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utrient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s in the Asan Reservoir

아산호 퇴적물에서 영양염류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 Ki, Bo-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Lim, Bo-M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Na, Eun-Hye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y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i, Jung-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기보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임보미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 나은혜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 최정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8.25
  • Accepted : 2009.12.02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diments on the water quality of an estuary reservoir, Asan reservoir, we analyze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s and estimated nutrients release rate from the sediments. The sediments characterized as sandy loam are mainly composed of Nonapatite-P(64.7%) which has strong influence on the eutrophication of the reservoir by releasing from the sediments under the condition of increasing pH and anaerobic environment. High nutrient release rates was observed in April. Negative release rates in June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nutrient release from the sediments. The nutrient release was active at the Site B around the confluence of tributary compared to the Site A near the embank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nutrient release rates and sediments surface area, daily average nutrient release rates of Asan reservoir are estimated; TN 6,609 kg/d, TP 3,877 kg/d. Since the amount of N and P released from the sediments corresponds to the 7.06% of N and 22.04% of P incoming from the watersh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little influence of sediments on the water quality of Asan reservoir.

하구형 호수인 아산호(평택호)에서 방조제 근처의 A지점과 상류 하천이 유입되는 B지점을 선정하여, 퇴적물 성상과 퇴적물에서 발생하는 영양염 용출량을 측정함으로써 퇴적물이 아산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산호의 퇴적물은 sandy loam으로 이루어져있고, 대부분의 인이 Nonapatite-P(64.7%)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수중의 pH 상승이나 혐기성 상태로의 전환 등에 의해 다량의 인이 퇴적물에서 용출되어 수체의 부영양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4월이 6월에 비해 용출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방조제 근처인 A지점에서는 질소, 유입지천의 합류점인 B지점에서는 인의 용출이 활발히 일어났다. 용출율과 퇴적물의 표면적을 이용해 일일 평균 용출량을 계산해보면, TN는 6,609 kg/d, TP은 3,877 kg/d로 유입지천으로부터 유입되는 TN의 93,616 kg/d 중 7.06%, TP의 17,590 kg/d 중 22.04%에 해당되는 값으로, 아산호의 퇴적물이 저수지 수질에 미칠 영향은 적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희," 영양염 용출 측정에 관한 고찰,"한국환경과학회지, 11(12), 1333-1337(2002).
  2. 조영철, 정세웅," 남양호퇴적물에서영양염류용출특성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9(12), 1345-1352(2007).
  3. Lerman, A., Geochemical processes water and sediment environment, Jon Wiley and Sons., New York, pp. 481(1979).
  4. 박제철," 부영양호퇴적층으로부터용존유기물의용출특성,"한국육수학회지, 21(6), 595-601(2005).
  5. Abrams, M. M. and Jarrell, W. M., "Soil phosphorus as a potential nonpoint source for elevated stream phosphorus levels,"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4, 132-138(1995).
  6. Stumm, W. and Morgan, J. J., Aquat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484-498(1996).
  7. 김건하, 정우혁, 최승희", 호수의 물 순환이 저니의 인용출율에 미치는영향,"한국물환경학회지, 21(6), 595-601(2005).
  8. 신재기," 평택호에서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동태," Algae, 18(2), 145-156(2003).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45
  9. 신재기, 황순진", 평택호와유역하천에서조류생장잠재력측정," 한국육수학회지, 36(2), 172-180(2003).
  10.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인공호수의 수질개선과 효과적인 관리 방안(평택호를중심으로), 1998.
  11. 신재기, 황순진, 조경제", 평택호와유역 주요 하천의 수환경및 오염도평가,"한국육수학회지, 36(1), 38-47(2003).
  12. Hieltjes, A. H. M. and Lijklema, L., "Fractionation of inorganic phosphates in calcareous sediments,"J. of Environ. Qual., 9(3), 405-407(1980).
  13. 정우혁, 김건하," pH와 산화환원전위에 따른 상등수-퇴적물에서의 인 형태변화,"대한환경공학회지, 28(5), 472-479(2006).
  14. 전상호," 소양호의 표층 퇴적물의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에 대하여,"한국지구과학회지, 6(2), 57-61(1985).
  15. 전상호", 춘천지역의 인공호퇴적지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에 따른 수질오염의 가능성에 대하여,"한국물환경학회지, 4(2), 49-57(1988).
  16. 전상호, 박용안", 소양호 퇴적물에 함유된 인의 존재형태와 용출 가능성에 대하여,"한국육수학회지, 22(3), 261-271(1989).
  17. 김태웅, 임봉수," 금강하구호 sediments로부터 수질오염물질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수질보전학회지, 13(3), 245-253 (1997).
  18. 강필구, 이상원, 박혜경, 권오윤, 김용진, 변명섭, 공동수", 소양호 퇴적물에서의 인과 질소 용출에 관한 연구,"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 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공사 상하수도연구.교육센터, pp. 957-966(2007).
  19. 정하영, 조경제,"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저질퇴적층의 SOD와 영양염 용출," 한국육수학회지, 36(3), 322-335(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