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of Child Care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Depending on Using In-Home Care Service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 최정신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ays to improve In-Home Care Service for differences resulting from child care service and parenting stress, depending on use of the service. Participants consisted of hers from 293 who use the service in K region. From September 1, 2009 to October 25, total 193 mothers were surveyed by e-mail. 69 mothers were finally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got the supporting aids from two different ways, irrespective of using In-Home Care Service. One was the instrumental supports given them by their husband and relatives, and the informative and emotional supports maintained by husbands, friends, neighbors, colleagues, and network community, as well. Second, The In-Home Care Service non-users received child care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parents compared with the In-Home Care Service users. Third, few differences shown statistically between the two groups that use it and don't use it.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 서비스의 이용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여, 아이돌보미 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K구 아이돌보미 서비스 등록 가정(293가정)의 어머니이다. 2009년 9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총 193명의 어머니에게 전자우편을 송신하여 총 69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 유무와 관계없이 수단적 원조는 남편과 친족의 지원을 이용하였으며, 정보적 원조와 정서적 원조는 남편과 친구/이웃/직장동료, 인터넷 카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희망자가 이용자보다 남편, 친정부모, 시댁부모의 육아지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 유무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김승권. (2002). 저출산의 사회 . 경제적 영향과 장 . 단기적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3-33
  2. 김은설 . 유은영(2007).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개념에 관한 고찰, 육아정책연구, 1(1), 1-21.
  3. 노형진. (2005). SPSS 12.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
  4. 문혁준. (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학가정학회지, 42(11), 109-122.
  5. 변미희 . 강기정 . 정희정. (2007). 아이돌보미 시범사업 평가 및 정책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2), 67-83.
  6.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9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보건복지가족부.
  7. 보건복지가족부. (2010). 2010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보건복지가족부.
  8. 서문희 . 김미숙 . 박세경 . 최은경 . 임정기. (2004) 여성사회활동 증진을 위한 보육생활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5-49.
  9. 안지영 . 박성연(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8.
  10. 여성가족부. (2008). 2008 가족사업 안내, 여성가족부.
  11. 이은해 . 이미리.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61-78.
  12. 이지원(2003).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207-216.
  13. 전춘애 . 박성연.(1996).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30.
  14. 전춘애 . 이종남 . 방한별. (2009).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가정 실태 및 가정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225-237.
  15.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08). 2008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 보고서,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16. 최정신. (2009). 육아가치관, 부부관계만족도가 36개월 미만의 첫째 자녀를 둔 어머 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3-24.
  17. 한국여성노동연구소. (2009).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체계화 및 발전방향, 보건복지부, 69-114.
  18. 冬木春子. (2000). 乳幼児をもつ母親の育児ストレスとその関連要因-母親の属性及びソーシャル・サポートとの関連において-, 現代の社会病理, 15, 39-56.
  19. 牧野カツコ.中西雪夫. (1985).乳幼兒をもつ母親の育兒不安ー父親の生活及び意識 との關連ー, 家庭教育硏究紀要, 6, 11-24.
  20. 落合恵美子. (1997). 21世紀家族へ. 有斐閣, 77-96.
  21. 山根真理 . 松田智子 . 斧出節子 . 関井友子. (1990). 保育園児をもつ母親の育児問題ー 育児不安を中心にしてー, 総合社会福祉研究, 2, 1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