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형산강 수계의 수질 특성

  • Kim, Yu-Pyo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2.12
  • Accepted : 2010.03.20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term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for 7 sampling sites of the Hyeongsan River watershed using water quality dataset during 1999 to 2008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y, based on eigh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varied largely depending on the years, seasons and sampling sites. Seasonal and annual means of conductivity, used as a key indicator for a ionic dilution declined during the monsoon season and TN, based on overall mean of all sites, showed marked declines during the monsoon, compared to those of the premonsoon. In the mean time, BOD and COD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with a precipitati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in the sampling sites. In contrast, major input of SS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ummer monsoon season. Spatial trend analyses of all parameters, except for DO and temperatures, showed that gyeongju city acted as a point source, and thus, water quality at the location of Site 4 declined abruptly, compared to locations of Site 1~2. Based on overall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point source tributary streams is required for better water quality of the main Hyeongsan River.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의 7개의 하천 지점에서 이 화학적 수질의 시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인(TP), 총질소(TN), 부유물(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 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이온 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계절별 영양염류 (TN, TP)는 전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평균했을 때 TN은 갈수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P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중류부에서 장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OD와 COD는 강우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SS 농도는 장마기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본류의 SS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형산강 상 중류의 BOD, COD, TP, TN, SS 및 EC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H3 지점을 지나면서 모든 변수에서 크게 증가하여 수질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주시 및 포항시의 도심에서 흘러나오는 지천의 영향이 하류의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아, 안광국. 2006.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1): 73-84.
  2. 강태호. 1998. 도시하천에서의 강우와 유출 및 수질 예측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토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6
  3.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문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 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한국육수학회지 37(2): 205-212.
  4.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3): 160-170.
  5. 신재기, 황순진, 조경제. 2003. 평택호와 주요 하천의 수환경 및 오염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6(1): 38-47.
  6. 안광국, 신일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 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54-62.
  7. 안광국, 양우미. 2007. 금강 수계의 수질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40(1): 110-120.
  8.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 153-165.
  9. 안광국. 2001. 대형 인공호에서 양이온, 음이온 및 전기전도도의 연변화에 대한 수리수문학적 중요성. 한국육수학회지 34(1): 1-8.
  10. 오강호, 고영구. 2003. 광주광역시 하천수의 수질 및 오염. 한국환경과학학회지 12(3): 287-297.
  11. 옥치상, 이주상, 박홍석, 백병천, 이병인. 1999. 수질 및 수자원관리. 도서출판 대학서림. p. 606.
  12. 윤한삼, 이인철, 류청호. 2003.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특성(I) -하천유량과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17(4): 23-30.
  13.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 추이 및 상.하류 이질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5(1): 36-44.
  14. 전재인, 이동석, 이동철. 1999. 형산강 하구의 Ecosystem 연구(2) -이화학적 수질 특성-. 한국환경관리학회지 5(2): 219-227.
  15.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1-4): 27-49.
  16.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 189. https://doi.org/10.1023/A:1026578117878
  17. Berner, E.K. and R.A. Berner. 1987.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Englwood Cliffs, New York, p. 397.
  18. Moon, Y.H., J.M. Park, J.G. Son and K.H. Kim. 2001. Change in water quality on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Kor. J. Environ. Agric. 20(3): 252-257.
  19. Parks, S.J. and L.A. Baker. 1997. Sources and transport of organic carbon in an Arizona River-Reservoir System. Water Research 31: 1751-1759. https://doi.org/10.1016/S0043-1354(96)00404-6
  20.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ournal Hydrology 265: 149-163.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