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ropping System on Disease Incidence by Soil-borne Bymovirus in Barley and on Density of the Vector, Polymyxa graminis

작부형태가 보리의 토양전염성 Bymovirus 발생과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박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노태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김미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
  • 이상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박철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강천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이정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 김태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맥류사료작물과)
  • Received : 2010.07.16
  • Accepted : 2010.07.25
  • Published : 2010.08.01

Abstract

In this study, changes in virus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were monitored in conventional cropping system(rice-barley) and soybean-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in virus-prone area for 5 years. Also, changes in the density of Polymyxa graminis, a fungal vector, was investigated. In assay tests, mixed infec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and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was observed. Disease severity was in the range of 7~9 in conventional cropping system. In continuous cropping of soybean-barley and 3-yearfallow land, disease severity also was around 7. However, disease severity was reduced to medium level (5) when barley cultivation was paused for one or two years in soybean-barley cropping. When barley cultivation was paused for a year, the density of P. graminis, a fungal vector for BaYMV and BaMMV, reduced in barley root and soil. Similarly, barley growth was also enhanced by adopting fallow seasons. Compared with the fifth year of conventional cropping, the number of tillers per $m^2$ was increased by 158 when barley cultivation was paused for an year in soybean-barley cropping. When soybean and barley were cultivated continuously or complete fallow period was extended to three years,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tillers of barley were decrease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n soybean-barley cropping were superior to those in rice-barley cropping. Compared with the fifth year of conventional cropping and soybean-barley cropping, culm length of barley was 1.3~2.3 cm higher and the number of tillers per $m^2$ was 36~90 higher when barley cultivation was paused for one or two years. However, those in continuous cropping of soybean-barley and 3-year-fallow land were lower compared with conventional cropping. Similarly, yield was increased when barley cultivation was paused for one or two years in the third, forth, and fifth year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cropping.

