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As there occurs recently and frequently a flash flood due to the climate change, a sudden local flood of great volume and short duration caused by heavy or excessive rainfall in a short period of time over a small area, it is increasing that significant danger and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Korea as well as the whole world. Since a flash flood usually occurs as the result of intense rainfall over small steep slope regions and has rapid runoff and debris flow, a flood rises quite quickly with little or no advance warning to prevent flood dam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severity of flash food by estimation of a flash flood index(FFI) from probability rainfall data in a study basin. FFI-D-F(FFI-Duration-Frequency) curves that present the relative severity of flash flood are developed for a study basin to provide regional basic information for the local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particularly in ungauged catchm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FFI-D-F curves can be utilized for evaluation on flash flood mitigation ability and residual flood risk of both existing and planned flood control facilities.

최근 들어 기상 이변에 따라 단시간 동안에 특정 소유역에 집중하는 호우 또는 초과우량에 의한 국지성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이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상당한 위험과 손실은 전 세계적인 것으로서 우리나라도 증가일로에 있다. 돌발홍수는 일반적으로 급경사 소유역에서 집중적인 강우에 의해 발생하여 빠른 유출과 토석류를 동반하기 때문에, 홍수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사전 홍수예보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급격히 빠른 홍수의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유역의 확률강우량으로부터 돌발홍수지수(flash flood index, FFI)를 산정하여 돌발홍수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미계측 유역하천에서의 지역 홍수예 경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상유역에 대하여 상대적인 돌발홍수심도를 제시할 수 있는 FFI-D-F(돌발홍수지수-지속시간-빈도) 관계곡선을 개발하였다. 또한 FFI-D-F 관계곡선은 현존 및 계획 방재시설물의 돌발홍수 대응능력 및 잔여홍수위험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봉, 남우성, 김태순, 안원식 (2005) 지점빈도해석을 적용한 확률강우량의 불확실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1445-1448.
  2. 김병식, 김형수 (2008) 유출수문곡선과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2호, pp.185-196.
  3. 김운태, 김진훈, 배덕효 (2000) 수문학적 한계유출량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739-742.
  4. 김운태, 배덕효, 조천호 (2002)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 유출량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553-561.
  5. 김응석, 최현일, 이동의, 강동진 (2009),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125-131.
  6. 박종영, 이정식, 이재준 (2000)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에 따른 지속기간별 첨두유량의 변화.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33, no.S1, pp.203-208.
  7. 배덕효, 최지혜, 장기호 (2001) 평창강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286-291.
  8. 배덕효, 김진훈, 장기호 (2004) 한강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153-157.
  9. 안원식 (2000) 돌발홍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논문집, 제15권, pp.11-19.
  10. 이길성, 박경신, 정은성, 김상욱 (2008)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한 확률홍수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249-2253.
  11. 이정기, 김형수 (2009) 혹률강우의 시간분포 비교와 설계홍수량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p.98-102.
  12. 이정은, 허준행, 김경덕, 김남원 (2003) 실측 강우량과 홍수량 자료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1), pp.54-57.
  13. 이정훈, 김창성, 김문모, 여운광 (2006) 확률홍수량에 따른 도시하천 제방의 여유고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488-1492.
  14. 전경수, 김병익(2001)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2호, pp.48-56.
  15. 정영훈, 김수영, 김태순, 허준행 (2007) 강우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단기간 확률강우량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72-1175.
  16. 정재철 (2000) 돌발홍수지수에 관한 연구(보청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17. 충청남도 (2004) 매곡천 하천정비기본계획보고서, 충청남도.
  18. 최현, 이상진(2006) 지형학적순간단위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한계유출량산정 검증, 한국 GIS 학회지, 한국 GIS 학회,제14권, 제1호, pp.15-27.
  19. 허준행, 이영석, 신홍준, 김경덕 (2007) 우리나라 강우자료의 지역빈도해석 적용성 연구(I) :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2호, pp.101-111.
  20. Bhaskar, N.R., French, B.M. and Kyiamah, G.K. (2000) Characterization of flash floods in Eastern Kentuck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5, No. 3, pp.327-331.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0)5: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