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ttitudes of Hospice Volunteers towards Death with Dignity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존엄사에 대한 태도요인

  • 황병덕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Received : 2011.04.26
  • Accepted : 2011.06.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factors of influencing toward attitude to death with dignity to hospice volunteers. The data was collected for 21 days from 14 March to 3 April 2010. Among a total of 220 cases of the questionaries, only 195 cases were used. To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ttitudes towards death with dign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high in those with will to agreed to the passive euthanasia than those opposite to the attitude factors, namely, acceptive, the right to decide, negative, and dereliction of duty attitude factors. Significant variables for effects of death with dignity were gender, acceptive attitude factor and dereliction of duty attitude factors. Given that main provider of human organs is the brain-dead and we don't have enough organ donation, death with dignity should be linked with activating policy of organ donation, while solving donation shortage problem. This way, constructing social implementation and sharing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would be diluting the bio-ethic controversies.

Keywords

References

  1. 유종호, 권오병, 김경곤, 강희철, 손명세, 이경환 (2005),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전공의와 사법연수생 비교-, 가정의학회지, Vol.26;327-336
  2. 최지윤, 권복규(2009),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2(2);127-142.
  3. 노동일(2009), 치료거부권 죽을 권리 및 존엄사에 대한 재검토 : 헌법적 관점에서, 공법학연구, Vol.10(2);3-29.
  4. 김문정(2009), 죽임(Toten)과 죽게 내버려둠 (Sterbenlassen)- 죽음을 감수하는 의도적인 행위에 관해-,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2);143-152.
  5. 김선현(2001), 안락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류영신(2002),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경성대학교 생물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필원(2004), 안락사에 대한 노인의 인식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8. 이상은(2008),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동국대학교 장례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9. 최경석(2009), 자발적인 소극적 안락사와 소위 '존엄사'의 구분 가능성,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2(1);61-76.
  10. 이재상(2007), 형법각론, 박영사, p.22.
  11. 이인영(2008),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한 입법제안,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위한 입법제안 심포지엄.
  12. Wasserman J., Clair J. M. and Ritchey F.J.(2005), A scale to assess attitudes toward euthanasia, Omega, Vol.51(3);229-237(재인용: 김숙 남(2009), 의사와 간호사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정신간호학회지, Vol.18(2);137-146).
  13. 문시영(2006), 존엄적 안락사 논쟁의 사회윤리학적 성찰, 기독교사회윤리, Vol.11(2);1-11.
  14. 손행미(2004), 임상간호사들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과 태도, 기본간호학회지, Vol.11(3);309-316.
  15. 국정홍보처(2006),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결과 보고서, pp.133-134.
  16. 성미혜, 전종철, 모형중(2007),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종양간호학회지, Vol.7(2);140-149.
  17. 박영선(2009),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숙남(2009), 의사와 간호사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정신간호학회지, Vol.18(2);137-146.
  19. 김주태, 김경철, 신동혁, 조항석, 심재용, 이혜리 (2001), 의과대학생들과 전공의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가정의학회지, Vol.22(10);1494-1502.
  20. 홍명선(2000), 안락사에 대한 간호사의 의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14(2);446-463.
  21. 황병덕, 정웅재, 최령(2011), 뇌사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관련된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1);159-170.

Cited by

  1. Attitude of Death, Perception on Hospice and Attitudes of DNR by Nursing Students in an Area vol.8, pp.3,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219
  2. 병원 간호사의 존엄사에 대한 태도 vol.6, pp.1,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1.129
  3. 중년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죽음의식과 자아존중감 비교 vol.6, pp.2, 2011,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035
  4. 간호대학 신입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연구 vol.6, pp.4, 2011,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037
  5. A Phenomenological Study on Hospice Voluntee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vol.41, pp.1, 2011, https://doi.org/10.33071/ssricb.41.1.201704.149
  6. Attitudes of the General Public towards Death with Dignity and Their Determinants vol.46, pp.2, 2021, https://doi.org/10.21032/jhis.2021.46.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