보리바이러스 발생 상습 논에서 관행(벼+보리)과 콩+보리의 작부체계가 보리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5개년간 조사하였고, 윤작과 바이러스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를 검정하였다. 보리 감염 바이러스 종류를 검정한 결과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와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가 혼합감염 되어 나타났다. 발병정도는 관행에서는 4년차를 제외하고는 7~9로 조사되었다. 반면 콩+보리 연작이나 3년 동안 휴경한 경우는 발병정도가 7정도로 관행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콩+벼 작부체계 중에서 보리를 1년 또는 2년(1년/2년) 휴경하면서 콩을 재배한 경우 발병정도가 중 정도(5)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작부형태에 따른 BaYMV와 BaMMV의 매개균인 P. graminis의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매개균의 밀도가 가장 낮아졌다. 콩을 재배하면서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경수는 158개/$m^2$ 많아 생육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콩과 보리를 연작하거나 3년간 보리와 콩을 재배하지 않고 휴경한 경우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이나 경수 등 생육이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수확기에 간장 등 수량 구성요소가 관행에 비해 보리+콩의 윤작처리에서 좋은 경향을 보여 콩과의 윤작 처리가 수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은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 관행과 보리+콩 연작 처리에 비해 1.3~2.8 cm 컸고, 수수도 36~90개/$m^2$ 많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콩+보리 연작이나 3년간 휴경한 처리에서는 관행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수량성에서도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는 3년차, 4년차, 5년차에서 모두 관행에 비해 수량이 많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dams, M. J., Antoniw, J. F. and Mullins, J. G. 2001. Plant virus transmission by plsmodiophorid fungi is associated with distinctive transmembrane regions of virus-encoded proteins. Arch. Virol. 146: 1139-1153. https://doi.org/10.1007/s007050170111
  2. Agrios, G. N. 2005. “Plant Pathology”, 5th ed. Academic Press INC. San Diago, California 922 pp.
  3. Bailey, K. L., Mortensen, K. and Lafond, G. P. 1992. Effect of tillage systems and crop rotation on root and foliar diseases with wheat, flax, and peas in Saskatchewan. Can. J. Plant Sci. 72: 583-591. https://doi.org/10.4141/cjps92-073
  4. Barr, D. J. S. and Slykhuis, J. T. 1976. Further observation on zoosporic fungi associated with wheat spindle streak mosaic. Can. Plant Dis. 556: 77-81.
  5. Chen, J., Swaby, A. G., Adams, M. J. and Ruan, Y. 1991. Barley mild mosaic virus inside its fungal vector, Polymyxa graminis. Ann. Appl. Biol. 118: 615-621. https://doi.org/10.1111/j.1744-7348.1991.tb05351.x
  6. Duczec, L. J., Jones-Flory, L. L., Reed, S. L., Bailey, K. L. and Lafond, G. P. 1996. Sporulation of Bipolaris sorokiniana on the crowns of crop plant grown in Saskatchewan. Can. J. Plant Sci. 76: 861-867. https://doi.org/10.4141/cjps96-146
  7. Frahm, J. H. 1989. Reduced yield caused by BaYMV - in Lippe, Westphalia an analysis of causal factors. Gesunde Pflanzen 41: 45-46.
  8. 김양길. 1997. 파종시기에 따른 보리호위축병 발생이 맥주보리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4 pp.
  9. Kojima, M., Matsubara, A., Yanase, S. and Toriyama, S. 1983. The occurrence of barley yellow dwarf disease in Japan. Ann. Phytopath. Soc. Japan 49: 338-346. https://doi.org/10.3186/jjphytopath.49.338
  10. Krupinsky, J. M., Bailey, K. L., McMullen, M. P., Gossen, B. D. and Trukinton, T. K. 2002. Managing plant disease risk in diversified cropping systems. Agronomy J. 94: 198-209. https://doi.org/10.2134/agronj2002.0198
  11. Ledingham, R. J. 1961. Crop rotations and common root rot in wheat. Can. J. Plant Sci. 41: 479-486. https://doi.org/10.4141/cjps61-072
  12. Lundsgaard, T. 1976. Routine seed health testing for barley stripe mosaic virus in barley seeds using the latex-test. J. of Plant Disease and Protection. 278-283 pp.
  13. Matthews, R. E. F. 1991. Plant Virology in “Ecology 563-585”, Academic Press, Inc. 835.
  14. 나용준, 박양수. 1979. 혈청학적 방법에 의한 보리와 밀 종자의 보리줄무늬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상 조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8: 29-33.
  15.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2002. 2002년도 시험 연구 보고서. 표준재배법-쌀보리 pp. 26-27.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16. 박종철, 서재환, 김형무, 이귀재, 박상래, 서득룡. 2003. 기상요인이 보리호위축병 (BaYMV)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8: 156-159.
  17. 박종철, 서재환, 최민경, 이귀재, 김형무. 2004. 국내 맥류재배지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분포. 한국식물병리학회. 식물병연구10: 188-193. https://doi.org/10.5423/RPD.2004.10.3.188
  18. 박종철, 서재환, 김양길, 김정곤. 2005. 국내 맥류재배지의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과 BaYMV-Ik와 BaMMV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의 반응 검정. 한국작물학회 50: 197-204.
  19. 박종철, 이미자, 최인배, 김미정, 박철수, 김정곤. 2006. 보리 모자이크 바이러스 저항성 정도가 상이한 보리 품종간 생육 및 수량 비교. 한국작물학회 51: 477-482.
  20. Park, J. C., Rho, T. W., Kim, J. G., Kim, H. M., So, I. Y. and Lee, K. J. 2007. Strain distinction and their distribu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se on RAPD analysi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0: 511-517.
  21. 박종철, 김미정, 이은숙, 박철수, 강천식, 현종내, 이정준, 김태수, 김기종. 2010. 맥류의 토양 전염성 Bymovirus의 감염이 국내 육성 맥주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병리학회. 식물병연구 16: 21-26. https://doi.org/10.5423/RPD.2010.16.1.021
  22. Plumb, R. T., Lennon, E. A. and Gutteridge, R. A. 1986. The effects of infection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on the yield and components of yield of barley. Plant Pathology 35: 314-318. https://doi.org/10.1111/j.1365-3059.1986.tb02020.x
  23. 소인영, 정성수, 이귀재, 오양호. 1991. 보리호위축바이러스(BaYMV)의 매개체 검정 및 방제법에 관한 연구(II). 농시논문집 34: 75-83.
  24. 소인영, 이귀재, 전길형, 서재환. 1997. 남부지방에 발생하는 보리호위축바이러스(BaYMV) 및 보리마일드모자이크바이러스(BaMMV)의 분포와 저항성 품종 선발. 한국식물병리학 회지 13: 118-124.
  25. Ward, E., Kanyka, K., Motteram, J., Kornyukin, D. and Adams, M. J. 2005. The use of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assays for Polymyxa graminis to examine host plant resistance, inoculum levels and intraspecific variation. New Phytologist. 165: 875-885. https://doi.org/10.1111/j.1469-8137.2004.0129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