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Evaluating Factors of the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Published : 2010.02.25

Abstract

I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states, 'Sustainable development' is indispensable to achieving quality in our living environments, and to minimize any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may threaten our way of life. Developed from the 1970'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the global paradigm. Determining and improving the community elements of a sustainable housing complex is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ithin the housing comp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valuation factors of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for the planning of a housing complex.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deduce the elements of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In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of sustainability are comprised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Second, the elements of community are comprised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 aspects.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도시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국제 심포지엄.
  2. 남용훈. 신중진(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5-18.
  3. 권오정. 곽인숙. 이경희. 최재순(2001). 새천년의 주민복지를 위한 커뮤니티 센터의 활동프로그램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39(8), 19-35.
  4. 김영환(2001).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계획의 특성. 국토계획 36(1), 151-167.
  5. 김정현. 윤아람. 하미경(2007). 아파트 단지 내 고령 친화적 커뮤니티 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631-634.
  6. 김흥순(2007). 뉴어바니즘의 국내적용가능성 분석: 수도권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55, 155-178.
  7. 대한주택공사(2001). 커뮤니티활성화를 위한 신주거지 계획. 대한주택공사.
  8. 마쓰나가야스미쓰(2006). 도시계획의 신조류. 한울.
  9. 백해선. 서수정(2004). 공동주택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 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219-230.
  10. 서수정(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7), 125-143.
  11. 성희자. 전보경(2006).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 149-170.
  12. 손세관. 김원경(2009).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의 이용실태 및 적정 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4), 145-156.
  13. 안일근(2003). 주민자치센터의 생활방법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야사미아스시(2003).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15. 윤정숙. 김선중. 박경옥(1996). 주거학 조사분석방법. 문운당.
  16. 이강희. 황은경(2002). 건물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4), 55-62.
  17. 이규인(2004).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개발을 위한 계획이론 및 개념 모델 연구. 한국과학재단.
  18. 이규인 외 1(2008). 초고층 주거복합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3), 23-32
  19. 이원훈. 이창수(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4), 95-113
  20. 임연수. 김진균(2009).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세부기준 도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3), 59-66
  21. 임희지(2001). 지속가능한 도시조성을 위한 신-전통주의계획이론 분석 연구. 국토연구 32, 95-111
  22. 정승진.이원영.강순주(2003).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1), 41-50
  23. 조유정. 이경희. 하미경(2006).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거주 후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33-36
  24. 조성희. 강혜경(2000).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주거공동체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 109-114
  25. 천현숙(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9(1), 143-172
  26. 최병두(2000). 삶의 질로서 공간의 유형화와 공동체. 대한지리학회지 35(2), 321-340
  27. 한민정. 이상호(2005).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6), 93-100
  28. 황소윤. 김광배(2007). 지속가능한 도시건축이론, New Urbanism의 공간구조 특성을 적용한 주거. 휴양복합시설 계획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7(1), 489-493
  29. 홍이식. 정재용(2004).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27-30
  30. Elkin, t., Mclaren, D. and Hillman, M. (1991). Reviving The City: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ondon: Friends of the earth.
  31. G.H, Hillery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Cited by

  1. A Study for the Community Vitalizing Strategy Through the Revision of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for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s vol.30, pp.1,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1.029
  2. A Typological Approach to the Community Manage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Apartment Complexes vol.25, pp.2, 2014, https://doi.org/10.6107/JKHA.2014.25.2.109
  3.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vol.26, pp.2,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