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Analysis for Students of University Dropout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 Jang-Sik (Department of Informational Statistics, Kyungsung University)
  • 조장식 (경성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Recently, many universities confront with a serious problem because of increasing students of dropout univers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tential predictors of dropout among K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1,577 students (dropout=111, staying=1,466) in this study. In this study, we studied effects for characteristic of dropout students leaving their university as using two statistical methodologies.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characteristic of dropout students leaving their university. Also, decision tree analysis among of data mining tools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for the characteristic of dropout students leaving their university.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y informative since those enable us to know the most important factors.

요즘 많은 대학들은 재학생들의 자퇴, 제적 또는 타대학으로의 편입 등으로 재학 중 학업을 중단(중도탈락)하는 학생의 증가로 인해 입학자원의 감소로 인한 부담과 함께 대학의 행 재정적 부담이 더해지고 있다. 그래서 각 대학들은 어떤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재학 중 학업을 중단하는지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학생들의 입학정보인 전형유형, 내신성적 및 수능성적, 그리고 학사정보인 평균평점, 그리고 성별, 계열, 거주지역 등 개인 특성 변수 등의 독립변수를 활용하여 학업중단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주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모수적인 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의 보완적 방법으로서 독립변수들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적인 방법인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능 성적의 언어영역과 내신성적의 수학성적, 평균평점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업중단을 하지 않을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이, 그리고 고교지역이 기타지역에 비해서 울산/경남지역인 학생들이 학업중단을 하지 않을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 (2010).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교육평가연구, 23(1), 29-53.
  2. 김대석 (2011). 대입시 현황과 대학 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해서 본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연구, 서울 : 고려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식 (2008).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및 학교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 영향, 교육연구, 35(1), 227-249.
  4. 김수연 (2006).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 요인분석, 한국교육, 33(4), 33-62.
  5. 노혜란, 최미나 (2008).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89-107.
  6. 서의훈 (2006). 입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 경상대학교 사례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241-250.
  7. 손창수 (2009).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최국렬, 이동석, 김병수 (2002). 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한 정시합격자들의 이탈 특성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4(1), 91-101.
  9. 최명선, 강지희 (2008).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5(7), 203-225.
  10. 한상태 (2000). 대학입시평가를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 25-36.
  11. 한상태, 강현철, 손방용, 백승일 (2004). 고객 이탈방지를 위한 캠페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6), 1599-1615.
  12. Kim, K. I., Kim, S. H., Kim, E. Y., Kim, H., Yang, J. W., Cho, J. S. (2007). Churn Analysis for the First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K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1), 1-10.
  13. Bigg, D., B. de Ville, E. Suen (1991). A method of choosing multiway partitions for classification and decision tree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8, 49-62. https://doi.org/10.1080/02664769100000005
  14. Breiman, L., Friedman, J. H., Olshen, R. A., Stone, C. J.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Belmont.
  15. Kass, G. (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29(2), 119-127. https://doi.org/10.2307/2986296
  16. Loh, W., Shih, Y. (1997). Split selection methods for classification trees, Statistica Sinica, Taiwan.
  17. SPSS Inc. (1988). AnswerTree 1.0 User's Guide, Chicago; SP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