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The cases of 54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in korea

압축도시 개발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 이경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9.12.15
  • Accepted : 2009.12.2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act city planning indicators that have influence on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of residents in the 54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In the study, land use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f cities and other socio-demographic variables a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in a causal model. 96,552 subjects from 54 cities in korea are selected as the final sample, and a statistical analysis is carried out by applying Random Intercept Logit Model. Analysis shows that a high level of density and jobs-housing balance in the city results in more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And higher access to bus and subway station influence commuting, so subway & bus stop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본 연구는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압축도시 이론에서 주장하는 고밀개발, 혼합적인 토지이용과 같은 계획 요소들이 실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 변수들 중에서는 인구밀도와 직주균형비가 높을수록 대중교통 통근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압축도시 계획 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밀도 수준이 높아질 경우 대중교통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있어 유리하고 또한 토지를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직장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이 많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밀개발과 함께 직주균형과 같은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도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교통서비스 시설들 중에서는 도로 밀도와 지하철 유무가 대중교통 통근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확충이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중교통 통근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밀 복합적인 토지이용 정책의 추진과 함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시설에 대한 투자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남 (2008) 압축도시 개발이 교통에너지 소비와 대기오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50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 패턴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1권 제4호, pp. 59-75
  3. 신상영 (2003) 직주근접성과 통근통행 : 수도권을 사례로, 국토계획 제38권 제4호, pp. 73-88
  4. 임주호 (2006) 도시철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역세권 토지이용특성 - 서울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임희지 (2001)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한 신전통주의 계획 이론 분석 연구 - 우리나라 도시개발 기법의 실태와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32권, pp. 95-111
  6. 전명진 (1997)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 서울의 통근통행 수단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39-49
  7. 홍진현 (2007) 고밀 혼합 토지이용이 통행 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Ewing, R. (1995) Beyond density, mode choice, and single-purpose trips, Transportation Quarterly 49 (4), pp. 15-24
  9. Robert C. (1996)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 Policy and Practice 30, pp. 361-377 https://doi.org/10.1016/0965-8564(95)0003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