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ighway Hazardous Area by Sun Glare Intensity Using GIS Simulation

GIS Simulation을 이용한 태양광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지역 분석

  • Kim, Ho-Yong (Department of Civi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Baik, Ho-Jong (School of Air Transport, Transportation, Logistics and Air & space Law, Korea Aerospace University)
  • 김호용 (미주리대학교 토목.건축.환경공학과) ;
  • 백호종 (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우주법학부)
  • Received : 2010.08.11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Existing traffic safety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roadway crashes, highway design and incremental weather condition such as rainy/ice weather.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that studied the effect of sun glare on traffic safety although there are abundant evidences demonstrating that fatal traffic crashes are attributed to the sun glare. Affecting drivers'vision particularly during the morning or the evening time when the sun positions close to the horizon, sun glare directly deteriorate drivers'judgmental capability. In this paper, we nume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sun glare on the drivers'vision in time and space domains. Applied to the roadways around St Louis area in the United States, the GIS based simulation analysis identifies the time of day in a year and the segments of highways that are potentially influenced by the sun glare. This study evidentially confirms the fact that roadway bounded for West and East directions have longer time influenced by sun glare particularly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than other roadways. The computational result provides risky time periods of day at intersections or pedestrian crossings where the sun glare potentially endangers traffic safety, which be utilized to reduce the crashes due to the sun glare.

기존의 교통안전에 관한 연구는 우천, 결빙과 같은 악천후와 연관된 교통사고 자료의 분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태양광의 시야 장애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은 다른 기상요인과 달리 통계적 데이터의 수집 및 교통사고 당시의 검증 문제로 인하여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태양에 의한 시야장애는 태양의 위치가 수평선에 가까워지는 아침과 저녁시간에 특히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는 운전자의 판단능력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각 구간별 태양광 위험시간대 분석을 위하여 태양과 도로에 관한 위치해석 및 운전자 시야각을 적용하였다. 시간 및 도로의 지형조건에 따라 변하는 태양광의 시야 장애로 인한 위험지역의 도출을 위하여 미국 미주리 주의 세인트 루이스시 주변에 위치한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GIS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간적으로는 동쪽 및 서쪽으로 향하는 도로가 상대적으로 위험하며, 시간적으로는 겨울보다는 여름이, 여름보다는 봄과 가을이 더욱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양광으로 인하여 반대편 차량을 인지하기 힘든 교차로 및 보행자 건널목 등에 위험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현, 이수범, 박병정. 2003. 잠재적 교통사고 위험 구간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291-297.
  2. 김중식. 2006. GIS를 이용한 도로의 결빙구간 분석.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8쪽.
  3. 김호용. 2010. 공간통계분석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의 입지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46-156.
  4. 김호용, 백호종, 김지숙. 2010. GIS-T 환경에서 시공간분석을 이용한 교통사고 특성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41-53.
  5. 남광우, 강인주. 2007. 음주운전사고 발생위치의 임의성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29-138.
  6. 심상우, 최기주. 2009. 도로기상요인의 영향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상황 유형 분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685-691.
  7. 이영남, 김광원. 2007. 기상요소와 교통사망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6(3):125-164.
  8. 이종학, 조혜진. 2004. 악천후.기상상태별 교통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3867-3870쪽.
  9. 조혜진, 김강수. 2006. GIS를 적용한 교통사고 위험지점의 공간 분석.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26쪽.
  10. Chrysler, S.T. and D.S. Schrods. 2005. Field Evaluation and Driver Comprehensive Studies of Horizontal Signing. Technical Report,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pp.18-22.
  11. Garber N. and L. Hoel. 2009. Traffic & Highway Engineering. Cengage Learning, 4th edition.
  12. MacDonald E. 2007. The Intersection of Trees and Safety. Access. pp.20-26.
  13. Quigley C., S. Cook and R. Tait. 2001. Field of Vision (A-pillar geometry) - A Review of the Needs of Drivers: Final Report. Loughborough: Loughborough University. pp.9-17.
  14. Transport Canada. 2002. Roadway/Railway Grade Crossings Technical Standards and Inspection, Testing and Maintenance Requirements. pp.132-133.
  15. Wang, Z. 2007. Placement design of ramp control signa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23:83-91. https://doi.org/10.3141/2023-09
  16. http://www.solsticeamateur.com
  17. http://www.tc.gc.ca/eng/railsafety/guideline-rtd10-315.htm

Cited by

  1. LiDAR Data를 이용한 태양광에너지 자원도 제작 vol.15, pp.3,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