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on Self Managemen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자기관리, 외모만족도 및 유행의사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 Oh, Kyung-Wha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Kim, Hyun-Sook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Pai Chai University)
  • Received : 2011.10.03
  • Accepted : 2011.11.10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When adolescents undergo the period of transition, they need to promote self-confidence from social support by parents, teachers or friends. It was believed that boosting subjective perception on their main areas of interest such as academic performance, appearance and fashion will result in happine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including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on self managemen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A total of 412 questionnaires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or near Seou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management and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Furthermore, friend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fashion opinion leadership.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promoting self-confidence related to self-managemen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with the help of social support a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2011).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교육심리연구, 25(2), 277-293.
  2. 고석주, 정진경, 조혜정(1992). 외모와 억압. 한국여성학, 8(1), 33-75.
  3. 구은영, 조필교(2001). 청소년의 유행채택 행동-의복관여의 관점에서. 복식문화연구, 9(4), 592-601.
  4. 김관희, 이경희(1997).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 145-165.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여원, 최종명(2009). 디지털 신세대의 패션트랜드 인지도와 수용도가 패션정보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465-476.
  7. 김은영, 이정순(1992). 자아상, 사회참여도, 의복행동이 유행 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충북가정학회지, 1(1), 85-95.
  8. 김의철, 박영신(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9. 김혜숙, 박한샘(1996). 청소년상담연구26: 인지행동상담 기법 개발 및 보급 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0. 배정주(1989).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영경, 김영희, 황성실(2011).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19.
  12. 송원영(2009).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시간제약 및 시간관리능력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윤수익, 위은하(2010). 청소년의 외모관리 태도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2), 1-13.
  14. 이미숙(2009).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사회적 자아개념과 의복 행동간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3), 433-443.
  15. 이은해, 신숙재, 송영주(1992).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위한 자아지각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 생활과학회지, 6, 175-191.
  16. 이은희(2006).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85-102.
  17. 이정미(2006). 자기관리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시간관리, 학습습관,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대테크노인력개발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창식, 박미자, 장은순(2010). 조손가족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20.
  19. 이춘재, 곽금주(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20. 이현주(2008).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분석. 인하대학교 교육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장선희, 이미애(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8), 27-55.
  22. 전준선(2006).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삼호, 윤혜원(2008). 남녀 대학생의 성격특질과 의복태도에 따른 유행관심도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생활과학논집, 27, 77-86.
  24. 정수진, 추미선(2010). 체형과 신체이미지가 의복유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6), 764-773.
  25. 정호순, 장윤옥(2009). 청소년의 시간관리능력과 자기생활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인과관계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7), 45-58.
  26. 조윤경(2010).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이용, 그리고 가족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54(2), 210-231.
  27. 조한익(2011).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희망, 우울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5(1), 153-174.
  28. 최선형, 이은영(1987). 유행선도자의 특성 연구-유행선도력, 사회적 성격, 의복동조성, 유행정보원사용간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11(3), 15-24.
  29. 최정미, 김미란(2003). 청소년의 친구관계 특성과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373-394.
  30. 채선미, 이영순(2011).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5(1), 1-16.
  31. 추태귀, 구양숙(1998). 청소년의 유행 선도력과 정보 탐색에 관한 연구: 의복구매 실태와 관련지어. 복식문화연구, 6(3), 73-87.
  32. 한미숙, 이윤정(2008).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4), 247-256.
  33.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 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Baumer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https://doi.org/10.1111/1529-1006.01431
  35. Conger, K. J., Conger, R. D., & Scaramella, L. V.(1997). Parents, siblings,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1), 113-138. https://doi.org/10.1177/0743554897121007
  36. Shrauger, J. S., & Schohn, M.(1995). Self-confidence in college students: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behavioral implications. Psychological Assessment, 2(3), 255-278. https://doi.org/10.1177/1073191195002003006

Cited by

  1. A Review of Fashion Therapy and Proposal of Protocol vol.40, pp.5, 2016, https://doi.org/10.5850/JKSCT.2016.40.5.788
  2. 청소년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스트레스,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1, https://doi.org/10.12940/jfb.2012.16.5.192
  3. Teasing from Parents and Siblings about Appearance Affecting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vol.16, pp.2, 2011, https://doi.org/10.7741/fie.2018.16.2.017
  4. 사회적 규범과 지각된 혜택이 사회적 기업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vol.43, pp.5, 2019, https://doi.org/10.5850/jksct.2019.43.5.699