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Major Trail Deterioration in Urban Natural Park - A Focus on Apsan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

도시자연공원의 주요 등산로 훼손실태 분석 - 대구광역시 앞산공원을 대상으로 -

  • Park,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ea-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Kwang-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Gab-Sue (Dept. of Biology, Yeungnam University)
  •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이혜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조광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장갑수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 Received : 2010.06.22
  • Accepted : 2010.08.02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Many trails have been built and utilized in each sub-basin of Apsan Park.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ditions and the present flora of several overused trails within three basins called Kun-Gol, Anjiroung-Gol, and Meaja-Gol in Apsan Park. There are two purposes for this study. The first is to make a plan for restoration by classifying the type of damage to these overused trails. The second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reestablishing a more pleasant urban nature park.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average length of these trails is 9.0km and mean width is 2.0 to 2.6m. 2,108m of the sections studied(23.4% of the total) had exposed root, 3,199m of the sections studied (35.5% of the total) had exposed rock, 3,270m of the sections studied(36.6% of the total) displayed damaged pathways, and 4,841m of the sections studied (53.8% of the total) had higher soil hardness. Eighty-three areas of deterioration were found and there has been extensive property destruction. As an indication of human disturbances, the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appeared as: Kun-Gol, 7.0%, 5.5%; Anjiroung-Gol, 8.3%, 4.5%; Meaja-Gol 8.6%, 6.2%; in total, 7.8%, 8.3%. As a method of checking the level and extent of the damage process, an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was used at each point on the trails. Kun-Gol had the highest rating and Anjiroung-Gol had the lowest rating in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With the impact rating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each trail would continue to worsen, meaning that roots and rocks are more likely to be further exposed and the trail width will continue to widen through overuse. An actual plan for reparations and restoration of the trails is needed through further study.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 도시자연공원인 앞산도시자연공원의 주요 계곡인 큰골, 안지랑골, 매자골의 주요 등산로를 대상으로 등산로의 훼손현황, 주연부 식물상을 조사하여 훼손유형분류에 따른 복원방안을 도출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자연공원이 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앞산을 중심으로 조사한 3개의 등산로의 총 9km, 69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결과, 평균등산로 폭이 2.0~2.6m, 뿌리노출이 2,108m(23.4%), 암석노출이 3,199m(35.5%), 노면침식이 3,280m(36.6%), 토양경도가 강견($2.5kg/cm^2$)으로 4,841m(53.8%), 훼손발생지역이 83곳으로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산로 주연부에서 확인된 식물상은 총 79과 206속 306종이었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인간간섭의 정도와 강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큰골이 각각 7.0%, 5.5%, 안지랑골이 각각 8.3%, 4.5%, 매자골이 각각 8.6%, 6.2%, 전체가 각각 7.8%, 8.3%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피해도는 5등급 이상의 비율이 큰골이 24.3%, 안지랑골이 17.1%, 매자골이 21.6%로 큰골이 피해가 가장 심했으며, 큰골, 매자골, 안지랑골의 순으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본 조사구간의 환경피해도 결과를 보면 등산로는 이용과밀로 인한 침식과 뿌리노출, 암석노출의 훼손현상이 일어나면서 등산로의 훼손이 점점 심각해지고 확산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를 방치할 경우 침식이 가속화 될 뿐 아니라 뿌리노출, 암석노출, 노폭확산 등의 피해가 잇따르므로 침식구간의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1)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세굴유형 분석과 복원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공원관리공단.
  2. 국립산림과학원(2004) 산림입지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3. 국립산림과학원(2007) 한국의 도시숲.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4. 권태호(2003)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65-474.
  5. 권태호, 오구균, 권영선(1998) 치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 및 주변식생변화. 응용생태연구 1(1): 50-55.
  6. 권태호, 이준우, 김동욱(2004)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선-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75-183.
  7. 김성열(2008) 대구앞산 일대 산지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중현, 김용현, 윤창영, 김주환(2008)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 481-504.
  9.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 일조각.
  10. 산림청(2004) 등산로 훼손 유형별 생태적 정비요령: 숲길 정비 매뉴얼, 대전: 산림청.
  11. 서병수, 김세천, 박종민, 이창헌, 이규완(1994) 덕유산 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한국임학회지 83(3): 286-298.
  12. 신창호, 이정석(1993) 탐방객에 의한 답압이 수목생장 및 토양, 식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무등산 도립공원을 중심으로. 전남대 농대 연습림연구보고 14: 37-77.
  13. 오구균(2003)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지역의 국가관리 기능 강화 방안. 국립공원심포지엄.
  14. 이우철(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서적.
  15. 이은경(1988) 대구시 앞산자연공원일대의 현존삼림식생과 식물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우(2003) 계양도시자연공원 생태현황 분석과 관리방안.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7. 조현길(1987) 야영행위가 식생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리산국립공원 화엄사 지구 야영장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4): 21-32.
  18. 한국리서치(2009) 한국인의 등산관련 실태와 단체 실태. 한국등산지원센터 연구보고서.
  1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 Cole, D. 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mtry trali condition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p. 10.
  21. Frissell, S. S. (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22. Gallo, K. P., A. L. McNAB, T. R. Karl, J. F. Brown, J. J. Hood and J. D. Tarpley(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 2223-2230. https://doi.org/10.1080/01431169308954031
  23. James, T. D., D. W. Smith, E. E. Mackintosh, M. K. Hoffman, and P. Monti (1979) Effects of camping recreation on soil. Jack pine,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North-western Ontario Park. Forest Science 25(2): 333-349.
  24. Landsberg, H. E.(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25. http://www.daegu.go.kr Apsanpark/Default.aspx
  26. http://www.nie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