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 of People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s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 강대구 (순천대학교 농업교육과)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for reviewing the people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 and recommend to some policy implication for supporting it.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was doing and seeking about return farmer meaning and motive, return type, moving problems, adaptation problems, satisfactions degree and farm life and rural life continuance will, and return farmer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twelve policy recommendations offered.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하, 윤순덕, 조영숙, 황대용, 고정숙, & 최윤지. (2008). 귀농지원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일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04-104.
  2. 강대구. (2006). 최근 귀농 실태와 지원 대책 방안. 농림부정책과제보고서. 농림부.
  3. 강대구, 정철영, & 이근수. (2003). 창업농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농림부 정책연구보고서.
  4. 강대구. (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59-98.
  5. 강대구. (2006a).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6.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은미, 김정태, &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 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53-65.
  7. 김정호, 김배성, & 이용호. (2007). 농업부문 비전 2030 중장기 지표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8. 김정섭. (2009). 귀농, 귀촌 활성화를 위한 자치단체의 과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6(3), 533-556.
  9. 김정호, & 마상진. (2006). 예비취농자 및 신규취농자의 영농에 대한 태도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53-65.
  10. 김주현. (1999). 귀농인의 농업기술정보 획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형용. (1998). 귀농자의 실상과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14(1), 205-223.
  12. 남정덕. (2000). 귀농형실버타운의 보급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농림수산식품부. (2009). 귀농관련 내부자료. 과천.
  14. 농림수산식품부. (2008). 농림업주요통계. 과천.
  15. 농림수산식품부. (2008a). 농업인확인서 발급규정. 농림수산식품부고시 제2008-94호.
  16. 농촌진흥청. (1998). 귀농농가의 경영모형 길잡이. 수원: 농촌진흥청.
  17. 박공주, 윤순덕, & 강경하. (2006).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12(4), 63-76.
  18. 박공주, 김양희, & 박정윤. (2007).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이주준비 및 농촌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9-21.
  19. 박영일. (1998).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연구: 귀농사례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법제처. (2009).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1565호.
  21. 송미령, 박석두, 성주인, & 박경철. (2006).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 설문조사 결과자료집.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송용섭, & 황대용. (2010). 귀농귀촌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 2010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95-121.
  23.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 단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24. 서만용, & 구자인. (2005). 귀농자의 농촌정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촌관광연구, 12(2), 145-171.
  25. 신윤철, 김동섭, 배성의, & 윤준상. (1998). 귀농자의 귀농동기 및 배경 특성 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산업개발연구, 6, 59-70.
  26. 우종현. (1997). 귀농농가의 발생원인과 적응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1), 99-113.
  27. 이동하. (1998). 귀농자의 농촌적응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이병철. (1999). 특집/한국 환경운동의 새로운 모색 1-귀농운동 생태적 가치와 자립적 삶을 위해 토착민으로 살기. 한국환경운동의 새로운 모색-1. 환경과 생명, 20, 22-31.
  29. 이상호. (2008). 경북지역 귀농인의 지역 및 지역주민과의 만족도 분석. 농업경영, 정책연구, 35(3), 551-565.
  30. 이정관. (1998). 귀농자의 영농정착과 관련된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장동원. (2009). 지방자치단체의 귀농관련 자치법규의 비교분석-귀농의 조례 및 규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7(3), 19-32.
  32. 정철영. (2001). IMF에 따른 귀농희망 실업자를 위한 영농교육훈련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2(1), 1-26.
  33. 조남철. (1989). 귀농과 이농의 역설적 의미: 1940년대 농민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 208-249.
  34. 조남현. (1980). 지식인 귀농의 모티프 생성과 표출. 현상과 인식, 10(2), 37-68.
  35. 조록환. (1998). 귀농자의 생활실태 분석. 도시와 빈곤, 34, 42-47.
  36. 조흥수, & 권승구. (1998). 최근의 귀농실태와 정책적 지원 방향. 안성산업대학교 논문집, 30, 5-16.
  37. 천규석. (1997). 귀농, 왜 어떻게 해야 하나. 경향잡지, 7, 33-40.
  38. 한국도시문제연구소. (1998). 귀농현황과 정책과제. 도시와 빈곤, 34, 2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