통합 교과에서 비전공자들이 보이는 일종의 결여를 확인하고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식이 곧바로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화되기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7a).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의 이론과 실제. 열린교육실행연구, 10, 81-114.
  2. 곽영순.강호선.남경식.백종민.방소윤(2007b). 수업 컨설팅 바로하기.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3. 노진호(1996). 존 듀이의 교육이론: 반성적 사고와 교육. 서울: 문음사.
  4. 박미화.이진석.이경호.송진웅(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과학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5. 박정희(2005). 중학교 과학교사의 과학교과 지도 능력에 대한 인식 조사.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6. 백성혜 박미현(2005).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의 전공에 따른 수업 특징 비교. 교원교육, 21(3), 63-82.
  7. 서경혜(2008).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8.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2004). 분자의 운동. 서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9. 손지영(2005).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9(2) 17-32.
  10. 이생주(2006). 반성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교사 교단 일기 쓰기 경험의 의미 탐색.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1. 이학동(1986). 통합과학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43-52
  12. 이혁규(2005). 교과교육현상의질적연구. 서울: 학지사.
  13. 이화진.오은순.송현정.전효선.강대현.권점례.곽영순.진의남.유정애.이경언.양윤정.이병천.이미숙.김명화.오상철.홍선주(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연구: 2006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14. 임청환(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35-249.
  15. 정애란.맹승호.이선경.김찬종(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16. 조희형.최경희(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7. 채동현.박현주.이수영(2003). 과학교육의 질적 접근. 서울: (주)북스힐.
  18. 최미화 최병순(1999).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04-216.
  19. Creswell, J. W.(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역)(2005).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학지사.
  20. Gess-Newsome, J.(1999).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51-9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https://doi.org/10.1002/tea.20007
  22. Loughran, J., Berry, A., & Mulhall, P.(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layton: Sense Publishers.
  23.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25. Shulman, L. 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6. Tobin, K. & McRobbie, C.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15-23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37::AID-TEA1001>3.0.CO;2-U

Cited by

  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vol.31,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621
  2.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밀도에 관한 내용교수지식 수준과 그에 따른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 vol.56, pp.1,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2.56.1.128
  3.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vol.33,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63
  4. 예비화학교사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 vol.57, pp.6,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3.57.6.830
  5.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Content Representation)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PCK 특징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