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pth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Cloth Consumption

의복의 윤리적 소비 실천행동에 관한 심층연구

  • Jung, Joo-Wo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정주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학과)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ehavior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related to cloth. Data were collected by ethnographic interviews of 11 informants who have performed the activities at the beautiful store and reform for more than 3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ain change to ethical cloth consumption, they showed reduced desire to possess cloth and thus pursued the material simplification. Further, they quit the consumption in which they spent much time in shopping in the department store and they utilized time in more meaningful time to purchase used cloth in the shop of reused goods. They pursued practice and essence in selecting cloth, which was worn as long as possible. The disposition of cloth changed from simple discard to reform or donatio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thical cloth consumption behavior were grasped to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 Internal factor appeared as factor by sense of value accumulated in the family life education. External factor appeared as factor by experience in serving, experience in ethical system like living overseas, influence of community and educati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guidance for increasing ethical cloth consum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의복 소비를 실천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행동과 그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가게 활동가와 리폼을 행하는 11인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Ethn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으로의 주요 변화모습으로는 옷에 대한 소유욕이 낮아져 물질적 간소화를 추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며 많은 시간을 소요하던 소비에서 재활용매장에서 헌옷을 구매하며 보다 의미로운 활동으로 시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복 선택에 있어서는 실용과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며, 의복사용은 가능한 장기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의 처분은 단순폐기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리폼이나 기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내적 영향요인과 외적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내적 영향요인은 가정교육으로 축적된 가치관에 의한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외적 영향요인은 해외 거주 경험과 같은 윤리적 시스템에 대한 경험과 봉사활동 경험, 공동체 모임의 영향 그리고 교육과 현장답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윤리적 의복 소비행동으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을 계몽하고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 제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2009), "국내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 특성과 앞으로의 전망," 패션정보와 기술, 6, 54-62.
  2. 김대군 (1998), "의복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국민윤리연구, 38, 27-47.
  3. 김재현 (2009), 착한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훈 (2004), "소비자 특성에 따른 소비자 비윤리 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3(3), 417-423.
  5. 김정훈, 이은희 (2003), "소비자 비윤리 유형과 판매자와의 상호작용 유형의 관계: 전라북도 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165-178.
  6. 박명희, 송인숙, 손상희, 이성림, 박미혜, 정주원 (2006), 생각하는 소비문화, 서울, 교문사.
  7. 박미혜, 강이주 (2009), "윤리적 소비의 개념 및 실태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1047-1062.
  8. 송인숙 (1999), "자발적으로 간소화하는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1), 85-95.
  9. 송인숙 (2005), "소비윤리의 내용과 차원정립을 위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6(2), 37-55.
  10. 유창조 (2010), "마케팅과 Ethnography: 학제간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마케팅저널, 11(4), 121-128.
  11. 이승희 (2004), "패션 복제품에 대한 소비행동과 소비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 일본 홍콩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11), 1438-1447.
  12. 이승희, 노유나 (2007), "패션소비윤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 141-150.
  13. 전소은 (2010), 국내 윤리적 소비자 특성에 대한 질적 연구: 웰빙 소비와 윤리적 소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천경희, 홍연금, 윤명애, 송인숙 (2010), 착한 소비 윤리적 소비, 서울, 시그마프레스.
  15. 홍연금 (2009), 우리나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사례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AeRan Koh and Jiyeon Noh (2009),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1956-1964. https://doi.org/10.5850/JKSCT.2009.33.12.1956
  17. Callen, K. S. and Ownbey, S. F. (2003), "Association between demographics and perceptions of unethical consumer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7(2), 99-110. https://doi.org/10.1046/j.1470-6431.2003.00289.x
  18. Corrigan, P., 이성용, 유홍준, 이정환, 고성호 역 (2002), 소비의 사회학, 서울, 도서출판 그린.
  19. Cowe, R. and Williams, S. (2001), Who are the Ethical Consumers?, Co-operative Bank/Mori Survey, Co-operative Bank, London.
  20. Dickson, M. A. (2001), "Utility of no sweat labels for apparel consumers: profiling label users and predicting their purchas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5, 96-119.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1.tb00104.x
  21. Duane Elgine, 김승옥 역 (1999), 소박한 삶의 철학, 서울, 바다출판사
  22. Hustvedt G. and Dickson M. A. (2009), "Consumer likelihood of purchasing organic cotton apparel,"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3(1), 49-65. https://doi.org/10.1108/13612020910939879
  23. Joanne, L. F., 김대웅, 김여경 역 (2005), 패션의 유혹, 서울, 청년사.
  24. Joergens, C. (2006), "Ethical Fashion: myth or future trend?,"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3), 360-371. https://doi.org/10.1108/13612020610679321
  25. Lincoln, Yvonna S. and Egon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Inc.
  26. Rob Harrison, Terry Newholm and Deirdre Shaw (2005), The Ethical Consumer, Sage Publications Inc.
  27. Spradley, James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Cengage Learning.
  28. Strauss, Anselm and Juliet Corbin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29. 경향신문(2010.3.10) "환경.노동착취고민하는 '슬로패션'."
  30. 한겨레(2007.7.28) "한두번입고버리는 '스트리트패션' 환경오염 주범."
  31. 한겨레 (2009.2.27) "건강에서 환경, 이젠 사회로, 진화하는 '착한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